• 제목/요약/키워드: Posterior Bankart les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한 후방 II형 SLAP 병변 - 증례보고 - (Posterior type II SLAP Lesion Combined with Posterior Bankart Lesion - A Case Report -)

  • 천상진;윤명수;김휘택;서정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4-138
    • /
    • 2008
  • 견관절 상완순 전후방(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은 상부 관절와순 단독 손상으로 발견되기도 하고,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전하방 관절와순의 파열, 즉 Bankart 병변의 연장으로 상부 관절와순까지 파열이 진행된 동반 손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게 후방 Bankart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여러 가지 병변과 동반된 SLAP 병변이 보고되어 왔으나 그 중 후방 Bankart 병변과 동반하여 발생한 후방 II형 SLAP 병변에 대한 보고는 미미하고 그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복원술 시 봉합 나사(suture anchor)의 삽입과 봉합에 주의할 점이 있다. 저자들은 투구 동작과 같은 흔한 손상 기전이 아닌 팔을 뻗친 상태에서 넘어지면서 발생한 외상으로 야기된 본 증례에 대해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rthroscopic Treatment of a Type II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Lesion Combined with a Bankart Les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Debridement and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by the Status of Lesion

  • Lee, Sung Hyun;Joo, Min Su;Lim, Kyeong Hoon;Kim, Jeong W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1호
    • /
    • pp.37-41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sults of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repairs and debridement of type II SLAP lesions combined with Bankart lesions. Methods: Between 2010 and 2014, total 58 patient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due to a Bankart lesion combined with a type II SLAP lesion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C consisted of 30 patients, each with a communicated Bankart and type II SLAP lesion and group NC consisted of 28 patients, each with a non-communicated Bankart and type II SLAP lesion. Bankart repairs were performed for all patients. SLAP lesions were repaired in group C and debrided in group NC. Clinical results were analysed to compare groups C and NC by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Constant scores, Rowe score for instability and range of motion assessments. Results: The clinical scores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at final follow-up.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the range of motion measured at the last follow-up. The number of suture anchors us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C than in group NC (5.6 vs. 3.8; p=0.021).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Bankart repair and SLAP debridement could be a treatment option in patients with a non-communicated type II SLAP lesion combined with a Bankart lesion (study design: IV, therapeutic study, case series).

재발성 탈구에서 무엇을 치료할 것인가? (What Should We Treat For Recurrent Dislocation?)

  • 태석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1-4
    • /
    • 2004
  • As the multidirection and posterior instabilities of the shoulder are not only uncommon but responds well to conservative treatment, the shoulder instabilities which requires surgical treatment are traumatic anterior type in most cases, Although various surgical procedures had been used in the past, Bankart procedure is the standard surgical method as a primary procedure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Nevertheless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techniques of Bankart procedure in order to minimize decrease of external rotation and effectively address capsular laxilty, Capsular shift might be needed if there remains excessive capsular laxity of the inferior capsule after repair of the Bankart lesion, Large bony Bankart lesion should be fixed if possible and severe glenoid rim erosion requires extracapsular bone block after repair of the capsule. Although a few surgical procedures are described for the management of Hill-Sachs lesion in special circumstances, Hill-Sachs lesion does not usually need to be addressed.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에서 경견관절와 술식시 Guide Pin 출구의 분석 (Analysis of Exit Site of Guide Pin Using Tansglenoid Suture Technique in Bankart and SLAP Lesion)

  • 이광진;신현대;변기용;김영모;주용범;김경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05-109
    • /
    • 2005
  • Purpose: To Analyze the exit site of pin inserted at the anterior glenoid rim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Bankart lesion and SLAP lesion using transglenoid sutur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twenty adult right cadeveric scapula, insertions of pin were performed using guide at the position of 1, 2, 3 O'clock of glenoid rim. We measured the exit site of dorsal surface of the scapula by medial distance from sagittal plane of lateral border of scapular spine and the vertical distance from posterior border of the scapular spine. Results: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10 degree, at the position of 1, 2, 3 O'clock, the medial distance from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 is averaged 29.4, 19.2, 34.0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distance from posterior border of the scapular spine is averaged 15.0, 18.6, 17.2 mm respectively.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20-30 degree, the medial distance is averaged 14.6, 14.2, 15.8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distance is averaged 31.6, 31.9, 32.1 mm respectively. Conclusion: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ten degrees using the guide, the pin exit appeared at the more medial side of the base of scapular spine and the more inferior of scapular spine. This can make the firm suture tied over scapular spine during repair SLAP and the Bankart lesion, and also prevent the injury of suprascapular nerve.

유연성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골관통식 봉합 - 동물 실험 및 예비 임상 결과 보고 -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for Bankart Lesion with a Flexible Drill Device - An Experimental and Preliminary Clinical Report -)

  • 박진수;원예연;유정한;박용욱;노규철;정국진;김홍균;황지효;이용범;서일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72-78
    • /
    • 2010
  • 목적: 견관절의 Bankart 병변에 대하여서 관절경적 수술하에서도 골경유 봉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골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유연성 천공기 세트는 유연성 천공기와 유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연성 천공기는 49개의 미세강선들이 단일 강선 (직경 1.2 mm)으로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한 강선의 한 쪽 끝에는 천공기 (직경 1.2 mm)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관은 외경 3.0 mm, 내경 2.0 mm의 원통형 금속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쪽 끝은 30도 정도 굴곡되어 있다. 기기의 내구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돼지의 견갑골 관절와에 골 천공을 실시하는 실험을 30회 이상 실시하였다. 유연성 강선 부위의 기계적 파단이나 골 천공의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적 견관절 관절경 술식대로 견관절의 후방 입구 및 전 상방, 전 후방 입구들을 확보한 후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병변이 확인이 되면 면도기를 이용하여 견갑와 내측면의 변연 절제를 실시하여 골 출혈을 유도한다. 이후 관절경을 전 상방 입구로 이전 시키고, 후방 입구를 통하여서 유연성 골천공기 세트의 유도 강관을 삽입하는데 유도 강관의 끝이 견갑와연에서 약 5 mm 정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유도강관 내로 유연성 천공기를 삽입한 후 구동기를 이용하여서 견갑와의 골 천공을 실시한다. 골 천공 후에는 유연성 천공기만 유도강관에서 제거한 후에 유도 강관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천공된 골구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봉합 갈고리를 이용하여 관절와순에 유도봉합사를 통과시킨 후에 이 유도봉합사에 골 천공구를 통과한 봉합사를 끼워서 관절완순을 통과하도록 한 후 활주 결찰을 실시하여 골 관통 봉합을 이루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견갑와의 2시, 4시 방향에 골 천공을 시행하여 견갑와순의 봉합을 실시한다. 결과: 외상성 견관절 탈구 환자 5예에서 유연성 골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수술 도중 또는 수술후의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나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기 자체의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6개월간의 추시 결과 상에서는 재탈구 등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연성 골 천공기를 사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시 관절경적 수술이면서도 골 관통식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와순의 부착면적의 증대 효과 뿐 아니라 손쉬운 활주 결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의 Hill-Sachs 병변의 치료에서 Remplissage의 Review (Review in Remplissage o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Huge Hill-Sachs Lesion)

  • 고상훈;이채칠;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34-139
    • /
    • 2011
  • 목적: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을 동반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 하 Remplissage 술기를 고찰하고 저자들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관절염이 없고, 견관절 주위의 골절이 없으며, 10회 이상의 재발성 탈구를 경험하였던 환자들 중에, 30~40% 이상의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 및 관절와 골 결손이 20% 미만인 경우를 대상으로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과 함께 Remplissage 술기를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는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방 급성 견열손상 후 발생한 변형된 SLAP Ⅱ손상과 전방 관절순 파열 -증례 보고 1 례- (Possible Development of Modified SLAP Ⅱ and Bankart Lesion After Shoulder Avulsion injury -A Case Report-)

  • 유재철;곽호윤;황승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10-13
    • /
    • 2004
  •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lesions of the shoulder has recently been a popular issue to shoulder surgeons. Now we are correlating many shoulder symptoms to this SLAP lesion. A 45 year-old female patient injured her shoulder when her arm sleeve was entrapped in moving automobile door. A forceful pull of the arm in external and abduction position was suspected. She complained continuous shoulder pain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for 2 months.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ed possible SLAP lesion but no definite diagnosis were made prior to the operation. Arthroscopic evaluation revealed SLAP type Ⅱ lesion with concomitant avulsion of the superior glenoid cartilage. In addition anterior labrocapsular tear was seen from 7 to 9 o'clock of anterior glenoid. The SLAP lesion and the anterior capsulolabral lesion were repaired properly to the glenoid. We report a case of glenoid-cartilage avulsion type of SLAP Ⅱwith anterior labrocapsular lesion.

Advantages of Scorpion Suture Passer and 70 Degrees Arthroscope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Usefulness for Inferior Labral Repair

  • Hyun, Yoon-Suk;Shin, Woo-J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4호
    • /
    • pp.201-207
    • /
    • 2017
  • Background: The blunted tip of a reusable with multiple uses can cause problems with the passing procedure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This study assessed the advantage of Scorpion with a $70^{\circ}$ arthroscope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compared to hook typed suture passer. Methods: Scorpion in 19 patients, the hook type suture passer (conventional group) in 18 patients were used. All patients underwent the same procedure except for the type of suture passer used. Another different point of the procedure were telescopes and the number of portals used; three arthroscopic portals (posterior, anterorsuperiorlateral, and mid-anterior) and a $30^{\circ}$ arthroscope in the conventional group, but two portals and a $70^{\circ}$ arthroscope as well as the $30^{\circ}$ one in the Scorpion group. The surgery time and the surgical complications including an iatrogenic axillary nerve injury were recorded. Results: The Scorp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urgery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roup.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group, Scorpion provided an easy estimation of the exit of suture passing, no iatrogenic labral injury during the passing procedure with straight movement and the sharp tip of the knife installed. Iatrogenic supraspinatus injuries could be avoided when making an accessory anteosuperiorlateral portal due to the $70^{\circ}$ arthroscope. Conclusions: I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the use of the Scorpion suture passer and a $70^{\circ}$ arthroscope can reduce the surgery time, avoid unnecessary supraspinatus injury, and avoid iatrogenic axillary nerve damage through the relatively easy and precise suture passing and saving of the anterosuperior portal.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의 복원술 - 수술 술기 - (Antero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Repair Using Antegrade Suture Passer - Technical Note -)

  • 서혁준;조철현;이시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5-99
    • /
    • 2013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전하방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 손상에 대해 antegrade suture passer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후방 삽입구를 통해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전상방 및 전하방 삽입구를 만든 뒤 방카트르 병변(Bankart lesion)의 확인 및 봉합 전 처치를 시행한다. 전하방 삽입구를 통하여 첫 번째 봉합 나사를 4시 반 방향에 고정한 다음 한가닥의 봉합사를 Scorpion$^{TM}$을 이용하여 5시 반 방향(우측 견관절 기준)에 있는 관절와와 분리 및 퇴축된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와 관절낭-관절와순 복합체를 약 10-15 mm 내측에서 통과시킨다. Scorpion$^{TM}$의 고리를 이용하여 통과시킨 봉합사를 삽입구로 빼낸 다음 SMC 매듭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후 3시 반, 2시 반 방향의 관절와에 각각 봉합 나사를 삽입하고 기존의 방법인 봉합 갈고리와 shuttle-relay technique을 이용하여 관절와순 봉합을 완성한다. 본 술기는 기존의 봉합 갈고리를 이용한 봉합술로는 어려웠던 5시 내지 5시 반 방향의 전하방 관절와-상완인대에 대한 해부학적 복원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초보자나 경험이 적은 술자에게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