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arenting Attitud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7초

다문화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이중문화수용태도, 집단따돌림 및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e, Biculture-Acceptance, bullying and Parenting attitude on Their Intention of School Dropout)

  • 정두수;백진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61-173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이중문화수용태도, 집단따돌림 및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문화 청소년 1,347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높은 자아탄력성 및 이중문화수용태도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학업중단의도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은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독립변수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이 학업중단의도를 가지는 것을 예방하고 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 차이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오윤정;김향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86-94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358명의 자료를 SPSS 18로 기술통계, ${\chi}^2$ test, t-test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군은 97명(27.0%), 일반 사용자군은 261명(72.9%) 이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군이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부모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학업스트레스 정도는 더욱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예측요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자인 경우에는 매일 스마트폰 사용시간(${\beta}=.29.4$)이, 일반 사용자군은 학업스트레스(${\beta}=.298$)가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 이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맞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한 부모요인 규명: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Par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금희;김성재;유혜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9-36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r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Relevant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9 to June 2019 were identified through systematic search in 10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NDSL, KISS, KMbase, KoreaMed, and RISS). Standardized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o quantify the associations of parental factors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using meta-analysis. Results: A total of 30 cross-sectional studies involving 7,943 participa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follow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r=-.35), mother-child attachment (r=-.28),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r=-.28),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r=-.25), and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r=-.15). Further, maternal factors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r=.41), parenting stress (r=.40), negative parenting behavior (r=.35), negative parenting attitude (r=.14), smartphone usage time (r=.26), employment status (r=.18), and age (r=.12)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Conclusion: Several parental factors influence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to assess and enhance the parental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to prevent smartphone overuse in preschoolers. Accordingly,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to strengthen parent-related protective factors and mitigate risk factors.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Children with IDDM

  • ;유일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6-172
    • /
    • 2007
  • Purpo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children with IDDM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63 children whose ages ranged from 10 to 15 years and who had been diagnosed with IDDM for over six months. Resilience was measured with an instrument developed by Kim (2002) and depression with the CDI by Beck (1967).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was 11.71 (range: 0-54) and resilience was 99.03 (range: 32-128).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performance (r=0.598, p>.01), an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r=-0.579, p>.01) and resilience (r=-0.577, p>.0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cademic performance (${\beta}=-0.419$, p>.01),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eta}=-0.338$, p>.01) and resilience (${\beta}=-0.219$,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Conclusions: The children with IDDM who reported lower resilienc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better academic performance were more depressed. It is important for nurses to identify the strengths of the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es and to help them increase their resilience level to prevent depression. Parenting classes are necessary to help parents support resilience of their childre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mothers of these children are also recommended.

  • PDF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박기락;최효식;연은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69-677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중학교 전 학년 502명을 대상으로 과학 태도 검사(MARS) 과학 탐구 능력 검사(TSPS)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 검사(PBI)를 하였으며, 1학기 1 2차 과학 지필평가 자료를 수집 후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탐구 능력이나 과학 학업 성취도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학업 성취도에,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과학 태도, 그리고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을 매개로 과학학업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요인인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 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가정에서는 자녀의 과학 태도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부모가 긍정적 양육 태도를 지닐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Grit),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y Nursing Students, Gri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이지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43-550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 태도, 그릿,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195명으로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양육 태도 41.84±7.55, 어머니의 양육 태도 42.97±8.74, 그릿 103.43±12.74,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76.99±10.10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아버지의 양육 태도(r=-.228, p<.001), 어머니의 양육 태도(r=-.257,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그릿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84, p<.001)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는 그릿(β=.553, p<.001)이 영향을 미쳤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2%로 나타났다(F=36.070,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릿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이용한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의 관계에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69-479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행복과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우울이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 부모로부터 수집된 2,551부의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가 느끼는 행복은 자녀가 지각한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녀의 우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행복은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하다고 지각하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따뜻하고, 구조를 제공하며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여 우울을 낮추고 행복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Exploring parent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sweetness preferences and sweets intake of children

  • Woo, Taejung;Lee, Kyung-He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2호
    • /
    • pp.169-177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Excessive sugar intake is one of the cause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several chronic diseases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ing variabl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sweetness preferences and sweets intake of children. SUBJECTS/METHODS: Parents and their children (n = 103, aged 5-7 years) were enroll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for this study, after providing the required informed consent. Parents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t their residence. The sweetness preference test for children was conducted at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by applying the one-on-one interview method. RESULT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categorized by the K-mean cluster analysis: Cluster 1 had higher sweetness preference (0.42 M sugar, 35%; 0.61 M sugar, 65%); Cluster 2 exhibited lower sweetness preference (0.14 M sugar, 9.5%; 0.20 M sugar, 9.5%; 0.29 M sugar, 81%). Cluster 1 had a higher frequency of sweets intake (P < 0.01), and lower sweets restriction (P < 0.05)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P < 0.05). Sweets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tritional quotient (r = -0.204, P < 0.05).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arents was higher in cluster 2 (P < 0.05), while affective attitude, feeding practice, and reward were higher in cluster 1 (P < 0.001, P < 0.05, and P < 0.01, respectively). Furthermore, behavioral intention of par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ffective attitude (r = -0.282, P < 0.01) and feeding practice (r = -0.380, P < 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 (r = 0.203, P < 0.05) and parenting attitude (r = 0.433, P < 0.01).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weetness preferences and sweets intake of children is related to the parent's affective attitude, feeding practice and reward. We suggest that to reduce the sugar consumption of children, guidelines for access to sweets and pertinent parenting practices are required.

The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A Comparison Study of Koreans and Malaysians

  • Chua, Loo-Khoon;Kang, Min Ju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1-1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internal fact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external factor) on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ADOG). Additionally, models predicting ADOG were compared between Korean and Malaysian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0 Korean third graders and their mothers, and 100 Malaysian third graders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completed the modified versions of the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Scale for Children, and Academic Self-Concept Questionnaire. The mothers completed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s, independent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children reported higher ADOG and academic self-concept scores than that of Malaysian children. Moreover, academic self-concep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OG among both Korean and Malaysian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ADOG for both Korean and Malaysian children. However,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ADOG were only detected among the Malaysian children, particularly on Achievement Press. That is, only for the Malaysian children, maternal pressure about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OG. In conclusion, only academic self-concep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explaining the variance in ADOG among Korean children. On the other hand, academic self-concep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shown as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the variance in ADOG among Malaysian children.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ren's Learning Readiness Mediating Effects of Paren-Child Interactions and Parental Attitudes)

  • 김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63-5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5차(2012년)부터 7차(2014년)까지 3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480개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5차년도 기준으로 만 5세이다. 분석도구로는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연구문제에 해당하는 경로계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 아동의 학습준비도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습준비도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를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과 대책이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