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al automa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효율적인 순로코드 발생을 위한 고속 한글 주소검색 시스템 개발 (High-Speed Korean Address Searching System for Efficient Delivery Point Code Generation)

  • 김경환;이석구;신미영;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3호
    • /
    • pp.273-284
    • /
    • 2001
  • 실제로 사용되는 주소의 분석을 통해 한글주소의 해석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주소해석 방법을 이용한 주소 검색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주소 상위 및 하위영역의 일치검증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2단계 과정을 통해 최종 배달점에 대한 순로코드를 발생한다. 우편 번호와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단계에서는 우편버호를 이용하여 주소사전에서 검색된 주소단어와 인식된 문자 후보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편 번호를 검증하게 되며, 주소 상위영역과 주소 하위영역이 분리된다.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과정의 성능향상을 위해 혼동행렬을 제안하고, 주소 인식결과에 혼동행렬을 적용하여 검증 성공률의 향상을 통해 혼동행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주소 하위영역 검증은 번지정보와 건물명 정보를 이용하여 순로코드를 발생하였다. 부분적으로 완성된 광주와 부산지역의 DPF(Delivery Point File)와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 가능한 주소에 대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순로코드를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임의의 위치에 인쇄된 우정업무용 폭 및 높이 변조형 바코드의 인식 (Recognition of width and height modulated barcode printed at arbitrary position for postal service)

  • 김현수;이강희;유중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805-814
    • /
    • 1998
  • 우편물의 정보처리를 위하여 임의의 위치에 인쇄된 높이 변조 및 폭 변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화상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주소와 바코드 등이 포함된 화상으로부터 바코드 영역을 분리시켜 추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obel 연산자로 계산한 바코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된 바코드의 영역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바코드 영역을 이치화하여 폭과 높이 변조형 바코드를 해독 하였다. 제안한 화상처리 알고리즘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4 state 및 폭 변조 바코드에 적용하였으며, 1통의 우편물을 처리하는데 0.86초가 소요되었고 98%이상의 인식률을 얻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폭과 높이 변조형 바코드의 인식에 함께 적용 가능하므로 향후 우정업무의 정보치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순로정보 데이터베이스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DSI(Delivery Sequence Information) Database Prototype)

  • 김용식;이홍철;강정윤;남윤석
    • 산업공학
    • /
    • 제14권3호
    • /
    • pp.247-254
    • /
    • 2001
  • As current postal automation is limited to dispatch and arrival sorting, delivery sequence sorting is performed manually by each postman. It not only acts as a bottleneck process in the overall mailing process but is expensive operation. To cope with this problem effectively, delivery sequence sorting automation is required. The important components of delivery sequence sorting automation system are sequence sorter and Hangul OCR which function is to extract the address of delivery point. DSI database will be interfaced to both Hangul OCR and sequence sorter for finding the accurate delivery sequence number and stacker number.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DSI(Delivery Sequence Information) database prototype and client application for managing information effectively. For database requirements collection and analysis, we draw all possible sorting plans, and apply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one. And then, we design DSI database schema based on the optimal one and implement it using Oracle RDBMS. In addition, as address information in DIS database consist of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has its correspondence sequence number, so it is important to reorganize sequence information accurately when address information is inserted, deleted or updated. To increase delivery accuracy, we reflect this point in writing application.

  • PDF

우편물 접수·배달 자동화기기 기술현황 (Status of Automation Technologies for the Acceptance and Delivery of Postal)

  • 박문성;나동길;정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9권5호
    • /
    • pp.114-124
    • /
    • 2014
  •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개인 중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매년 통상우편에 대한 접수 물량은 지속적 감소되고 있고, 비정형 우편물과 소포(택배) 접수 물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우편서비스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국의 우편물류 사업자들은 우편물 접수 및 배달업무에 정보통신기술과 자동화기술을 활용하여 고객편익 증진과 우편사업의 경영개선을 목적으로 우편용 접수 및 배달 자동화기기 기술을 개발 및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편용 접수 자동화기기와 무인 택배시스템에 대한 국외 기술동향과 최근 무인우체국 구축에 사용된 국내 우편 접수 및 배달 자동화기기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포 하차업무 지원을 위한 협동 로봇 적용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Robots to Support Depalletizing of Parcel)

  • 김민혁;유창욱;이철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23-329
    • /
    • 2023
  • This paper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robots to the de-palletizing in IMC (Inte-grated Mail Center). The domestic courier logistics market has grown rapidly, and logistics centers are reaching critical capacity. Therefore, digital innovation based on logistics automation is necessary, and this paper looks a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collaborative robots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lletizing task. The benefits of introducing collaborative robots include immediate efficiency and the goal of assisting workers. The paper reviews related research and cases of collaborative robots applied to logistics centers and summarizes the results of collaborative robots introduced to actual postal logistics centers. The paper also provides a comparison of collaborative robots and industrial robots and presents four candidates for collaborative robots for logistics work. The paper also considers suction grippers to be mounted on the arm to grasp the parcel.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ve robots in the post office logistics center.

서장 우편물 자동처리를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 (Postal Envelope Image Recognition System for Postal Automation)

  • 김호연;임길택;김두식;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29-4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자동처리론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을 소개한다.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은 서장 우편물을 집배원이 배달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우편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수신인 주소를 출력하는 인식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은 수신인 주소영역 추출, 문자열 분리, 문자분할, 문자인식, 그리고 주소해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주소영역 추출을 위해서는 우편물 주소 기입 위치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문자열 분리와 문자분한을 위해서는 연결요소 분석과 수직런 분석을 이용하였다. 문자인식에는 신경망 기반 인식기를 이용하였으며, 주소해석을 위해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인식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모듈별 최적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에는 대전 유성우체국의 우편물 구분기를 이용하여 실제 우편물에서 수집한 인쇄 우편영상과 필기 우편영상을 이용하였으며, 비교적 우수한 인식 결과를 얻었다.

부분 영상 매칭에 기반한 텍스트 검증 (Text Verification Based on Sub-Image Matching)

  • 손화정;정선화;김수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2호
    • /
    • pp.115-122
    • /
    • 2005
  • 영상이 다른 영상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득 영상의 인치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 영상 매칭 방법은 대부분 자연 영상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 영상이 아닌 텍스트 영상을 매칭하는데 효과적인 두 가지 기법, 즉 메쉬 기반 방법과 상관성 기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다. 메쉬 기반 방법은 두 영상의 일치하는 모서리론 찾은 후 겹치는 영역에 대한 메쉬 특징을 이용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일치 영역 검색 단계와 유사성 측정 단계로 구성된다. 상관성 기반 방법은 FFT를 이용하여 두 영상의 상관성을 계산함으로써 유사도를 측정한다. 우편 자동화 시스템에서 텍스트 영상을 검증하는 분야에 세안 방법을 적용한 견과, 메쉬 기반 방법은 $90.1\%$, 상관성 기반 방법은 $92.7\%$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정보기술 기반의 미래형 우편접수창구 구축계획 수립 (Implementation Planning for Information Technology-Based Future Mail Acceptance System)

  • 정근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41-16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미래형 우편접수창구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현황분석을 위해 우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현행 문제점과 각종 이슈를 분석하며, 선진국의 다양한 우편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선진사례분석을 수행한다. 선행된 현황분석과 선진사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형 우편접수창구에 대한 기념적 모형을 설계한다. 제안된 모형은 무인우편창구, 다량우편창구, 통합우편창구로 대별할 수 있으며, 비효율과 부정확성을 제거하기 위해 정보기술과 자동화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우편접수 업무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후 제안된 개념적 모형의 구축을 위한 추진과제를 정의하고, 개별과제에 대한 실행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현업담당자와 관련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과제들의 중요도와 선후행관계를 평가한 후, 최종적으로 우편접수창구에 대한 구축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축계획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우편접수창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