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Changes

검색결과 1,987건 처리시간 0.025초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Internal Migration and Changes in the Gun's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 김남일;최순
    • 한국인구학
    • /
    • 제21권1호
    • /
    • pp.42-79
    • /
    • 1998
  • 1960년 이래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인구변천을 경험했다. 인구변천으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현상이기는 하지만, 특히 이 기간중 많은 인구를 도시로 내보내지 않으면 안되었던 농촌지역에서 그 변화의 폭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연구는 주로 최근 농촌사회에서 관찰되는 인구구조의 왜곡현상이 주로 농촌-도시로의 인구이동에 원인이 있으며, 지역단위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농촌의 지역단위별 인구특성에 따른 인구분포의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결과 밝혀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촌은 각 지역단위(군)별로 인구구조상의 격차가 매우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각 지역단위별 인구구조의 변화로 예상되는 농촌의 문제는 군부나 면부의 총괄분석을 통해 알려진 농촌 문제보다 각 지역단위별로 분석할 때 알 수 있는 농촌문제가 훨씬 더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농촌을 위한 정책수립 과정에서 지역단위별로 특수성이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 PDF

중심경향 및 퍼짐경향의 탐지 (Detection of Central and Dispersion Tendencies)

  • 장경;양문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44호
    • /
    • pp.69-79
    • /
    • 1997
  • We investigate both of central and dispersion tendencies of the observed test statistics in control charts in order to judge whether a production process is abnormal or not. In order to do it, first, we study about detection of changes of the population mean as a central tendency The $\bar{x}$ and x control charts are used for detecting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mean $\mu$. We shows the probability detecting the change of population mean using the $\bar{x}$ and x control charts. Secondly, we study about detection of changes of the population standard deviation as a dispersion tendency in the s control chart. In our studies, for the given several parameters the detection probabilities of changes of central and dispersion tendencies are calculated, the necessary sample size values n are suggested for detecting the changes, and their informations are given as various tables.

  • PDF

한국 인구구조의 변화에 관한 분석 - 1955년~2020년 - (A Study of the Changes in Korean Population structure - 1955~2020 -)

  • 이운영;김초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8-65
    • /
    • 1989
  •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apid changes in Korean population, using the data of a census and other data on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Major findings are : 1. During 1950~1955, annual increase rate of population was about 1.02%, about 2.88% during 1955~1960, and 1.36% during 1980~1985. It is expected to decrease to 0.07% during 2015~2020. 2. Major Age Composition 0~14 is expected to reduce to 16.5% in 2020 from 41.2% in 1955, while the ratio of population aged 15~64 is expected to increase to 72.1% from 55.5%. Furthermore, for the population group of age 65 and over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a mere 3.3% to 11.4%. 3. The aging index of popu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o 69.5 in 2020 from 8.0 in 1955 and so the old dependency ratio is expected to 15.9 from 6.0 4. The median age is expected to 40.2 in 2020 from 19.0 in 1955. 5. In 2020 the child-woman ratio is expected to reduce to 22.3 from 64.7 in 1955. 6. In 2020 the age index of 0~4 is expected to 57.4 from 169.4 in 1955, and the age index of 65~69 to 261.7 from 95.6 on the contrary.

  • PDF

Accessibility 모델을 활용한 세종시 인접 지역의 인구잠재력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Potential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jong City Using the Accessibility Model)

  • 김호용;윤정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7-178
    • /
    • 2014
  •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 국가 균형 발전 및 국가경제력 강화를 위하여 2012년 출범한 세종시는 대규모 택지개발이 급격한 개발속도로 이루어지면 주변지역 공간구조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 출범에 따른 인접지역의 공간구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간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분석은 Accessibility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 공간 상호작용을 위한 잠재력인 인구잠재력을 계산하고, 인구잠재력을 지표로 활용하여 공간패턴분석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세종시 건설 전후 인접지역들의 공간적 상호작용 결과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1995년 이후 대상지역 인구잠재력의 영향범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에는 천안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집중하여 인구잠재력이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새로운 인구잠재력 지대로써 주변지역에 대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종시의 입주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의 분석결과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세종시의 계획인구 도달을 위한 노력과 함께 인구증가에 따른 요인들의 변화와 주변 도시들의 공간구조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아파트단지의 단위세대별 인구 및 가족형구성에 관한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Family Composition by the Unit Type in Apartment Houses)

  • 정사희;최승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7-10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nges of the population and family composition in apartment hous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housing plan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pulation and family composition by the unit types. The population and family composition were studied by computer data base program to 11,000 residents of selection 4 apartments houses. The structure of the family types proved to be constant b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10 family types. If the family types of certain resident's groups are given, this study will be able to estimate population structure to them. The transi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 family composition changes to the unit types proved to be constant by the time. The distribution of manhood and matured children is tend to change according to how large the size of house is,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family composition.

인구 변동에 따른 119 구급 서비스의 장기 추계 (Long-Term Estimation of 119 Ambulance Services by Demographic Changes in Korea)

  • 강경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105-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방청의 119 구급서비스 통계연보와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 및 장래추계인구를 활용하여 저출산 고령화와 같은 인구 변동이 미래의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2031년 정점에 이룬 후 인구 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추계되나 70세 이상 노인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구 변동을 반영한 이송률, 즉 인구 1,000명 당 이송 환자 수는 최근 추이와 비교해 큰 폭의 변화는 없으나 70세 이상 노인 인구에 대한 구급 서비스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변동은 구급 서비스의 양적, 질적 변화를 수반하게 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응이 요구된다. 특히 고령화에 따른 구급 서비스의 효과적 대응은 물론 인구 변화에 따른 기존 관할 영역의 조정과 인력, 자원의 재배치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연변 조선족사회의 최근 변화: 사회인구학적 접근 (Recent Changes of the Ethnic Korean Population in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A Socio-demographic Approach)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111-145
    • /
    • 2003
  • 이 연구는 개혁개방정책 이후 중국 내 조선족이 보인 사회인구학적 행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시장경제체제의 도입과 한중 국교수립 이후 조선족사회는 출산력수준의 급격한 저하와 인구구조의 고령화로 매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조선족의 인구행태와 인구구조의 이러한 변화는 한족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중국 내 조선족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거주하고 있는 연변지역의 조선족사회는 최근 절대인구규모의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시장경제의 도입 이후 이동성향이 높아지고 통혼권과 거주지역이 확산되며. 조선족학교를 통한 민족교육이 급격히 위축되는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이에 따라 조선족사회의 사회적 통합과 문화정체성이 약화되고 중국 내 소수민족사회로서의 위상도 점차 약화되는 과정에 있다. 연변 조선족사회의 사회인구학적 변화와 위기상황에 대한 설명을 위해 이 연구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1990년과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인구센서스를 통하여 드러난 조선족인구의 연령구조가 매우 불규칙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1990년과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재검토하는 작업도 이루어졌다.

Discussion: Critical Aspects of Census - The Study of Population Structur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Hwang, Myung J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2권1호
    • /
    • pp.11-14
    • /
    • 2015
  • The Great Famine may have had a continued impact o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North Korea even after the crisis subsided ten years ago.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what has been said about the country and what data indicates. This gap seems inevitable mainly because reliable data are seriously lacking and access is restricted for most scholars outside the country. Yet, it is only reasonable to question why most studies have failed to explain the causality between the Great Famine and accumulated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North Korea. In this regard, a recent study conducted by Korean demographers (Jeon et al., 2015) have several implications on the importance of accurate and reliable data when the study involves such rare and scarce inform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ing trends of the population structure in North Korea providing a review of recent studies on demographic issues associated with North Korea and offers suggestions on understanding the post-famine effect on the overall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North Korea.

한국의 인구이동 패턴변화와 수도권의 인구이동 (Changing Patterns of Internal Migration of Korea and Population Movement into the Capital Region)

  • 최진호
    • 한국인구학
    • /
    • 제17권2호
    • /
    • pp.1-20
    • /
    • 199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es in internal migration patterns during 1960 - 1990 period, and to analyze population movement to and from the Capital Region. The overall mobility rate of the whole Korean population has heen increasing since the 1960s, and reached to 24.6% in 1985 - 90 period. The most interesting changes in the migration pattern is that Seoul lost its population through migration during 1985 - 90, mainly due to heavy outmigration to Ky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nmigrants to the Capital Region reveals that those moved to Seoul are more likely to be young, better educated, never married and engage in service sector in comparison with migrants moved to the suburban districts and the outlying Kyonggi province. However, on the whole migrants moved to the Capital Region are overrepresented in manufacturing sector, which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control the growth of manufacturing sector in the Capital Region is called for.

  • PDF

Impact of Demographic Changes on Inflation and the Macroeconomy

  • YOON, JONG-WON;KIM, JINILL;LEE, JUNGJ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1호
    • /
    • pp.1-30
    • /
    • 2018
  • Ongoing demographic changes have brought about a substantial shift in the size and ag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which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Despite potentially grave consequences, demographic changes usually do not take center stage in many macroeconomic policy discussions or debates. This paper illustrates how demographic variables move over time and analyzes how they influence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economic growth, inflation, savings and investment, and fiscal balances, from an empirical perspective. Based on empirical findings-particularly regarding inflation-we discuss their implications on macroeconomic policies, including monetary policy. We also highlight the need to consider the interactions between population dynamic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macroeconomic policy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