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albaglandulos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P. alba × glandulosa와 그 양친(両親)의 Pollen Mother Cell의 Meiosis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eiosis of PMC's in P. alba × glandulosa and Their Parents)

  • 정현배;전상근;김말숙;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61
    • /
    • 1979
  • 교배(交配) 모수(母樹)인 P. alba화분(花粉) 모수(母樹)인 P. glandulosa 및 그의 잡종(雜種)인 ${\times}$P. albaglandulosa에 관(關)한 화분모세포(花粉母細胞)의 감수분열(減數分裂)에 있어 염색체행동(染色体行動)과 대합(對合) 현상(現象)에 관(關)해 조사(調査)하였다. 1. Metaphase II에서 Earyl separation chromosome을 갖는 핵판(核板)이 가장 적은 개체(個体)는 P. glandulosa로 11.0%며 ${\times}$P. albaglandulosa는 13.0%로 가장 높았다. 2. Metaph se II에서 ${\times}$P. albaglandulosa는 11.0%의 Early separation chromosome이 출현(出現)했으나 양친양친수(兩親兩親樹)와 차이(差異)는 없었다. 3. Anahase I에서 Lagging chromosome의 출현율(出現律)은 ${\times}$P. albaglandulosa가 다소(多少) 높아 11.6%로 나타났으며 chromosome bridge에서는 양친수(兩親樹)와 거의 차(差)가 없었다. 4. Anaphase II때 Lagging chromososome은 ${\times}$P. albaglandulosa에서 다소(多少) 높은 빈도(頻度)로 10.2%였으며 chromosome bridge P. glandulosa에서 가장 높은 빈도(頻度)로 출현(出現)하였다. 5. Abnormal pollen sporad는 ${\times}$P. albaglandulosa에서 가장 많이 출현(出現)하여 8.2%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P. alba, P. glandulosa 및 ${\times}$P. albaglandulosa는 화분모세포분열(花粉母細胞分裂)에 있어서 염색체분열접합(染色体分裂接合)이 정상적(正常的) 행동(行動)을 하고 있어 결국(結局) 정상(正常) 화분형식(花粉形式)을 행(行)하는 수종(樹種)이라 결론(結論)할 수 있다.

  • PDF

×Populus albaglandulosa의 수액류속도(樹液流速度) (Effects of Some Factors on the Speed of Sap Movement in the Trunk of ×Populus albaglandulosa)

  • 김정석;선순화;황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1-34
    • /
    • 1978
  • 은수원사시나무 1/1년생(年生), 1/2년생(年生) 및 7/8년생(年生)에 대(對)하여 간(幹)의 수액류속도(樹液流速度)을 관찰(觀察)하였던 바 유속(流速)은 수령간(樹令間)과 포지(圃地)의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차이(借異)보다는 공중습도(空中濕度)와 착엽성(着葉性)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고 다음은 기온(氣溫)에 영향받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PDF

현사시나무의 후라보노이드 추출성분(抽出成分) (Flavonoid Extractives of Populus albaglandulosa)

  • 함연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94-99
    • /
    • 1995
  • 현사시나무의 목질부와 수피부를 아세톤-물(1:1)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Sephadex LH-20로 충진한 칼럼을 사용하여 4개의 후라보노이드, 즉 (+)-catechin, (+)-dihydroquercetin, eriodictyol 및 (+)-dihydrokaempferol을 단리하고 $^{13}C$-NMR과 $^1H$-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의 A-환은 모두 후로로그루시놀형으로, B-환은 카테콜형 또는 페놀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ihydroquercetin, (+)-dihydrokaempferol과 eriodictyol은 포플라속의 수종에서는 처음으로 단리 되었다.

  • PDF

Populus속(屬)의 Isoperoxidase의 변이(變異)(II) -선발(選拔)한 ×P. albaglandulosa 15 clone의 엽(葉) Isoperoxidase 변이(變異)- (Variation in the Pattern of Isoperoxidase in Genus Populus (II) -Patterns of Isoperoxidase in the Leaves of 15 Clones of ×Populus albaglandulosa-)

  • 김정석;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
    • /
    • 1977
  • 본연구(本硏究)는 생장(生長)이 우수(優秀)하여 선발(選拔)한 ${\times}$P. albaglandulosa 15 clone의 엽(葉)에 대(對)하여 과산화동위효소변이(過酸化同位酵素變異)를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거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5 clone의 총(總) band수(數)는 6~11본(本)이다. 그중(中) 활성(活性) band수(數)는 4~7본(本)이고 흔적(痕迹) band는 1~4본(本)으로서 어느 clone에서나 활성(活性) band가 다수(多數)히 출현(出現)하였다. 그리고 cathode측(側)은 anode보다 band의 출현(出現)이 어느 clone에서도 단조(單調)로웠다. 한편(便) 효소형(酵素型)이 각(各) clone마다 특이(特異)하여 clone시별(識別)을 가능(可能)케 하였으며 g와 1 band는 ${\times}$P. albaglandulosa의 고정(固定) band이다. 또한 ${\times}$P. albaglandulosa가 $F_1$인 까닭에 효소형(酵素型)의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방사성동위체(放射性同位體)를 이용(利用)한 × Populus albaglandulosa의 인산흡수상(燐酸吸收相)에 관(關)한 추적연구(追跡硏究) (I) -고토시용(苦土施用)이 식물체내(植物體內)의 인산함유율(燐酸含有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Pattern of the Phosphorus Employing Radioisotopes as Tracer on the × Populus albaglandulosa (I)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osphorus and magnesium contents of the plants, when supplying available magnesium in soil-)

  • 김정석;이석구;안학수;선순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40
    • /
    • 1978
  • 1975년(年) ${\times}$ P. albaglandulosa(은수원사시나무) 0/1묘(苗)를 식재(植栽)하고 방사성동위체(放射性同位體) $P^{32}$-표식(標識)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흡수율(吸收率)과 유산고토(硫酸苦土)의 첨가(添加) 시용(施用)에 의(依)한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흡수이용촉진효과(吸收利用促進効果)를 시시(試試)한바 다음과 같이 간추릴수가 있었다. 1. ${\times}$ P. albaglandulosa(은수원사시나무)는 구내(構內) 적색계(赤色系) 중점토(重粘土)에서 시용인산질비료(施用燐酸質肥料)의 평균(平均) 13%정도만이 흡수이용(吸收利用)하고 있었다. 2. 흡수(吸收)된 고토분(苦土分)은 줄기보다 주(主)로 잎에 많이 축적되었다. 3. 유산고토(硫酸苦土)를 첨가시용(添加施用)하므로써 시용인산(施用燐酸)의 흡수율(吸收率)은 16~33%선(線)까지 증진(增進)시킬수 있었다. 4. 유산고토(硫酸苦土)를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와 병용(倂用)하므로써 인산(燐酸)의 흡수(吸收), 이용율(利用率)을 증진(增進)시킬뿐만이 아니라 엽록소(葉綠素)의 구성성분(構成成分)인 고토분(苦土分)의 엽내(葉內) 축적량증대(蓄積量增大)는 동화량촉진(同化量促進)과 연결(連結)되어 생장량(生長量)의 증대(增大)도 고려(考慮)될수가 있겠다.

  • PDF

×Populus albaglandulosa의 엽령별(葉齡別) 광합성(光合成) (Photosynthesis of ×Populus albaglandulosa in Relation to Leaf Age)

  • 김정석;이석구;선순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1
    • /
    • 1977
  • ${\times}$Populus albaglandulosa의 용도별(用途別), 입지별(立地別) 단위면적당(單位積面當) 적정(適正) 식재본수(植栽本數)를 임내수광량(林內受光量)으로 예측(豫測)하기 위(爲)하여 포지(圃地)에 인위조절(人爲調節)한 식재밀도하(植栽密度下)에서 우선(于先) 엽령별(葉齡別) 광합성(光合成)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성숙엽(成熟葉)은 유엽(幼葉)보다 저온(低溫)에서 광합성(光合成)이 시작(始作)되고 $8^{\circ}C$부터는 절대광합성량(絶大光合成量)이 유엽(幼葉)보다 증대(增大)한다. 2. 유엽(幼葉)의 최대광합성(最大光合成) 온도(溫度)는 $30^{\circ}C$정도이고 성숙엽(成熟葉)은 $25^{\circ}C$정도이다. 또한 일반적(一般的)으로 적정(適正) 온도(溫度)($25^{\circ}C$)에서의 절대(絶對) 광합성량(光合成量)은 성숙엽(成熟葉)이 높다. 3. 엽령별(葉齡別) 광포화점(光飽和點)은 다소간(多少間) 차이(差異)는 있으나 대체적(大體的)으로 28~35Klux이다. 4. 포화광(飽和光)에서 광합성(光合成) 속도(速度)는 엽령(葉齡)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즉(即) 70일(日) 이상(以上)의 노엽(老葉)은 가장 저하(低下)하여 $1.6\;CO_2\;mg/dm^2/hr$이고 5일(日)과 15일(日), 25일(日)의 유엽(幼葉)은 $1.7{\sim}2.2\;CO_2\;mg/dm^2/hr$이다. 그러나 성숙엽(成熟葉)은 높아서 $2.9{\sim}3.1\;CO_2\;mg/dm^2/hr$이었다. 5. $CO_2$ 보상점(補償點)은 엽령(葉齡) 5일(日)인 유엽(幼葉)이 가장 높고 그리고 엽령(葉齡) 35일(日)의 엽(葉)이 가장 낮았다. 6. 유엽(幼葉)과 노엽(老葉)의 암호흡(暗呼吸) 속도(速度)는 성숙엽(成熟葉)에 비(比)하여 높다. 7. 식재밀도(植栽密度)가 $80cm{\times}80cm$인곳의 임목(林木)은 묘고(苗高)의 $\frac{1}{3}$이상(以上)이고 상대조도(相對照度) 35%이상(以上)인 부위(部位)의 착생엽(着生葉)이 축적성생산엽(畜積性生產葉)이다.

  • PDF

도시림에서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초기의 식생 변화 (Vegetational Changes in the Early Stages after Lumbering of Populus albaglandulosa in Urban Forest)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77-285
    • /
    • 1999
  • 도시의 식재림을 자연림으로 복원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근린공원 내에서 교목층을 구성하고 있는 은수원사시나무를 벌목한 후 초기 2년간 식물상, 식생, 목본식 물의 생장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첫째, 벌목의 결과 목본식물종의 변화는 없었으나 초본식물은 1년 후 콩제비꽃 등 3종이 사라지고 15종이 새로 출현하여 종 수가 44% 증가하였다. 새로 침입한 종은 대부분 박주가리 등의 교란지종이거나 붉은서나물 등의 귀화종이었다. 둘째, 벌목은 기존의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구성하고 있던 갈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 둥의 피도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싸리의 피도는 주변의 다른 식물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다. 셋째, 초본층의 구성종 중 맑은대쑥의 피도 증가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이외의 종의 것은 큰 변화가 없었다. 넷째, 참나무류는 피음이 제거되면 생장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실험구에서는 벌목 후 다음해의 DBH 증가는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3.0%, 22.9% 및 28.8%, 대조구에서는 각각 23.1%, 8.3% 및 6.1%이었다. 그리고 가지의 생장량은 벌목 전해를 기준으로 벌목 다음해 실험구의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65%, 191%, 644%이었고, 대조구의 것에서 각각 117%, 100%, 42%이었다. 그런데 갈참나무와 떡갈나무는 상대적으로 줄기보다 가지의 생장 증가가 뚜렷하였지만 신갈나무는 그 반대이었다.

  • PDF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맹아의 생장과 맹아가 주변 식생에 미치는 효과 (Sprout Growth and Its Effects on Vegetation after Lumbering of Populus albaglandulosa)

  • 민병미;최선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23-229
    • /
    • 2000
  • 도시의 식재림을 자연림으로 복원하기 위한 기초로서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근린공원내에서 교목층을 구성하고 있는 은수원사시나무를 벌목한 후 초기 2년간 맹아의 생장 및 맹아가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벌목된 후 맹아의 발생량에서 모체의 기저면적이 넓을수록 맹아의 수와 생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가 전자보다 더욱 관계가 깊었다. 그리고 맹아의 생산량은 벌목 첫 해에 552.7g?DW/㎡, 맹아의 제거 후 익년에 8.7 g?DW/㎡이었다. 따라서 맹아의 제거는 익년의 맹아발생을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에서 익년의 지상부 건중량은 657.4 g?DW/㎡에 달하여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의 2년간 생산량보다 많았다. 특히 2년생 맹아의 높이는 304 cm에 달하였다. 맹아의 생장은 4월말부터 8월말까지 이었으며 매우 늦은 시기까지 잎이 남아 있었다. 비엽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층으로 갈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은수원사시나무 맹아의 생장이 빠른 것은 생육기간이 길고 하층의 잎이 생육후기까지 남아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은수원사시나무 맹아를 제거한 경우, 관목층의 구성종은 변화가 없었으나 초본층의 경우 종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관목층의 피도는 증가하였으나 초본층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과 피도 모두 변화가 적었다. 그리고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의 초본의 주요 구성종은 초장이 큰 미국자리공, 서양등골나물 및 큰기름새이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유용목재(有用木材)의 변색(變色)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coloration of 16 Commercial wood Grown in Korea)

  • 김문규;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40-46
    • /
    • 1986
  • 국내산(國內産) 16수종재의 철오염(鐵汚染), 알칼리오염(汚染) 산오염(酸汚染), 태양광(太陽光)에 의한 변색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철오염(鐵汚染)이 심(甚)한 수종(樹種)은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느티나무, 왕버섯나무등 이었고, 적은 수종(樹種)은 참오동나무, 리기다소나무등 이었다. 2. 국내산수종(國內産樹種)은 알칼리오염(汚染)이 적은 평이었고, 알칼리오염(汚染)이 낮은 수종은 젓나무, 음나무, 현사시, 고로쇠나무, 리기다소나무, 신갈나무, 자작나무, 왕벗나무, 느티나무, 이태리포플러, 잣나무, 참오동나무 등이었다. 3. 산오염(酸汚染)이 심(甚)한 수종(樹種)은 본(本) 실험(實驗)에서 사용재중(使用材中)에는 나타나지 않았고, 낮은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오동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음나무, 고로쇠나무 등 이었다. 4. 태양광(太陽光)에 의한 변색은 본(本) 실험(實驗)에서 사용(使用)한 공시재중(供試材中)에는 변색의 정도가 높은편으로서 변색이 심(甚)한 수종은 일본잎갈나무, 고로쇠나무, 참오도나무, 이태리포플러, 소나무, 아까시나무, 젓나무, 현사시, 느티나무, 왕벗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이었으며, 태양광에 의한 변색이 낮은 수종(樹種)은 오리나무로서 국내산재 16수종이 태양광에 의한 변색의 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한국산(韓國産) 수종(樹種)은 태양광(太陽光)과 철오염(鐵汚染)에 의한 정도가 높은 편이었고, 알칼리오염(汚染)과 산오염(酸汚染)에 의한 변색은 낮은 편에 속하였다.

  • PDF

은수원사시나무의 조림지(造林地)의 생산구조(生産構造)와 생산성(生産性) (Studies on the Productive Structure and the Productivity of × Populus albaglandulosa Plantation)

  • 김준호;선순화;이석구;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4
    • /
    • 1977
  • 은수원사시나무(${\times}$P. albaglandulosa)조림지(造林地)에서 임분밀도(林分密度)가 693본(本)/ha의 6년생(年生), 625본(本) 또는 527본(本)/ha의 9년생(年生) 임분(林分)에 대하여 상대생장법(相對生長法)으로 현존량(現存量)과 생산성(生産性)을 추정(推定)하고 생산구조(生産構造)를 분석(分析)하였다. 1. 생산구조도(生産構造圖)의 광합성부(光合成部)는 층(層)을 형성(形成)하여 광선(光線)의 투입(透入)에 효과적(効果的)인 특징(特徵)을 나타내었다. 2. 지상부(地上部) 현존량(現存量)은 6년생(年生)이 18.11 ton/ha, 9년생(年生)이 38.8~47.3ton/ha 이며, 간재적(幹材積)은 6년생(年生)이 $31.3m^3/ha$, 9년생(年生)이 $68.8{\sim}83.9m^3/ha$이었다. 3.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6년생(年生)에서 4.8 ton/ha/yr, 9년생(年生)에서 10.0~11.7ton/ha/yr를 얻었고. 간재적(幹材積)의 순생산량(純生産量)은 $17.9{\sim}21.1m^3/ha/yr$로 나타났다. 4. 9년생(年生)의 표준지(標準地)에서 현존량(現存量) 및 순생산량(純生産量)에 차이(差異)가 생기는 이유(理由)는 토양(土壤)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의하지 않고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