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adversity and parenting attitude and neuroticism in adulthood. Methods : Forty nine women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and completed Early Trauma Inventory-Short Form (ETI-SF). We compared scores on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Neuroticism of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childhood adversity. Results : Compared to women without childhood adversity, women with childhood adversity showed more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and higher Depression and Self-Consciousness scores on Neuroticism domain of NEO-PI. Total ETI-SF scores and emotional abus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ng attitude scores on the MBRI and BDI scores. Physical abuse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jecting attitude scor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jecting attitude scores on the MBRI, Neuroticism scores on the NEO-PI, and BDI score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adversity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state in adulthood. For girls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 early intervention is neede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neurotic temperament and rejecting parenting in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143 mothers who are caring for their 3-6 year ol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Data was collected using a parenting stress index and a child behavior check list.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t-test, a one-way ANOVA(Scheff'e test),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However,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multicultural famili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sub-variabl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ther's education, the mother's stress caused by a difficult child, the mother's stress caused by dysfuntional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educational distress,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reschool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타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주관으로 구성된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누락된 응답문항이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13~18개월 영아와 26~39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1,637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수준에 따라 양육스타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출생순위가 첫째아인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보다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이하보다 301만원 이상일수록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양육지식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생순위가 첫째아이고 높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어머니 학력이 고졸이고 낮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다른 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녀가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태도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획인한 후, 양육태도에 대한 부모의 상호작용 형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 년도(2013년)의 1,542쌍의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가치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지만,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태도는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녀가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부모의 양육 태도는 부모의 자녀가치와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본 연구에서 다수의 변수들이 자기 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낮추는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커플 자료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APIM 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부모의 자녀가치, 양육 스트레스, 양육 태도간의 관련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mother/infant-toddler health program developed to enhance parenting knowledge, behavior and confidence in low income mothers and home environment.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Sixty-nine dyads of mothers and infant-toddlers (aged 0-36 months) were provided with weekly intervention for seven session. Each session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educating to increase integrated knowledg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toddler including nutrition, first aid and home environment; second, counseling to share parenting experience among the mothers and to increase their nurturing confidence; third, playing with the infant/toddler to facilitate attachment-based parenting behavior for the mothers. Results: Following the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parenting knowledge on nutrition and first aid.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attachment-based parenting behavior, but not in home safety practice. Nurturing confidenc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gram led to more positive home environment for infant/toddler's heal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 evidence for mother-infant/toddler health program to improve parenting knowledge, attachment-based parenting behavior and better home environment in low income mothers. Study of the long term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s recommended for future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ild-rearing practices and parenting efficacy of Marriage-Immigrant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6 to December 30, 2008. Marriage-immigrant women (n=186) were recruited in G Province, C Province and P cit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14.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 for child-rearing practices was $40.61{\pm}6.67$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aring practices by nationality,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mean score for parenting efficacy was $67.67{\pm}12.14$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efficacy by age, nationality, marital period, age of first child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aring practices and parenting efficacy (r=.227, p=.002). Conclusion: In this study, marriage-immigrant women showed a moderate level of child-rearing practices and parenting efficacy. Because child-rearing is mainly the mother's role in the family, knowledge, attitudes to child-rearing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influence child-rearing practices and these then, affect children's health. Therefore child-rearing educational programs for marriage-immigrant women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the mothers' child-rearing practices and improve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examined short-term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compliance/noncompliance, as well as stability in bot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compliance/noncompliance over time. The sample which was used for this study was taken from a two-wave (one year apart) longitudinal study of pre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N = 53 dyads). At both times,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invited to a laboratory and engaged in 25 minutes of play involving three episod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compliance/noncompliance during play were coded using the 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ystem-III (DPICS-III). Maternal codes included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codes were comprised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during the play session, maternal neutral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compliance were stable over time. In addition, T1 maternal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2 child compliance/noncompliance. However, T1 child compliance/noncomplianc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2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uring the preschool period, there are unidirectional effects from mothers to children.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 quotient (NQ) by mother's parenting style which may influence the NQ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Subjects were 310 mothers and their 4-6 year old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and eating behavior as measured by NQ questions. The NQ questions consisted of 19 food behavior checklist items and all items were grouped into 5 factors: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regularity, and practice. Mother's parenting style was classified by using words for nutrition education at meal time.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program (Ver. 23) and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variables were evaluated by Student's t-test, ${\chi}^2$-test, One-way ANOVA. Results: We observed that in children whose mothers use the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of 'explanation' and 'compliment & cheer up' had high dietary regularity, diversity, practice. The children of mothers who use the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of 'persuasion' and 'reward' were found to have a lower degree of balance, diversity, and practice. Especially, children of 'reward' style mothers had lower moderation of dietary lif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of 'comparison & demand', 'treating' and 'fai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Q factor by each group. NQ grade was higher among those who used more explanation (p < 0.001) and persuasion (p < 0.01) and with use of less persuasion (p < 0.01) and reward (p < 0.01). The positive association observed between the frequency of dietary education of mothers and higher NQ grade indicated the degree of dietary practices of those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of mothers who rarely practice the dietary education at home had lower NQ grade (p < 0.001).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proper dietary behaviors, it is important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as well as provide guidance on parenting style at meal time.
Purpose: Group-based interventions help the members of the parent group work together to share their parenting stres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support each other emotionally and informatively, and allow them to achieve what they wa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ynthesize the outcome of a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Methods: Published randomized control trials were identified through Ovid-Medline, Embase and CINAHL DB. Eligible studies include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18 in English i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in which parenting support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group. Results: A total of 11 studies was selected for this review. These programs reported large level of effect size for parenting, and middle level effect size for parent's psycho-social outcomes and child development. There were many programs conducted for parents with infants between 13 and 24 months, and the frequency of programs provided for 2 hours a week was high with 9 to 12 sessions. Most programs were facilitated by trained professionals including nurses and social workers except two programs led by lay persons. Conclusion: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on parenting, parent's psychosocial health and infant development. To disseminate the effective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long term effect and develop nurse's role as a group facilitator.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진학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 기능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각된 양육방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사이의 매개효과 관계를 가정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2016)의 초4패널의 6차와 7차 자료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방식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으나, 통제적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민주적 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통제적 양육방식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양육방식 개선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