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megranate(Punica granatu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5초

석류 껍질추출물이 식중독균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의 쿼럼센싱과 바이오필름 형성능 억제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Extract Inhibits Quorum Sensing and Biofilm Formation Potential in Yersinia enterocolitica)

  • 오수경;장현주;전향숙;김현진;이나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7-366
    • /
    • 2015
  • 쿼럼센싱은 세포 간의 의사소통 방법이며 박테리아의 병원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조절메커니즘이다. 박테리아는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 쿼럼센싱 시스템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석류(Punica granatum L.) 껍질 추출물이 바이오 리포터 균주인 Chromobacterium violaceum 과 C. violaceum CV026에서 쿼럼센싱 억제능을 갖는 것으로 1차 선별되어 식중독균인 Y. enterocolitica에서 편모에 의한 운동능과 바이오필름형성 억제능에 대한 석류껍질 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다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가로 N-acylhomoserine lactones (AHLs)의 합성(yenI and yenR)과 편모 레귤론(fliA, fleB and flhDC) 에 관련된 특정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석류껍질 추출물이 C. violaceum CV026에서 쿼럼센싱으로 제어되는 바이오레신 생산을 78.5%까지 억제하였으며, Y. enterocolitica에서는 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바이오필름 형성과 편모 운동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억제 효과는 AHLs의 합성과 운동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down-regulation 하는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석류껍질 추출물의 임상 적용을 위하여 생체 내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뿐 아니라 석류껍질 추출물이 사람의 위장관염을 방지하기 위한 잠재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석류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Leaf Extract)

  • 최유정;조정욱;김형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13-62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석류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석류 잎 추출물이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석류 잎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ic extract of Punica granatum leaf : EFP)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석류 잎의 유익한 성분과 피부 개선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실험 결과 EFP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71.6±16.3 mg gallic acid/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6.6±0.3 mg quercetin/g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에서는 EFP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을 보였고, EC50 수치는 24.62±0.48㎍/mL로 나타났다. 피부 세포독성 실험에서 EFP는 50㎍/mL 이하 농도에서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이는 세포 독성이 거의 없음을 시사한다. NO 생성 억제 실험에서는 EFP가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6㎍/mL 농도에서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산화와 항염 효과를 지닌 천연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석류 껍질 분말을 첨가한 찐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Containing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Powder)

  • 장양양;송가영;오현빈;정기영;신소연;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64
    • /
    • 2017
  • Purpose: Pomegranate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medical properties such as antimicrobial, antimutagenic,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Especially the pomegranate peel as a by-product of the juice industry possesses more polyphenols with an antioxidant effect than the pomegranate flesh do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omegranate pee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Methods: Steamed bread containing pomegranate peel was prepared with 0%, 1%, 3%, 5%, and 7% replacements of wheat flour with pomegranate peel powder, respectively. Results: The pH of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5.66 to 4.42 with the amounts of pomegranate peel powder rising. After a 1st fermentation, the pH of all groups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pomegranate peel powder level, the fermentation tension decreased from 42.83 mL to 29.03 mL. In addition, the volume, the specific volume, and moisture decreased as the pomegranate peel powder content level heightened. For color, steamed bread added with 7% pomegranate peel powder displayed low lightness but high redness and yellowness. In textur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steamed bread rose as the pomegranate peel powder content increased, while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lined. Both total polyphenol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growing levels of pomegranate peel powder. In a sensory evaluation, the group with 1% pomegranate peel powder added showed the highest sensory preference scores for color, flavor, chewiness,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eamed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1% pomegranate peel powder is the most optimal product for appropriate quality characteristics.

석류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containing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owder)

  • 길나영;김혜리;박종민;김산성;이의석;홍순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06-9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ean based Yanggaeng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pomegranate powder (0, 2, 4 and 8%, w/w). The pH values of Yanggaeng containing pomegranate powder were found to decrease when increasing the amount of pomegranate powder. However, moisture and sugar contents were increased (p<0.05). For color values, both L and b values were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megranate powder, while a valu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textural properties, the addition of pomegranate powder resulted in the increase of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hile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Antioxidant activities,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total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creased when increasing the amount of pomegranate powder.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megranate powder, some attributes such as the intensity of the flavor, sourness,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weetness. In a preference test, Yanggaeng containing 4% pomegranate powder appeared to be the most preferred for all attributes tested including overall acceptability. It was concluded that Yanggaeng containing pomegranate can be prepared with good sensor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addition of 4% pomegranate powder was found to be ideal.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imported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 김미숙;윤설희;나환식;박학재;최경철;양수인;이지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2-347
    • /
    • 2013
  • 본 연구는 고흥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물질의 소재 개발과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 활용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석류 과즙 중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가 확인되었다. 석류의 폴리페놀 함량은 고흥산 과피에서 149.91 mg/g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인 과즙보다는 약 100배 정도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석류의 부위별 ellag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흥산 과피에서 14.22 mg/g으로 미국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즙이나 씨 보다는 과피에서 ellagic acid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피, 씨, 과즙 순으로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고흥산과 미국산 부위별 추출물의 전립선암 세포증식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산지에 관계없이 과피, 과즙, 씨 순으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즙과 씨에서는 고흥산이 미국산에 비해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과피 추출물에서는 미국산이 더 우수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석류추출물 중의 에스트로겐 분석 (Analysis of Estrogen in Pomegranate Extract by Solid Phase Extraction an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 금은주;권도형;신혜승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82
    • /
    • 2010
  • 석류는 오래전부터 임상치료 및 식품원료로 사용되었으며 많은 피토에스트로겐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 성분으로는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베타-시토스테롤, 엘라그산 등이 였으며 이러한 성분으로 인해 과즙, 껍질, 오일 등은 약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로 인해 석류는 여성 갱년기 치료용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성분의 존재 유무에 대한 견해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는 LC/MS/MS를 이용하여 석류추출물 중의 에스트로겐 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간편하고 정확한 분석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3개 롯트 시료의 에스트로겐을 분석한 결과, 에스트론 83.5ppb, 에스트라디올 10.9ppb 및 에스트리올 38.6ppb로 검출되었다.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63-1072
    • /
    • 2011
  • 이란산과 국내산 석류를 착즙하여 과즙과 부산물로 버려지는 외피, 내피, 씨의 4부분으로 나누어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 중 총 페놀 함량은 국내산 석류 외피가 210 mg/g${\pm}$8.08로 가장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이란산 석류 내피와 이란산 석류 외피가 가장 높았다. Phytoestrogen 함량은 이란산에 비해 국내산 석류 내피에서 96.04 ${\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어 전반적으로 이란산 석류보다 국내산 석류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았다. 부위별 석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환원력은 국내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내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소거활성에서는 이란산 석류 외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국내산 석류 외피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석류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양이 높을수록 항산화성이 높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기능성 성분은 국내산 석류에서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활성은 각 항산화 측정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국내산 석류의 항산화능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부위별로 비교해 본 결과 석류는 과즙보다 껍질과 씨 부분 특히 내피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많고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즙 착즙 시 버려지는 부산물인 석류의 외피와 내피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식품의 산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35-1641
    • /
    • 2011
  •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_{50}$이 각각 2.40 ${\mu}g$/mL, 2.88 ${\mu}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58.94 ${\mu}g$/mL, 61.91 ${\mu}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39.26 ${\mu}g$/mL, 40.95 ${\mu}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pm}0.66%$(dichloromethane), $15.43{\pm}0.85%$(butanol), $12.82{\pm}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_{50}$은 115.54 ${\mu}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meliorative Effects of Pomegranate Peel Extract against Dietary-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Al-Shaaibi, Siham N.K.;Waly, Mostafa I.;Al-Subhi, Lyutha;Tageldin, Mohamed H.;Al-Balushi, Nada M.;Rahman, Mohammad Shafiur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4-23
    • /
    • 2016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aused by fat accumulation and i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protective effec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extract (PP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liver of rats with NAFLD.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 fat diet (HFD), 20% corn oil, or palm oil for 8 week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PE. The control group was fed a basal diet. The progression of NAFLD was evaluated histologically and by measuring liver enzymes (alanine transaminase and aspartate transaminase), serum lipids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The HFD feeding increased the body weight and caused NAFLD, liver steatosis, hyperlipidemia, oxidative stress, and elevated liver enzymes. Administration of PPE ameliorated the hepatic morphology, reduced body weight, improved liver enzymes, and inhibited lipogenesis. Furthermore, PPE enhanced the cellular redox status in the liver tissue of rats with NAFLD. Our findings suggest that PPE could improve HFD-induced NAFLD via abolishment of hepatic oxidative damage and hyperlipidemia. PPE might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lead material in the treatment of NAFLD and obesity through the modulation of lipid metabolism.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eel Extract Efficacy as a Dietary Antioxidant against Azoxymethane-Induced Colon Cancer in Rat

  • Waly, Mostafa I.;Ali, Amanat;Guizani, Nejib;Al-Rawahi, Amani S.;Farooq, Sardar A.;Rahman, Mohammad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051-4055
    • /
    • 2012
  • Functional foods include antioxidant nutrients which may protect against many human chronic diseases by combat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pomegranate peel extract (PPE) on azoxymethane (AOM)-induced colon tumors in rats as an in vivo experimental model. Forty Sprague-Dawley rats (4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containing 10 rats per group, and were treated with either AOM, PPE, or PPE plus AOM or injected with 0.9%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as a control. At 8 weeks of age, the rats in the AOM and PPE plus AOM groups were injected with 15 mg AOM/kg body weight, once a week for two weeks. After the last AOM injection, the rats were continuously fed ad-libitum their specific diets for another 6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e. at the age of 4 months), all rats were killed and the colon tissues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for lesions suspected of being preneoplastic lesions or tumors as well as for biochemical measurement of oxidative stress indices. The results revealed a lower incidence of aberrant crypt foci in the PPE plus AOM administered group as compared to the AOM group. In addition, PPE blocked the AOM-induced impairment of biochemical indicators of oxidative stress in the examined colonic tissue homogenates. The results suggest that PPE can partially inhibit the development of colonic premalignant lesions in an AOM-induced colorectal carcinogenesis model, by abrogating oxidative stress and improving the redox status of coloni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