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out Growth and Its Effects on Vegetation after Lumbering of Populus albaglandulosa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맹아의 생장과 맹아가 주변 식생에 미치는 효과

  • Min, Byeong-M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 Choi, Sun-H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민병미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최선희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o develop the restoration technique from urban planted forest to natural forest, sprout growth and its effects on vegetation composition in the early stage after lumbering, were studied, using only Populus albaglandulosa of the tree layer in Chungdam Park Chungdam-dong, Kangnam-gu, Seoul during the two years from 1997 to 1998. The results were as follow. After lumbering, the more basal areas of the parent stump, the more sprouts were generated. The basal area of parent stump was related more to biomass than to the number of sprouts. In the cutting area, biomasses of sprouts were 552.7 g?DW/㎡ in first year and 8.7 g?DW/㎡ in second year after lumbering. Therefore, cutting of sprouts in first year resulted in decrease of sprout production in second year. In the non-cutting area, biomass of sprouts was 657.4 g?DW/㎡ and more than that of the experiment. Especially, 2-year sprouts grew to a 304 cm height by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in the second year. The growing season of sprouts was from early April to early September and almost all the leaves of the sprouts remained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Specific leaf area decreased along with time elapse and plant height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conspicuou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why p. albaglandulosa sprouts grew fast was due to a long growing period and lower layer leaves which remained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In the cutting area of the P. albaglandulosa sprouts,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hrub layer but an conspicuous increase in the herb layer. Coverage was no changes in the shrub layer but an increase in the herb layer. In the non-cutting area of P albaglandulosa sprouts,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coverage changed a little, and the main species of the herb layer were Phytolacca americana, Eupatorium rugosum and Panicum dichotomiflorum, which are tall plant species.

도시의 식재림을 자연림으로 복원하기 위한 기초로서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근린공원내에서 교목층을 구성하고 있는 은수원사시나무를 벌목한 후 초기 2년간 맹아의 생장 및 맹아가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벌목된 후 맹아의 발생량에서 모체의 기저면적이 넓을수록 맹아의 수와 생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가 전자보다 더욱 관계가 깊었다. 그리고 맹아의 생산량은 벌목 첫 해에 552.7g?DW/㎡, 맹아의 제거 후 익년에 8.7 g?DW/㎡이었다. 따라서 맹아의 제거는 익년의 맹아발생을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에서 익년의 지상부 건중량은 657.4 g?DW/㎡에 달하여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의 2년간 생산량보다 많았다. 특히 2년생 맹아의 높이는 304 cm에 달하였다. 맹아의 생장은 4월말부터 8월말까지 이었으며 매우 늦은 시기까지 잎이 남아 있었다. 비엽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층으로 갈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은수원사시나무 맹아의 생장이 빠른 것은 생육기간이 길고 하층의 잎이 생육후기까지 남아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은수원사시나무 맹아를 제거한 경우, 관목층의 구성종은 변화가 없었으나 초본층의 경우 종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관목층의 피도는 증가하였으나 초본층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과 피도 모두 변화가 적었다. 그리고 맹아를 제거하지 않은 지역의 초본의 주요 구성종은 초장이 큰 미국자리공, 서양등골나물 및 큰기름새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월보(1월~12월) 기상청
  2. 韓國林學會誌 v.51 Pupulus tomentiglanduosa와 P. glandulosa의 分類學的 硏究 金三植;金鼎鎬;野`田昭三
  3. 韓國林學會誌 v.36 Populus 屬의 isoperoxidase의 變異(Ⅱ);選拔한 P. alba×glandulosa 15 clone의 葉 isoperoxidase 變異 金鼎錫;金三植
  4. 韓國林學會誌 v.49 Populus alba×glandulosa와 그의 雨親種의 形態, 解剖學, 生理學的 硏究 金鼎錫;全相根;黃震聲
  5. 韓國林學會誌 v.34 ×Populus albaglndulosa의 葉齡別 光合成 金鼎錫;李錫求;宣順和
  6. 식물학회지 v.17 뽕나무의 生育特性과 葉質과의 關係 金俊鎬
  7. 韓國林學會誌 v.35 은수원사시나무 造林地의 生産構造와 生産性 金俊鎬;善順和;金鼎錫
  8. 임목육종연구소 연구보고 v.18 Path analysis에 의한 Populus alba×P. glansulosa F₁ clone의 造地判定에 관한 硏究 盧義來
  9. 한생태지(인쇄중) 도시림에서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의 식생변화 민병미
  10. 韓國林學會誌 v.66 土壤의 物理的 條件이 은수원사시나무(Populus alba×P. glandulosa)의 生長 및 根系發達에 미치는 影響 閔日植;李壽煜
  11. 韓國林學會誌 v.71 현사시나무(Populus alba×P. glondulosa)의 不定芽由來組織 및 Dimple의 組織特性 朴相珍;姜善求;趙在明
  12. 韓國林學會誌 v.39 Populus alba×glandulosa 優良個體의 地域別 生長北較 孫斗植
  13. 韓國林學會誌 v.66 土域水分이 Populus alba×P. glandulosa 및 交配雨親樹의 揷木發根과 生長에 미치는 影響 孫斗植;辛鐘福
  14. 농시보 v.9 Populus alba×glandulosa F₁의 생장에 관한 연구 孫頭植;趙利明
  15. 韓國林學會誌 v.71 Populus alba×P. glandulosa의 4가지 isozyme(GOT,ACP,MDH,ADH)의 遺傳 孫斗植;朱域賢
  16.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v.1 Populus alba×P. glandulosa의 生長과 土域因子와의 關係 孫斗植;金圭憲;李元烈
  17. 韓國林學會誌 v.77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남산공원 식생의 관리대책 오구균;이경준;임경빈
  18. 한국조경학회 도시경관림의 조성과 관리;환경보전과 관리 세미나 이경재
  19. 한국조경학회지 v.20 도시림의 생태적 관리에 관한 연구 이경재;조우;류창희
  20. 환경생태학회지 v.10 서울 도시 생태계 현황과 회복대책(Ⅰ);산림지역 식물 군집구조 이경재;조우;한봉호
  21. 한국조경학회지 v.17 헌인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Ⅱ);헌인릉 식물군집의 천이 이경재;오구균;우종서;송준근
  22. 韓國林學會誌 v.50 多變量分析法에 의한 萌芽生長 資料 分析 李敦求
  23. 서울특별시연구보고서 남산공원수림의 피해상태와 그 대책에 관한 연구 임경빈
  24.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v.1 Populus tomentiglandulosa의 成長에 關한 硏究 任良宰;沈載國
  25.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림 관리를 통한 식물 및 야생조류 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조우
  26. Pflanzensoziologie.(3rd eds.) Braun-Blanquet, J.
  27. Jour. Korean For. Soc. v.71 Isolation and culture of in vitro cultured Populus alba×P. grandulosa protoplasts Chun, Y.W.
  28. Okios v.62 Stability increases with diversity in plant community empirical evidence from 1988 Yellowstone drougt Frank, D.A.;S.J. McNaughton
  29. Landscape restoration hand book Harker, D.;S. Evance;M. Evance;K. Harker
  30. American Naturalist v.113 Stability under environmental stress:resistance, resilience, persistence and variability Harrison, G.W.
  31.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C. Mueller-Dombois, D.;H. Ellenberg.
  32. Nature v.307 The complexity and stability of ecosystems Pimm, S.L.
  33. Urban Ecology v.9 Ecology of the urban forest Rowntree, R.A.
  34. Res. Rep. O.R.D. v.9 The growth performance of P.alba×P. glandulosa F₁hybrid Son, D.S.;R.M.Cho.
  35. Ecology v.77 Biodiversity: Population versus ecosystem stability Tilman,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