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migration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8초

가구의 이동결정에 관한 개념적고찰 (A Conceptual Analysis of Household Migration Decisions)

  • 김헌민
    • 한국인구학
    • /
    • 제14권1호
    • /
    • pp.26-34
    • /
    • 1991
  • Migration studies that assume that decision making is done on an individual basis is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factor. Considering that must people belong to families, it is more appropriate to view migration deci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This study analyzes the household migration decision whereby the alternatives are to stay, 10 undertake family migration or to undertake single migration of a member. In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household migration decision, it is assumed that the household's objective is to maximize household income which is a function of individual members' earnings. The benefits and costs of household migration and individual migration are identified and the household chooses the migration strategy that maximizes expected household income. When household members have conflicting earning prospects in the potential destination, the household considers single migration of the member with the best earning potentials. However, lone migration by a household member involves cost of family separation which is both monetary and psychic, and this study shows that lone migration is undertaken only when its net gains to the family ar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cost of the family. The major benefit of choosing single migration is the retention of home base in the place of origin which can serve as an insurance against the uncertainty of obtaining a job in the destination, the benefit that is unavailable in family migration. The conceptual analysis shows how a household's migration decision would depend on its members' economic roles and prospects in the destination. Besides the economic variables, social and life cycle variables of the family translate into separation costs and benefits of migra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one - earner family in low economic status but with good earning prospects and high separation costs is more likely to choose family migration over single migration.

  • PDF

Development of a model to forecast the external migration rate in development projects reflecting city characteristics

  • Kim, Ki-Bum;Park, Joon;Seo, Jee-Won;Yu, Young-Jun;Hyun, In-Hwan;Koo, Ja-Y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06-419
    • /
    • 2018
  • In planning public service systems such as waterworks, the design population is very important factor. Owing to the limitations of the indirect method, two new model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urban characteristics, were developed to accurately predict external migration rate (EMR),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estimating reliably the design population.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between the model values and observed values were 10.12 and 15.58 for the metropolitan cities and counties respectively and were lower compared to RMSE values of 27.31 and 28.79 obtained by the indirect method. Thus, the developed models provide a more accurate estimate of EMR than the indirect method. In addition,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for external migration in counties were development type, ageing index, number of businesses. On the other hand, the major influencing migration factors for cities were project scale, distance to city center, manufacturing size, population growth rat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Future medium and long-term studies would be done to identify emerging trends to appropriately inform policy making.

동구 제국의 인구 및 보건의료정책에 관한 종합적 연구 (A study on the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Policies in East European Countries)

  • 안계춘;김영기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17-130
    • /
    • 1988
  • Though most of East European coutries seem to hold a pronatalist policy, they approve of family planning and provide contraceptive services. One of the most popular contraceptive method has traditionally been the coitus interruptus in these countrie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adopting family planning i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induced abortion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r use of coitus interruptus in these countries. Most of the East European countries liberalized induce abortion legally mainly to neutralize the wide practice of illegal abortion. However, the practice of induced abortion is under the strict control of the public health authorities in these countries. Migration and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of population are mostly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in these socialist countries. Policies on migration and redistribution are usually carried out to achieve the general goal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of the states. Both incentive measures and control measures are mobilized to affect the internal migration and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With respect to public health East Europe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socialized medicine following the Soviet model. Public health measures and medical practice are controlled by the state and highly centralized in many countries except Yugoslavia. They place much emphasis on preventive medicine, primary health care, occupatinal and industrial medicine, and health education. Private sectors in medical practice do not exist in thes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 PDF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성장의 동태적 특징에 관한 실증 분석 (Analysis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between Regions)

  • 김현우;이두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10-321
    • /
    • 2021
  • 지역 간 인구이동요인은 개인의 라이프코스에 기인하여 세대별·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므로 지역경제성장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도 연령별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경제성장의 변화가 지역 간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연령층과 상관없이 지역의 경제성장률과 일자리 증가율의 상승은 순이동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은 중장년층에 비해 지역경제성장률과 일자리 증가율이 순이동률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5-29세 연령층은 개인소득수준, 40-64세 중장년층은 지가변동수준의 지역 간 격차가 순이동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볼 때, 지역 간 인구이동에서 지역경제성장은 여전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에게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국토공간계층에서 상방 및 하방 이주 흐름 변화 분석 (Up and Down Flows of Migration in National-Space Hierarchy Over Time)

  • 한이철
    • 농촌계획
    • /
    • 제22권1호
    • /
    • pp.49-56
    • /
    • 2016
  • Throughout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of Korea, migration occurred within a spatial hierarchy, with upward flows from rural areas to urban. The concept of step migration is a typical theory to explain these upward migration flows. Recent migration data and trends, however, indicate that migration-pattern regime shows strongly opposite-direction flows, with many of the major migration flowing downward on this national-spatial hierarchy, away from urban area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ost recent structure of migration flows up and dow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We define seven tiers to tabulate origin-destination migration flows from population density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eriod 2001-2014, and then analyze the migration patterns between the tiers over time. The results show differentiated patterns of migratio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over time including specific states of migrants' life cycles.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Far East Regions during 52 Years

  • Gong, Yeong;Jeong, Hee-Dong;Choi, Kwang-Ho;Seong, Ki-Tack;Kim, Sang-W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1-16
    • /
    • 2006
  • Environmental variables, fishing and biological data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used to describe changes in structure, migration and abundance of the squid population in relation to ocean climate shifts.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main groups of the squid (autumn and winter-spawned groups) as a single population to aid conservation in the waters around Korea and Japan (TWC and KOC regions). The patterns of yearly fluctuations in abundance of the squid population in the two regions were the same during 52 years of $1952{\sim}2003$. The abundance of the squid began to decrease in both regions in the early 1970s, remained low in the 1980s and the main squid groups synchronously increased in the 1990s coincident with favorable changes of thermal conditions and plankton production in those ecosystems. The mechanism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mmon squid population in relation to current-mediated migration circuits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phenological variables responding to climate shifts.

농촌인구(農村人口)의 변화(變化)와 예측(豫測) (Variation and Forecast of Rural Population in Korea: 1960-1985)

  • 권용덕;최규섭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129-138
    • /
    • 1990
  • 이상에서 본 연구는 1960년 이후부터 1985년까지의 인구규모와 그 변동의 특질을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현상과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분해시계열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인구유출과 농정과의 관계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적정모델을 추정하여 2,000년까지의 농촌 및 농가인구도 예측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구구조의 변화측면에서 농촌인구와 농가인구는 1965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75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농촌 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한 요인보다는 도시로 유출되는 인구이동의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출과정에서 유입지의 분포를 보면 도시지역 중에서 서울, 부산, 경기지역으로 인구가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년대에는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지역으로 직접적인 이동이 있었으나 8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도시 지역으로의 직접적인 유입보다는 주변지역으로의 유입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농촌에서 대도시로의 유입형태가 주변도시로의 유입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농촌인구의 유출을 농업생산과 관련시켜 볼 때 농업노동력의 수요가 확대되는 6월 이후에 유출인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3월에 가장 많이 유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60년대 이후 농업정책과 농촌인구의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순환변동을 도출하였으며 2-3차 개발계획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농촌부문의 상대적 저위성이 농촌인구의 유출을 자극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러한 사실은 농업정책의 불균형적 시행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하겠다. 끝으로 농촌인구의 유출을 포함한 한국농업의 근본적인 문제는 도농간 상대적 소득 격차에 있다고 보고 농촌지역의 개발을 서울이나 수도권, 대도시권의 비대화를 막기 위한 방편 또는 공업화 우선정책의 반작용으로 본 과거의 정책성향을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농간 소득격차의 문제를 농업정책의 중심과제로 삼고 농촌지역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나라의 경제적 효율성은 물론 형평성을 높인다는 시각에서 농업정책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 PDF

울릉도민의 이주과정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고찰 (The Process of Migration Among Ulleung Island Residents)

  • 김태원
    • 한국인구학
    • /
    • 제27권1호
    • /
    • pp.147-169
    • /
    • 2004
  • 이 연구는 울릉도 주민의 이주와 정착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인 문헌 자료와 현지조사 자료를 통해 오늘날 울릉도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울릉도의 사회ㆍ문화ㆍ정치적 현상들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 초기 개척령 당시의 주민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울릉도로 들어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착하였는지, 인구의 증가와 감소 현상이 단순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당시 울릉도나 본토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울릉도민의 이주동기는 혼란한 육지의 사회ㆍ정치적 상황을 피해 울릉도로 이주한 사회ㆍ정치적 동기와 경제적인 안정을 찾아 이주한 경제적 동기 그리고 범죄 행위에 대한 도피처로 울릉도를 선택한 범죄적 동기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정착과정을 거치면서 울릉도는 하나의 독특한 사회로 발전하였다.

포식자-피식자 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 동태에 미치는 영향 예측 (Effects of Climate-Changes on Patterns of Seasonal Changes in Bird Population in Rice Fields using a Prey-Predator Model)

  • 이후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4-303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Lotka-Volterra 방정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의 크기와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및 예측하였다. 특히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개체군 동태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에 대해, 1) 계절 내 최고 및 최저 기온의 변화와 2) 계절 길이의 변화를 조합하여 11가지 가능한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모델시뮬레이션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학모델은 기온 변화, 즉 계절이 바뀜에 따라 월동, 이동, 그리고 번식조류가 일정한 시기에 그리고 일정한 분포패턴으로 논습지를 취식 및 서식지로 이용하고 있음을 보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결과, 기온변화의 폭이 커질 수록 조류 개체군 동태의 변이는 증가하였으며, 계절의 길이 변화, 특히 계절이 짧아진 경우에 논습지를 이용하는 기간도 크게 짧아져 전체적으로 개체군 동태를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한 계절 내의 기온변화가 발생하고, 다른 계절은 평년 기온을 유지할 경우에는, 해당 계절의 조류 개체군 동태만 기온변화에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계절의 길이 변화는 계절 내 기온 변화보다 더 뚜렷한 개체군 동태의 변화를 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