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A and Malmquist Index Approach to Measur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Korean Trucking Companies

DEA와 Malmquist 지수를 활용한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이영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공정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전준우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6.2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domestic trucking transportation companies using DEA-CCR, BCC, and Malmquist indexes. Here, we analyze the top 14 domestic trucking transportation companies, based on cargo volume. The number of freight agents, trucks, and asset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and cargo volumes and sales are used as output variables. The efficiency of trucking transportation companies is examined using a DEA approach, and Malmquist indexes are applied to analyze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DEA results, the efficiency levels of the CCR, BCC, and scales for three companies (DMU 4, 5, and 10) are 1, indicating that these companies are operated efficiently. At the same time, the Malmquist indexes show that all companies have values smaller than 1, except for the period 2012-2013, indicating that their productivity decreased. Furthermore, the TECI indexes were all larger than 1, except for the period 2012-2013, indicating that the companies are efficient. Lastly, all TCI indexes are smaller than 1, except for the period 2012-2013, indicating regressing trends.

본 연구는 DEA-CCR, BCC 그리고 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취급량 기준 국내 상위 14개 화물자동차운송업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투입변수로 화물취급업소 수, 트럭 수, 자산을 이용하였으며, 산출변수로 취급량과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 모형을 적용했으며, Malmquist 지수를 적용하여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DEA분석 결과 DMU4,5,10 총 3개 업체의 CCR, BCC, 규모의 효율성이 모두 1로 효율적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lmquist 지수분석결과,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생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TECI는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 지수가 모두 1보다 높아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TCI는 반대로 2012-2013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1보다 낮은 지수로 기술이 퇴보된 추세로 분석됐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경.우수한.강효원(2014), "DEA를 활용한 해운.물류 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2호, 93-112.
  2. 구종순(2014), "BSC, DEA와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해운선사의 벤치마킹 관리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3권 제0호, 579-615.
  3. 국우각(2013), "업종별 물류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에 관한 실증연구", 물류학회지, 제23권 제1호, 29-49.
  4. 김창범.이민희(2010), "항만수출과 지역경제의 효율성",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제3호, 165-174.
  5. 김태훈.김판수(2008), "소비자의 택배업체 선정을 위한 Fuzzy AHP의 적용",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4호, 1725-1743.
  6. 박길영.하명신(2015),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에 대한 효율성 분석-DEA분석을 토대로", 무역통상학회지, 제15권 제4호, 169-190.
  7. 박이숙.소순후(2013), "SFA와 DEA를 이용한 종합물류인증기업의 효율성 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79권 제0호, 937-954.
  8. 박차미.김태승(2014), "DEA-SBM을 이용한 국내 물류산업의 효율성 분석", 로지스틱스연구, 제22권 제4호, 27-47.
  9. 배일현(2007), "택배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고객지향성, 종업원 만족, 고객유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A기업을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제17권 제4호, 101-129.
  10. 송장근.김태룡(2012), "택배산업의 서비스품질 성과형성모델", 유통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37-45.
  11. 오승철.안영효(2013), "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종합물류인증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로지스틱스연구, 제21권 제2호, 93-112.
  12. 이윤.안영효(2011), "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한국의 주요 국가산업단지 운영 효율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3권 제5호, 95-117.
  13. 이재학(2012), "IPA를 이용한 택배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3권 제2호, 271-289.
  14. 이재학.송영태(2005),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의 경쟁우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15권 제1호, 165-190.
  15. 장명희(2010), "DEA를 이용한 국내 화물자동차 운송업의 상대적 효율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328-341.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328
  16. 최기운.윤정호.이진규.여기태(2015), "DEA를 활용한 포워딩 업체의 효율성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지, 제86권 제0호, 331-352.
  17. 최종열.박제헌(2011),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317-328. https://doi.org/10.5392/JKCA.2011.11.1.317
  18. Handan, A., Rogers, K. J.(2008),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3PL Logistics Op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13, 235-244. https://doi.org/10.1016/j.ijpe.2007.05.019
  19.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20. Caves, D. W., Christensen, L. R. and Diewert, W. E.(1982). "The economic theory of index numbers and the measurement of input, output, and productivity",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1393-1414.
  21.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No.6,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22. Markovits-Somogyi, R., Gecse, G., and Bokor, Z.(2011), "Basic efficiency measurement of Hungarian logistics centr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Social and Management Sciences, Vol.19 No.2, 97-101.
  23. Qin, Y., Wu, Q.(2012), "An Empirical Study on Operational Efficiency of Chinese Listed Logistics Corporations," Fif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Computational Sciences and Optimization, Vol.125, 549-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