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Negative affect

검색결과 1,048건 처리시간 0.026초

긍정적 감정에 따른 선언적 지식에 관한 비전형적 연상 과정에 대한 인지모델링 (Cognitive Modeling of Unusual Associati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by Positive Affect)

  • 박성진;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3-49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del unusual associati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by positive affect using ACT-R cognitive architecture. Existing research related with cognitive modeling tends to pay a lot of attention to strong and negative cognitive moderator. Mild positive affect, however, has far-reaching effects on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Typically, subjects with positive affect were more likely to respond to unusual associates in a word association task than subjects with neutral affect. In this study, a cognitive model using ACT-R cognitive architecture was developed to show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the cognitive organization related with memory. First, we organized the memory structure of stimulus word 'palm' based on published results in a word association task. Then, we decreased an ACT-R parameter that reflects the amount of weighting given to the dissimilarity between the stimulus word and the associate word to represent reorganized memory structure of the model by positive affect. As a result, no significant associate probability difference between model prediction and existing empirical data was found. The ACT-R cognitive architecture could be used to model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 on the unusual association by decreasing (manipulating) the weight of the dissimilarity. This study is useful in conducting model-based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in complex tasks involving memory, such as creative problem solving.

Effects of Emotion Freedom Techniques on Academic Stress in Korean Medical Students: A Single-Group Pre-Post Study

  • Lee, Seung Hwan;Han, Sang Yun;Lee, Soo Jin;Chae, Han;Lim, Jung Hwa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48
    • /
    • 2022
  • Objectives: Academic stress poses a significant risk for the ment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and a feasible group intervention program for managing academic stres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EFT) on the mental health of Korean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class of first-year medical school students (n=36) participated in an after-school EFT group intervention program comprising six sessions (15 minutes/session, three weeks) to analyze its clinical effectiveness as a single-group test-retest clinical study. The changes in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Test Anxiety Inventory (TAI),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ores were examined using a paired t-test and Cohen's D at post-EFT and two-week follow-up.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urtailments at post-EFT and follow-up measures in TAI-Total (t=2.704 and t=3.289), TAI-Worry (t=2.297 and t=2.454), TAI-Emotionality (t=2.763 and t=3.654), PSS-Negative Perspective (t=2.659 and t=3.877), and PANAS-Negative Affect (t=2.885 and t=3.259) subscales, however not in PSS-Positive Perspective (t=-1.279 and t=-1.101) and PANAS-Positive Affect (t=0.194 and t=-0.122) subscales. The trait anxiety (t=2.227) was significantly mitigated in the post-EFT measure and the state anxiety (t=2.30) in the follow-up measure. Conclusions: The EFT group intervention alleviated test stress, negative affect, and anxiety in the Korean medical stud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academic stress and EFT intervention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medical education.

우정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웰빙에 대한 마음챙김-긍정심리 EAP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EAP Program on Stress and Well-Being of Postal Workers)

  • 박예나;이지은;김세종;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93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ustomized EAP program for post office workder, incorporating mindfulness and positive psychology,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n job burnout and well-being of the postal workers. Methods : Participants were currently working postal employees and were recruited voluntarily through the website of the Korea po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A total of 42 work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until the end and completed preprogram and post program questionnaire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EAP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participants' mindfulness (t=-5.021, p<0.001), job burnout (t=5.824, p<0.001), self-esteem (t=-4.852, p<0.001), positive affect (t=-4.534, p<0.001), negative affect (t=5.635, p<0.001), and body tension (t=6.355, p<0.001),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measure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ndfulness-positive psychology EAP clas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mindfulness, self-esteem, and positive affect and decreasing job burnout, negative affect, and body tension among postal workers, demonstrating the usefulness of an integrated approach.

과학기술의 위험 및 이득 지각에서 감정추단 (Affect Heuristic in Risk and Benefit Perception of Scientific Technologies)

  • 이현주;이영애
    • 인지과학
    • /
    • 제18권3호
    • /
    • pp.305-324
    • /
    • 2007
  • 여러 과학기술에 대해 사람들이 가진 감정적 심상이 각 과학기술의 위험과 이득을 판단할 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단어 연상 기법을 통해 특정 과학기술에 대해 떠오르는 심상들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심상값으로 감정을 측정하였다. 감정추단 가설의 예언대로 과학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감정에 따라 해당 과학기술을 더 유익하거나 더 위험하게 지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이 판단의 대상에 대해 긍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부정적 감정을 가진 경우보다 위험을 더 낮게 지각하고 이득은 더 높게 지각하였다. 이와 반대로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긍정적 감정을 가진 경우보다 위험을 더 높게 지각하고 이득은 더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에 대한 판단에서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감정추단의 작용을 시사하는 이런 결과들을 감정 측정 그리고 과학기술에 대한 의사소통의 필요성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PDF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서 먹방이 대리만족과 욕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kbang under Consum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Their Vicarious Satisfaction and Desire to Eat)

  • 김현필;황금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1호
    • /
    • pp.71-82
    • /
    • 2022
  • Mukbang,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opular content, is now enjoying a sensational popularity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kbang on consumers' vicarious satisfaction and desire increase in different emotional aspects. In addition, we analyzed how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consumers affect the vicarious satisfaction and desire increase of mukbang. According to this purpose, 120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d watching mukbang were encouraged to watch mukbang videos after inducing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s, and the effects of vicarious satisfaction and increased desire depending on emotion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mukbang was high in positive emotional states, and desire through mukbang was high in negative emotional state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different effects of mukbang according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is expected to help derive marketing measures using consumer emotional states that have not been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using mukbang as a marketing tool.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청소년기 우울증의 정서적 증상 - 대인맥락 변화를 중심으로 - (Manifestation of Affect States Across Daily Interpersonal Contexts Depending on the levels of Adolescent Depression)

  • 이미리;김진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81-91
    • /
    • 200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ily manifest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tates of early adolescent depression across daily interpersonal contexts. Forty-five boys and 44 girl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s participated and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CDI scores. Among 89 students 59 students in the highest or the lowest CDI groups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next step of this stud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the 59 students reported their affect states 6 times per day across four daily interpersonal contexts: the contexts alone, with all classmates, with a few friends, and with family memb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rst, the high CDI group felt more worried, angrier, more hurried, less happy, less interested, less control, and less relaxed than the low CDI adolescent group. Second, the negative affect states of the high CDI adolescent group did not vary across the interpersonal contexts, whereas their positive affect states were the highest in the context with a few friend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illuminating the phenomenology of adolescent depression.

유아의 미디어 이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언어발달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Young Children's Media Use on Peer Interac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Language Development)

  • 조윤주
    • 아동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6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anguage development on the influences of young children's media use on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Methods: The data came from the 2013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N = 1,215) and were analyz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use on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using SEM with the bootstrapping method by means of SPSS 21.0 and AMOS 20.0.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ed media use affects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through language development. This indicates that, while media use does not directly affect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it appears to increas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language ability; as the language development worsens, undesirable peer interactions may develop. Thus, language development seems to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between media use and peer interact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정상 성인에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통해 관찰한 무쾌감증 관련 뇌 영역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Anhedonia in Healthy Adults : a PET Correlation Study)

  • 정영철;석정호;전지원;박해정;이종두;김재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38-444
    • /
    • 2005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무쾌감증과 정적 및 부적 정동소질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rait)의 연관성을 밝히고, 이 요인들과 연관이 있는 신경 구조들을 찾아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정상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18}F$-FDG PET를 이용하여 정지 상태(resting state)에서의 뇌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무쾌감증 척도(anhedonia scale)와 정적/부적 정동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이용하여 개인의 정서적 소질을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무쾌감증이 정적 정서 소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변인 모두 하측두이랑(inferior temporal gyrus)의 대사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신체적 무쾌감증과 사회적 무쾌감증은 소뇌(cerebellum)의 대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사회적 무쾌감증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ex)의 대사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들 영역들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주로 인지적 손상 및 이와 연관된 음성증상들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되어 왔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하측두이랑(inferior temporal gyrus)과 전전두엽-소뇌 회로(prefrontal-cerebellar circuit)가 정서적인 영역의 음성증상 발현과도 관련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본 결과들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아닌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정신분열병의 발병 유무와 상관없이 또는 선행해서 존재하는 무쾌감증의 신경해부학적 기능이상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고, 정상적 성격 성향과 뇌기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부하기에서 각각 0.95, 0.93, 0.71이었고 휴식기에서 각각 0.95, 0.90, 0.69으로 대체적으로 좋았으나 Bland-Altman분석에서 두 프로그램의 일치의 한계 값의 범위가 비교적 컸음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하여 심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서 QGS와 4DM 프로그램 각각의 EDV, ESV, EF의 정상 값을 구하였다. 두 프로그램의 상관관계는 높지만 두 프로그램의 결과 값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앞으로 판독에 유의한 참고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 70-90분 영상에서 각 관심 영역에서의 방사성 농도를 구하였고, 조직비 방법에 근거하여 기저상태 및 흡연 상태의 방사성 리간드의 수용체 결합능 (binding potential;BP)을 구하였다($BP=C_{ROI}/C_{cerebellum}-1$). 흡연에 의한 도파민의 유리는 흡연 전후의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변화율로 계산하였다. 흡연에 의한 혈중 니코틴의 상승은 흡연후 90 분간의 혈중 니코틴의 축적 농도로 계산되었으며, 흡연에 의한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감소율과 혈중 니코틴의 축적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스피어만 상관분석법(Spearman's correlation)에 의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흡연에 의한 선조체에서의 평균 $[^{11}C]raclopride$의 수용체 결합능의 변화는 미상핵에서 4.7%, 전피각에서 4.0%, 복측 선조체에서 7.8% 의 감소를 보여 흡연에 의한 선조체내 도파민 유리를 정량화 하였다. 특히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유리에 의한 수용체 결합능의 감소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 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5-196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 부적 정서척도, 스마트폰 중독진단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상담과정에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정을 통한 부적 정서의 완화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ERP로 확인되는 인지정보 처리에 대한 정서 점화효과 (Affective Priming Effect on Cognitive Processes Reflected by Event-related Potentials)

  • 김충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42-250
    • /
    • 2016
  • 본 연구는 스트룹(Stroop)과제를 이용하여 정서가(affective valence)로 구성된 역하의 정서유발 점화자극이 인지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일반인에서도 정서장애 환자와 같은 지표가 나타나는지를 반응시간과 ERP(사건관련전위) 패턴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정서가(긍정 및 부정)와 일치여부로 수행되는 인지과제의 조합으로 제시되어 수집되었고, 전위변화의 특성인 진폭과 정점 잠복기를 기준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먼저 반응시간 행동분석 결과, 중립 정서자극을 제외한 역하의 정서자극에 의해 목표과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부가적으로 수집된 사건관련전위를 분석한 결과, 불일치 요인이 결합된 부정적 정서정보가 긍정적 정서정보에 비해 더 높은 음전위 및 지연된 잠복기를 보임으로써 표정과 관련된 정서유발-특정적인 N2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조건에서 긍정조건에 비해 유의한 차이의 양전위와 함께 더 짧은 잠복기를 보이는, 인지적 판단과정의 차이를 시사하는 P300의 효과도 관찰하였다. 이는 역하의 부정적 정서정보가 인지처리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억제되는 경향과 함께 해당 정서의 탐지를 가속시키는 한편, 주의자원의 적절한 재분배를 가능케 하여 목표자극의 반응을 촉진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기능적이고 인지적인 반응의 차이에서 역하효과를 비롯하여 과제 수행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정서관련 재인과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