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oxidase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on Inhibition of Burdock Polyphenol Oxidase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Kim, GyeYeong;Choi, Heesun;Park, Inshi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3-85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MRPs) on enzymatic browning of burdock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The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glucose and amino acids at $90^{\circ}C$, which served to produce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burdock polyphenol oxidase. As the reaction time of the solution containing glucose and amino acid increased at $90^{\circ}C$, the production of MRPs increased and intensity of the brown color deepened. When MRPs were prepared by heating at $90^{\circ}C$ for five hours, the absorbance of MRPs from glucose and lysine was 6.44, while those of glucose and glycine was 1.95. The MRPs synthesized from the glucose and lysine also reduced the pH of MRPs from 5.60 to 4.51, but those from glucose and glycine decreased slightly from 5.57 to 5.33. The Michealis-Menten constant value ($K_m$) of burdock PPO with pyrocatechol as a substrate was 16.0 mM, and MRPs were a non-competitive inhibitor against burdock PP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RPs was measured by evaluating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radicals, ABTS radicals and reducing power. The color intensity of MRPs produced by lysine and glucose were deeper than that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It was also found that MRPs produced from glucose and lysine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properties than those produced by glucose and glycine.

Chr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sin-dong-a)의 꽃잎 및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잎의 갈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rowning in the Petals of Chr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 sin-dong-a) and leaves of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 김안근;박수선
    • 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1
    • /
    • 1981
  • Polypenol oxidase activity in the petals of Ch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sin-dong-a) and the leaves of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was estimated by means of Warburg's manometric method. The browning reaction in owing to the oxidation of chlorogenic acid with polyphenol oxidase.

  • PDF

식품첨가제를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세정효과 (Cleaning Effect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by Containing Food Additives)

  • 정승원;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0-247
    • /
    • 2002
  • 세정수로서의 전해산화수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식품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0^{\circ}C$ 이하의 세정수에 대한 냉각특성, 살균 및 갈변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품첨가제의 첨가비율은 NaCl 0.85%(w/v), ethanol 0.5%(v/v), 레몬과즙 0.5%(v/v), 유자과즙 0.5%(v/v), polysorbate 80은 1 ppm으로 결정하였다. 미생물 사멸효과는 초기 5.63$\times$$10^{ 8}$ CFU/mL인 Escherichia coli KCTC 1039가 모든 첨가구에서15~30초 이내에 전부 사멸하였으며, Bacillus cereu KCTC 1012는 polysorbate 80 및 ethanol 첨가구에서 2분 후,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은 polysorbate 80, 유자 및 레몬과즙 첨가구에서 30초만에, 그리고 Erwinia carotovorasubsp. carotovora KCTC 2776은 polysorbate 80 및 레몬과즙 첨가구에서 30초만에 사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갈변억제효과는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asnrbic acid 0.5% 첨가구에 5분간 침지하였을 때 57%의 활성저해를 보인 반면, 25%의 저해능을 보인 polysorbate 8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62~84%의 높은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NaCl 및 유자과즙 첨가구에서 30분 침지시에 각각 64, 91 units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절단 감자를 30분간 침지처리한 후의 색도에서도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색차($\Delta$E)가 3 이하를 나타내었다.다.

가열온도에 따른 당용액의 카라멜 생성물의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저해효과 (Inhibition Effects of Caramelization Products from Sugar Solutions Subjected to Different Temperature on Polyphenol Oxidase)

  • 이귀주;안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41-1046
    • /
    • 2001
  • Fructose, glucose, sucrose 용액에 촉매를 가하지 않고 15$0^{\circ}C$, 17$0^{\circ}C$, 20$0^{\circ}C$에서 각각 가열하고 반응에 따른 카라멜 수용액의 색소형성, pH의 변화, 환원성 및 PPO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카라멜화 생성물 및 갈색색소의 형성은 가열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세 당들 간에는 fructose>sucrose>glucose 카라멜 수용액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p<0.005) 반면에 pH는 감소하였다. 특히 20$0^{\circ}C$에서 가열한 당용액들은 pH 3.32~3.50 범위를 나타내었다. 카라멜 수용액의 환원성 및 PPO에 대한 그들의 저해효과는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 증가하였으며, 15$0^{\circ}C$와 17$0^{\circ}C$에서는 fructose>sucrose>glucose 카라멜 수용액 순서로 증가하였다(P<0.001). 그러나 20$0^{\circ}C$에서는 초기 단계에서는 fructose의 환원성이 가장 높았으나 후반부에서는 sucrose의 환원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형성된 CP의 차이에 기인된 것이라 생각된다. 카라멜 용액의 환원성은 reductones 화합물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20$0^{\circ}C$에서 60분 가열한 sucrose 카라멜 수용액이 PPO활성을 34.6% 감소시켜 저해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카라멜 수용액의 PPO에 대한 저해효과는 카라멜 수용액의 환원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 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6-622
    • /
    • 2006
  • 싸리(L. bicolor)의 생리활성물질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타민 C와 총 폴리페놀의 함량 그리고 각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싸리의 비타민 C 함량은 $26.42{\pm}0.08mg/100g$이었으며, 싸리 생체의 총 폴리페놀은 $1.14{\pm}0.02 mg/g$을 함유하였으며, 싸리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RE에서 154.95 mg/g으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MW(87.85%) > PW(84.30%) > RW(79.71%) > RE(79.70%)의 순으로 저해 활성 나타내었다. 모든 종류의 추출물이 1,000 u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율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RE(55.22%) > MW(31.39%) > RW(18.52%) > PW(13.5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RE 추출물은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가장 낮았으나 tyrosinase 저해율은 가장 높았으며, 물추출 중에서는 MW의 추출물이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릿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8-86
    • /
    • 2007
  • 구릿대(A. dohurica) 잎의 항산화성과 생리활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 추출방법과 가압열수 추출방법으로 만든 각 추출물에 대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구릿대 잎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구릿대의 생리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가압 열수 추출물(PW; 95.23 mg/g)>환류 에탄올 추출물(RE; 69.81 mg/g)>환류 물 추출물(RW;41.06 mg/g)으로 PW가 RW 보다 2배 이상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61.14%{\sim}76.02%$로 에탄올 추출물인 RE가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능도 19.00%로 가장 높았다. $pH\;1.2,\;1,000{\mu}g/mL$의 농도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44.24%{\sim}54.33%$로 PW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5,000{\mu}g/mL$의 농도에서 97% 이상이었으며, 특히 환류 물 추출물인 RW는 $500{\mu}g/mL$의 농도에서도 97%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W에서도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율은 $5,000{\mu}g/mL$의 농도에서 $23.88%{\sim}46.25%$로 RE의 저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5,000{\mu}g/mL$의 농도에서도3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구릿대 잎의 가압 열수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해 많은 폴리페놀을 추출할 수 있으며,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환류 에탄올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그리고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릿대 잎은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생물자원으로 판단된다.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 전호성;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09
  • 식용 및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T. nucifera) 종자인 비자(榧子)를 천연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한 비자의 수율은 $100^{\circ}C$ 이상의 고온과 압력이 가해진 HWE가 7.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자의 HWE는 35.47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12.95 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비자의 각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율은 2.0 mg/mL의 농도에서 $5.62{\sim}28.71%$로 WE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pH 1.2의 2.0 mg/mL의 조건에서 HWE가 94.30 %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pH 1.2와 3.0에서 비자의 세 가지 추출물 모두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HWE에서 33.58%로 WE (17.70%)와 EE(24.16%)보다 약 $1.4{\sim}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의 농도에서 $66.46{\sim}89.72%$로 WE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p<0.05). Xanthine oxidase 저해는 HWE에서 89.29%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WE와 HWE는 7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비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다량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추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이나 제품의 첨가물 또는 의약품 재료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메꽃(Calystegia japonica) 잎 추출물의 함유성분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lystegia japonica Leaf Extracts)

  • 최복동;전호성;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0-2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야생 식 약용식물들을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메꽃 잎의 물(WE)과 에탄올(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한 xanthine oxidase 저해,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능 그리고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꽃 잎의 세가지 추출물은 0.5 mg/mL에서 90% 이상의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고농도에서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BHA나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HWE 추출물이 1.0 mg/mL에서 1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 mg/mL의 pH 1.2에서 세가지 추출물 모두 약 65% 이상, pH 3.0의 조건에서는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WE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에서 EE가 84.80%로 가장 높았으며, 세가지 추출물 모두 저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EE는 179.89 mg/g의 폴리페놀과 40.68 mg/g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메꽃 잎은 우수한 생리활성과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므로 이를 이용한 식음료나 기능성 가공식품, 식품 보존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국산밀의 폴리페놀 산화 효소 활성과 국수 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Color of White Salted Noodles Prepared from Korean Wheat Cultivar)

  • 강천식;김경훈;박종철;김경호;박광근;정영근;윤성중;박철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70-478
    • /
    • 2011
  • 밀가루 및 국수 면대의 색깔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밝은 색택의 밀가루 및 국수 제조에 적합한 품종의 육성에 유용한 간편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밀 25 품종을 이용하여 종실 및 밀가루 특성과 저장기간 동안 국수 면대의 밝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종실의 PPO 활성은 천립중이 낮을수록, 종실 회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실의 PPO 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r=0.609^{**}$), 철 함량($r=0.655^{**}$) 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철 함량 및 밀가루 색 밝기 등의 특성이 종실의 PPO 활성과 관련이 있었으며, 종실의 PPO 활성이 높은 품종일수록 국수 면대의 저장 기간 중에 면대 색이 보다 빠르고 어둡게 변색되었다. 국수 면대 색이 밝은 국내 밀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평가 방법이 용이하고 밀가루 및 국수 색깔과 높은 상관이 있는 종실의 PPO 활성을 육종 초기 세대에 평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