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Service Index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물류서비스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 Study on the Ripple Effect of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 정분도;홍금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8
    • /
    • 2008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물류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물류서비스부문의 정책개선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은행에서 작성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였는데, 1998년, 2000년, 2003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생산유발계수는 철도운송 1757단위, 도로운송 1688단위, 하역 1617단위로 높게 나타나고,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운수보조서비스, 하역, 보관 및 창고, 기타 운수관련서비스 등은 낮게 나타나는 반면 수상운송 0.679단위, 항공운송 0.558단위로 수입유발계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철도운송 0.841단위, 도로운송 0.828단위, 운수보조서비스 0.962단위, 하역 0.939단위, 보관 및 창고 0.938단위, 기타 운수관련서비스 0.942단위로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감응도계수는 도로운송이 높고, 수상운송과 보관 및 창고업의 감응도계수가 낮다. 그리고 영향력계수는 철도운송, 도로운송이 높고, 반면에 수상운송과 항공운송의 영향력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물류서비스산업의 취업구조를 살펴보면, 도로운송부문이 74만 4천명으로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으며, 항공운송 1만 9천명, 운수보조서비스업이 2만명으로 물류서비스업에서 종사자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발틱운임지수가 한국 주가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tic Dry Index on the Korean Stock Price Volatility)

  • 최기홍;김동윤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1-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BDI 변화가 한국 주가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EGARCH 모형과 그랜저인과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평균방정식을 보면, BDI 변화율은 대형주, 제조업, 서비스업과 화학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수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주식시장이 해운시장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원자재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실질적인 경기회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분산방적식의 결과를 보면, BDI 변화율의 추정계수는 음(-)을 값을 가는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별 변동성에서 BDI 변화율은 모든 지수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형주에 비해 소형주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지수들의 분석결과에서는 제조업과 화학 부문을 제외하고 서비스업, 금융업, 건설업과 전기전자의 결과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BDI 변화가 건설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랜저인과관계 검정결과를 보면, BDI 변화율이 금융업과 건설업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DI와 나머지 지수들 간에 선도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해상운임지수가 한국의 주식시장의 변동성의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투자자, 정책입안자에게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해양레저전시이벤트의 서비스품질 불만족이 불평행동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arine Leisure Exhibition Event's Service Quality Dissatisfaction on Complaining Behaviors and Repurchase Intentions)

  • 조우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99-307
    • /
    • 2013
  • 본 연구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이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성공적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G도에서 개최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 35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의 불만족 수준은 7점 Likert 척도를 기준으로 3.29점에서 3.85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 불만족 요인 중 직원, 환경, 전시시설은 불평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원, 환경은 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해양레저전시이벤트 서비스품질 불만족 요인 중 전시시설만이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양레저전시이벤트 방문객의 불평행동 요인은 재방문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양레저전시이벤트 개최의 성과 지표인 안정적인 방문객 확보를 위한 서비스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충돌위험도 평가 모델을 활용한 소형선박에 대한 선박교통관제사의 위험도 분석 (Risk Analysis of VTS operators for Small Vessels Using Collision Risk Assessment Model)

  • 이진석;김주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0-255
    • /
    • 2019
  • 본 연구는 유선, 어선 등이 관제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당 선박이 VTS(Vessel Traffic Service) 관제사에게 미치는 충돌사고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소형선박의 범위를 정하여 부산 VTS 관제 구역을 항해하는 일반상선과 소형선박의 침로 등을 3일간 조사하였다. 이를 VTS 관제사 관점에서의 충돌위험 평가모델(CoRI)로 위험도를 구한 결과, 침로 편차에 따른 위험도의 증가 감소 패턴은 비슷하였고, 최댓값과 최솟값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부분 VTS 관제사는 선박근접상황에 대해 안전하게 관제할 수 있는 최소 시간으로 3분이 필요하다 응답하였는데, 소형선박의 충돌위험도는 3분의 시간 동안 매우 급격하게 위험도 변화를 보여 VTS 관제사의 업무량 증가와 집중도 저하 우려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소형선박의 관제대상 포함 여부가 VTS 관제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충돌위험도로 검토한 것으로, 향후 다양한 사례를 통한 CoRI 모델의 각 지수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통해 관제 대상 선박의 적절한 범위 설정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뮬레이션에 희한 부산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체계적인 분석 (A Systematic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Busan Container Terminal by Computer Simulation)

  • 김현;이철영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9-73
    • /
    • 1988
  • Since the middle of 1950's when sea transportation service by container ship was established, containerization has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world with realization of intermodalism, and becomes an index of economy growth of a country. Our country has established Pusan Container Terminal at Pusan harbour in 1978 in step with worldwide trend of containerization, and is constructing New Container Terminal at Pusan outharbour which will be completed in 1990. This paper aims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usan Container Terminal system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especially focusing on its subsystems such as ship stevedoring system, storage system and transfer system. First, the capacity of various subsystems are evalua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effectively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Secondly, the suggestion is presented to improve the operation by considering the throughput that Pusan Container Terminal will have to accept until 1990, when New Container Terminal will be compl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 the inefficiency i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various subsystems at Pusan Container Terminal on the basis of about 1.2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33%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4/5 days for export/import. 2) On the basis of about 1.4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12\%$ for gantry crane, $11\%$ for straddle carrier and $66\%$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3/4 days for export/import. 3) On the basis of about 1.7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25\%$ for gantry crane, $28\%$ for straddle carrier and $100\%$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3/4 days for export/import. 4) On the basis of about 2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25\%$ for gantry crane, $30\%$ for straddle carrier and $110\%$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2/3 days for export/import, and it is necessary to enlarge storage yard.

  • PDF

DEA와 Malmquist 지수를 활용한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DEA and Malmquist Index Approach to Measur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n Trucking Companies)

  • 이영재;공정민;전준우;여기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103
    • /
    • 2016
  • 본 연구는 DEA-CCR, BCC 그리고 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취급량 기준 국내 상위 14개 화물자동차운송업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투입변수로 화물취급업소 수, 트럭 수, 자산을 이용하였으며, 산출변수로 취급량과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 모형을 적용했으며, Malmquist 지수를 적용하여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DEA분석 결과 DMU4,5,10 총 3개 업체의 CCR, BCC, 규모의 효율성이 모두 1로 효율적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lmquist 지수분석결과,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생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TECI는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 지수가 모두 1보다 높아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TCI는 반대로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1보다 낮은 지수로 기술이 퇴보된 추세로 분석됐다.

선박 온실가스 배출규제 강화에 따른 대응방안별 실효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ach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of the Regulation of GHG Emission from the Ship)

  • 류영수;장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1-202
    • /
    • 2021
  • 국제해운에서의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규제는 가일층 강화되고 있으며 국제해사기구에서 수립한 온실가스 저감목표는 기술적 및 운항적 측면에서 해운선사에는 커다란 도전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탄소집약도 기준 2008년 대비하여 2030년 까지 30% 및 2050년 까지 70%를 감축하고 총배출량 기준 50%까지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해 IMO는 단기 및 중장기 조치를 일부 채택하여 2023년부터 현존선에 대한 에너지효율 지표인 EEXI 적용과 일부 선형에 대한 EEDI 3단계 조기 적용 등의 기술적 조치 채택하였으며 선박의 탄소집약지수인 CII를 채택하여 운영적 측면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조치를

  • PDF

조사선 제라호의 조종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euverability evaluation by the research vessel JERA)

  • 이창헌;안장영;김석종;김민선;최찬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2호
    • /
    • pp.177-186
    • /
    • 2017
  •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avigator with specific information necessary to assist in the avoidance of collision and in operation of ships to evaluate the maneuverability of research vessel Jera. Authors carried out full-scale sea trials for turning test, zig-zag test, and spiral test at actual sea-going condition, which were performed on starboard and port sides with 10-20 rudder angle at service speed of 10 knots. The turning circle was much different at both of the turning of port and starboard which was longer at the starboard than at the port. In the zig-zag test results, the port and starboard was $10^{\circ}$ the first and second overshoot angles were $6.0^{\circ}$, $5.8^{\circ}$ and $6.3^{\circ}$, $7.1^{\circ}$ respectively and the first overshoot angles were $16.4^{\circ}$, $17.6^{\circ}$ when using $20^{\circ}$. Her maneuverability index T and N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ing an analogue computer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zig-zag tests where K is a constant representing the turning ability and T is a constant representing her quick response. In the zig-zag tests under $10^{\circ}$ or $20^{\circ}$ at rudder angle, the value K is 0.149. 0.123 sec- and T is 11.853 and 6.193 sec and angular velocity is $0.937^{\circ}/sec$ and $1.636^{\circ}/sec$. In the spiral test, the loop width was unstable at $+0.51^{\circ}$ and $-1.19^{\circ}$ around the midship of rudder, but the tangent line at $0^{\circ}$ was close to vertical. From the sea trial results, we found that she did comply with the present criterion in the standards of maneuverability of IMO.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항만 계류시설 유지보수 투자우선순위 결정 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Investment Prioritization Criteria for the Mooring Facilities's Maintenance by the Delphi Study)

  • 김용희;이영호;송재준;이상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15-524
    • /
    • 2014
  • 본 논문은 국내 노후 항만 계류시설에 대한 유지보수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한정된 예산을 적기에 투입함으로써 시설물의 상태를 관리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정된 예산을 적재적소에 투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상태평가 점수와 정량적 평가지표 및 관리주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전국단위의 네트워크 레벨 투자우선순위 결정 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준의 타당성 및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항만 계류시설 유지보수 및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각 항목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을 도출하였다. 평가기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만 계류시설의 물동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연간물동량/연장'을 활용하여 항만 계류시설의 활용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항만 계류시설 유지보수 투자우선순위 결정 기준은 향후 전국단위의 항만 계류시설 유지보수 예산계획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유지보수 예산분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상 시 선원교대를 위한 거점항만 선정과 국제협력 방안 - HMM 정기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Base Port and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for Seafarer Rotation In case of Emergency - Focusing on the Service Network of HMM -)

  • 김보람;이혜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5-285
    • /
    • 2021
  • 코로나19는 선원교대를 지연시키면서 선박과 선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선원의 승선환경에 있어 해운기업과 정부가 놓치고 있는 사각지대는 존재하고 있다. 선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비상체제 상황에서 인적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대방안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직 및 현직 선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승선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안전이었으며 비상체제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임금 및 복지의 향상보다 선원의 원활한 교대방안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국적해운기업의 대륙별 주요 항로를 분석하여 기항 횟수가 많고 항공연계성지수가 높은 항만을 거점항만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국제해운에 승선하는 국내 선원의 효과적인 교대를 위한 이동경로를 구상하였다. 그를 위해 비상 시 선원의 안전한 본국 귀환 및 이송을 위하여 선박과 항만, 항공을 연계한 이동경로 구축은 다른 나라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또한, 국제해사기구의 협력을 통해 선원교대의 어려움에 처해있는 선원들을 위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시작으로 국적 선원이 승선하는 정기선과 부정기선의 귀항로 및 불귀항로 정보와 선원 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어 상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체계가 갖추어진다면 비상체제 발생 시 우리나라의 정책 대응방향을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선원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해운기업의 노력과 더불어 개정이 필요한 국내법을 검토하고 선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국민적·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