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Labor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2초

6시그마 기법을 적용한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DMAIC Preventive Operations for Cargo Handling Accidents In Inchon Port)

  • 남영우;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9-212
    • /
    • 2005
  • Many countries of the world is driving forward development of large-scale hub port. They are now pushing ahead with setting up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survive in keen competitions of the 21st century port industry. The port is of ever increasing importance for the bridge connecting sea and road transportation in handling international cargoes. The port, differently from general working places, is a closed area required for security, customs, and quarantine procedures. The loading and unloading is being done differently by ports, cargoes, and ships. To do loading and unloading, a lot of equipment and different types of labor are required, which flow is complicated and safe management is essential. As above mentioned the port is very unique and very deteriorated working place in its wor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duce and prevent from port accidents. As first step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923 accidents happened at Incheon Port during the period of 1994 to 2003. We have thoroughly analyzed characteristics, harmfulness, and risk of the loading/unloading they have done, as well as the accident frequenc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ccidents. As second step to further analyze, We have employed DMAIC technology, an advanced process of 6 sigma presently in spotlight as the best program for management innovation. This analysis results in recognition of important accident characteristics, causes and effects analysis, critical causes of accident, and suggestions to decrease accidents.

  • PDF

시스템적 접근에 의한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 개발 과제 도출 (Finding Subjects for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by Systems Approach)

  • 박창호;노홍승;정의균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43-250
    • /
    • 1998
  • This study is to find subjects for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ACT) development and container terminal system. Also we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ontainer terminal system in Pusan port and its automation level by systems approach. And this paper aims at evaluating on the priority of R&D investment until the beginning of the second stage of New Pusan Port Project(2006). In this process we have considered 8 evaluation indexes(cost, labor, area, time, volume, reliability. safety, convenience) to analyze 6 subsystems. The priority of R&D until target year by sub-systems is as follow: 1. Cargo Handing System, 2. Transfer System, 3. Port Entry System, 4. Storage System (Distribution & Manufacturing System included), 5.Inland Transport System, 6.Port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

  • PDF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 운송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Productivity in Korean Transportation Industry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소애림;신승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76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운송산업의 주체인 운송업 종사자의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해 다룬다. 본 연구는 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해 운송업의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을 선정하고 패널 로지스틱 회귀 모형(Panel Logistic Regression), Panel OLS 모형, Panel Robust regression 모형을 활용하여 요인 간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 여부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노조가입' 할수록, '직업훈련 경험'이 있을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은 '학력'이 높고 '노조가입' 할수록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회사규모'가 크고 '기혼'일 경우 고용안정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득생산성의 경우 '나이', '학력', '회사규모'의 값이 클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업훈련 이외의 교육', '건강상태'의 값이 클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무만족도의 경우는 '여성'일수록, '노조가입' 할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고용안정성'이 높을수록 높았고, '보통사람대비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전반적 생활만족도'와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운송산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의 분석과 향상 방안 모색을 통해 운송업 고용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천항 노무공급체계 개편에 따른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Decasualization of Port Laborin Incheon Port)

  • 남영우;조용철;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7-342
    • /
    • 2010
  • 본 논문은 인천항의 항만노무공급체계 개편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상용화 이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2005년부터 2010년 5월까지의 상용화 이전과 이후의 인천항의 항만하역노동자를 중심으로 하역처리 물동량에 따른 작업원수, 작업일수, 1인당 물동량 처리량, 노동생산성, 사고 및 재해건수 등의 데이터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인천항 항만하역노동자의 상용화에 따른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선박규모별 컨테이너 하역 비용가치 평가 - 시간가치비용을 중심으로 - (Estimation of cost value of container handling according to vessel's size - Focus on time value cost -)

  • 송용석;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5-470
    • /
    • 2006
  •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의 장비 및 시설 또한 대형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부산항, 상해항등 대형 Hub-Port의 역할을 수행하는 항만들의 항만 간 경쟁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6만톤(5,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로 부산항에 기항하는 대형선박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면, 중소형 선박들의 부산항 기항횟수 또한 증가하여 2만톤 $(1,500TEU\sim2,000TEU)$ 이하인 중소형 선박의 비중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놓고 볼 때 중소형 선박의 하역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나치게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장비 및 시설의 대형화는 높은 비용 투자로 인해 중소형 선박 작업 시 높은 하역원가가 적용되므로 중소형 선사는 하역비 부담, 운영사는 중소형 선박 기피와 같은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박크기, 크레인 규모와 수, 인력구조 등을 반영한 시간가치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선박 규모별 컨테이너 1개(VAN)의 하역 비용가치를 분석하여 선박 규모별 투입 크레인과 인력구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자동화 항만에서의 게이트 구조물 및 최적 운영방식 설계 (Optimized design for gate complex and operation method of automated port)

  • 홍동희;정태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5호
    • /
    • pp.513-518
    • /
    • 2003
  • 세계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1년까지 연평균 8.8%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잇으며, 기존 항만 시설로는 이러한 추세를 충족시키 수 없기 때문에 시설 확충은 필연적이다. 그리고 항만에서 발생되는 비용이 전체 물동량에 발생되는 비용의 3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 주요항만에서는 점차 높아지는 인건비와 부족한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고 토지 이용과 작업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항만 시설의 자동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항만시설 중에서도 화물이 발생되고 소멸되는 장소로서 정보의 시작점과 종착점이 되는 게이트의 자동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마의 게이트를 최적으로 자동화하는데 적합한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게이트의 적정 규모를 산정하고, 1단계 게이트와 2단계 게이트 운영방식을 비교하며, 최적의 게이트 자동화 운영 방식을 설계한다.

시계열 분석 기반 신뢰구간 추정을 활용한 항만 물동량 이상감지 방안 (Port Volume Anomaly Detection Using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Based on Time Series Analysis)

  • 하준수;나준호;조광휘;하헌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9-196
    • /
    • 2021
  • 부산항의 부두 장치율은 지난 3년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부두 장치율 상승은 컨테이너 재조작을 야기하여 부두 노동자의 업무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장치율 상승이 장기화될 경우 선주의 대기시간을 증가시켜 항만의 서비스 수준이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두 장치율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요예측치의 신뢰구간 추정을 활용한 항만 물동량 이상감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요예측 방법론은 ARIMA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2일까지 총 2841일 동안의 부산항 전체 일별 물동량 자료 및 9개 부두의 일별 물동량 자료이다. 기존에 항만 물동량을 예측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장기 예측에 초점을 맞추었다. 일별, 부두별 부산항 물동량 자료를 활용하여 단기 물동량을 예측하고 예측치를 기반으로 부두 장치율 관리 방안을 제시한 본 연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항만안전특별법」시행 1년의 성과와 과제 (The Introductin of the Special Act on Port Safety in South Korea: First-year Results and Future Tasks)

  • 김미주;김석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34
    • /
    • 2024
  • Objectives: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ort Safety Special Act is a very important matter. Now that one year has passed since its introduction,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chievements so far and identify future tasks. Methods: The provisions of the Special Act on Port Safety were analyzed and the latest literature related to port safety management was reviewed. In addi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business owner. Results: The achievements over the past year are as follows. As business operators took greater responsibility for safety management, blind spots in safety were resolved to an extent. Specialized training for the port unloading industry was provided, and a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for unloading dock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as able to intervene in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t ports through the deployment of port safety inspectors. In 2022, the port industry accident frequency and death rate declin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Conclusions: The "Port Safety Special Act" has become relatively well established in the port industry over the past year. However, since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as implemented in January of the same year, there is a limit on determining what is necessarily the effect of the Special Act. Future tasks include unifying contracts centered on cargo handling companies, supporting safety management costs, increasing the number of port safety inspectors, producing reliable port disaster statistics, and cooperating betwee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pplying Gerschenkron Model to Shipping Industry in Developing Country

  • Van Le, Thanh;Kim, Sung-june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61
    • /
    • 2014
  • Standing in front of the huge benefits that shipping industry brings about in economy, politics and society of a country, many countries, especially the developing countries have strived hard to invest and develop their shipping industry (if any) by many methods such as economic reform act, tax allowance or even raising capital from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s which seem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 to analysis of A. Gerschenkron - a Russian economic historian at around 60 years ago, developing countries, who regarded shipping as an industry of strategic value with multi-dimensional affects for economic development, had utilized their backward advantages and imported modern technology, capital and skillful labor from more advanced countries in the course of fast industrialization in their countries. In fact, Gerschenkron model has applied in shipping industry of many backward countries. Korea's industrialization in shipping analyzed by Tae-Woo Lee (1996) could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in which the country makes use of policies on capital of tonnage finance, ideology, labor management in order to develop the industry. In this paper, the authors try to find the applicability of the Gerschenkron model to the shipping industry in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Vietnam. And some ques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author's next paper about developing strategies to shipping industry in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asked.

  • PDF

인력의 민첩성과 물류센터의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 부산 신항 항만배후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force Agili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enter - Focused on Busan New Port Distripark -)

  • 조양일;김석수
    • 무역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42
    • /
    • 201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Workforce Agility (W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We manipulated the control variables that are known to be affected by employment flexibility. Employment flexibility is caused by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ort system. The analysis was tested by Baron & Kenny's method. The result indicates that each path of the proposed model is significant.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 was checked with the Sobel Test. The research revealed that environment uncertainty poses an indirect effect on operational performance. Both supply/demand uncertainty and technological uncertainty affected oper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WA. Most of the distribution centers located in Busan Newport Distripark are operated in a bimodal labor (human resource) system which includes both permanent employees (workers) and temporary employees (workers). This empirical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ways to increase efficiency in distribution center operation through WA enhancement, and to improve the unloading labo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