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viscosity

검색결과 658건 처리시간 0.026초

액상 에폭시 수지와 마이크로/나노 하이브리드 실리카 혼합물의 점도 예측 (Prediction of Viscosity in Liquid Epoxy Resin Mixed with Micro/Nano Hybrid Silica)

  • 황광춘;이충희;이종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0-105
    • /
    • 2011
  • The relative viscosity was measured at different filler loadings for a cycloaliphatic epoxy resin and hexahydro-4-methylphthalic anhydride hardener system filled with micro/nano hybrid silica. Various empirical models were fitted to the experimental data and a fitting parameter such as critical filler fractions (${\phi}_{max}$) was estimated. Among the models, the Zhang-Evans model gave the best fit to the viscosity data. For all the silica loadings used, ln (relative viscosity) varied linearly with filler loadings. Using the Zhang-Evans model and the linearity characteristics of the viscosity change, simple methods to predict the relative viscosity below ${\phi}_{max}$ are presented in this work. The predicted viscosity values from the two methods at hybrid silica fractions of $\phi$ = 0.086 and 0.1506 were confirmed for a micro:nano = 1:1 hybrid filler.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was less than 11%, indicating that the proposed predicting method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

Nylon 66/Cloisite 93A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Nylon 66 점도 효과 (Nylon 66 Viscosity Effec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 66/Cloisite 93A Nanocomposite)

  • 박상철;김호겸;민경은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100-112
    • /
    • 2013
  •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pilot scale의 복합체 생산설비에서 용융 삽입법으로 nylon 66/Cloisite 93A 나노복합체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nylon 66에 Cloisite 93A 도입으로 인장 및 굴곡응력에 대한 강도와 탄성률이 향상되었고, 형태학적 및 결정화 거동의 분석을 통해 Cloisite 93A 함량, nylon 66 점도 및 그에 따른 결정화 거동이 주요 영향요소임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 of Urea on Volumetric and Viscometric Properties of Aqueous Solutions of Poly(ethylene oxide)

  • 전상일;백경구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1호
    • /
    • pp.1194-1198
    • /
    • 1998
  • The density and the viscosity of aqueous PEO solutions are observed with the several concentrations of PEO at 20 ℃. The effects of urea on them are also observed. The apparent and the partial specific volumes of PEO are calculated from the density data, which result that the polymer-polymer interaction is dominating in the binary aqueous PEO solutions, while the polymer-solvent interaction is dominating in the ternary aqueous urea-PEO solutions. It is explained by the urea induced breakage of the structured water originated from the hydrophobic interactions and the binding of the urea to the PEO chain. Th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relative viscosity and the density dependence of fluidity is also discussed with the concept of the polymersolvent and the polymer-polymer interactions of aqueous urea-PEO solutions.

고분자 수용액의 레올러지 특성이 캡슐의 침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eological Properties on the Sedimentation of Capsules in an Aqueous Polymer Solution)

  • 김동주;김정아;경기열;윤명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8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캡슐을 함유하는 저점도 고분자 수용액에서 캡슐의 침강과 고분자 수용액의 레올러지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고분자 수용액의 레올러지 특성은 carbomer (이하 C), acylate/C10-30 alkyl acylate crosspolymer (이하 AC), ammonium acryloyldimethyltautate/VP copolymer (이하 AV) 3종류의 고분자로 조절했으며 실험결과 고분자 C는 가장 적은 함량으로 높은 점증효과를 보였고 고분자 AV는 함량이 $0.35 wt\%$이상인 경우 같은 점도에서 고분자 C보다 높은 항복응력 값을 가졌다. 저점도 고분자 수용액에 대한 실험 결과 점도와 항복응력이 높을수록 캡슐의 침강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hear stress 0.1${\~}$2.0 Pa 범위에서의 점탄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점탄성 역시 높은 값을 가지면 캡슐의 침강비가 작아졌다. 이는 고분자 수용액의 레올러지 특성이 캡슐의 침강비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증명해주는 결과들이다. 고분자 C와 AV를 혼합 사용한 결과 단독 사용 시 보다 캡슐의 침강비가 작아져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고분자 수용액의 레올러지 특성과 캡슐의 침강비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고분자의 구조적인 특성과 고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폴리머 디스퍼전과 시멘트로 만든 균열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복합체의 기초적 성질 (Basic Properties of Polymer Cement Composites with Polymer Dispersions and Cement for Crack Repair )

  • 조영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97-104
    • /
    • 2023
  • 본 연구는 RC 구조물의 균열보수를 위한 보수재로서 폴리머 디스퍼전과 시멘트만으로 구성된 폴리머 시멘트 복합체 (polymer cement Composites ; PCCs)를 제작하여 실험적으로 기초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시험배합은 EVA 및 SAE 폴리머 디스퍼전을 기반으로 보수재의 충전성을 고려하여 폴리머 시멘트비를 4가지(20, 60, 80 및 100%)로 변환시키면서 물시멘트비를 정해 PCCs의 점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PCCs의 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P/C 80%와 100%에 실리카퓸을 혼입한 시험편도 제작하였다. PCCs의 균열보수용으로서의 점도, 유동성, 충전성, 인장강도, 신장률 및 탄성계수 등 기초적 물성을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P/C는 점도와 유동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RC 구조물의 균열보수용으로서 충전성을 고려한 적절한 점도를 맞춘 배합설계를 위해 상당한 가수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모든 배합은 충전성이 우수하였으며, PCCs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에 대한 KS 규정을 만족하였다. 또한 실리카퓸을 혼입함으로써 PCCs의 인장강도와 탄성계수가 개선되었으며, 폴리머 종류에 따라서는 SAE를 사용한 경우가 EV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RC 구조물 균열 보수재로서 우수한 기초적인 물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RC 구조물의 균열보수용으로 SAE를 사용한 P/C 80% 또는 100%와 실리카퓸 30%까지 혼입한 배합을 적절한 배합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Synthesis and Solution Properties of Zwitterionic Copolymer of Acrylamide with 3-[(2-Acrylamido)dimethylammonio]propanesulfonate

  • Xiao, Hui;Hu, Jing;Jin, Shuailin;Li, Rui Ha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9호
    • /
    • pp.2616-2622
    • /
    • 2013
  • A novel zwitterionic monomer 3-[(2-acrylamido)dimethylammonio]propanesulfonate (DMADAS)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in this study. Then it was polymerized with acrylamide (AM)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in 0.5 mol/L NaCl solution with ammonium persulfate ($(NH_4)_2S_2O_8$) and sodium sulfate ($NaHSO_3$) as initiator.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DMADAS and acrylamide-3-[(2-acrylamido)-dimethylammonio]propanesulfonate copolymer (P-AM-DMADAS) were characterized by FT-IR spectroscopy, $^1H$ NMR and elemental analyses. Isoelectric point (IEP) of P-AM-DMADAS was tested by nanoparticle size and potential analyzer. Solution properties of copolymer were studied by reduced viscosity. Antipolyelectrolyte behavior was observed and was found to be enhanced with increasing DMADAS content in copoly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cosity of P-AM-DMADAS is 5.472 dl/g in pure water. Electrolyte was added, which weakened the mutual attraction between sulfonic acid group and quaternary ammonium group. The conformation became loose,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reduced viscosity. The ability of monovalent and divalent cation influencing the viscosity of zwitterionic copolymer obeyed the following sequence: $Li^+$ < $Na^+$ < $K^+$, $Mg^{2+}$ < $Ca^{2+}$ < $Ba^{2+}$, and that of anion is in the order: $Cl^-$ < $Br^-$ < $I^-$, $CO{_3}^{2-}$ > $SO{_3}^{2-}{\approx}SO{_4}^{2-}$.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가공 특성 향상 연구 (Processability Enhancement in Melt Processing of Poly(ethylene naphthalate))

  • 김효갑;강호종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75-480
    • /
    • 2005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의 가공 특성 향상을 위하여 윤활제 첨가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의 블렌딩에 의한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 유발에 따른 용융 점도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PEN에 윤활제로 calcium stearate(CaST)를 첨가한 결과, 점도를 낮출 수 있었으나 $2wt\%$ 이상의 CaST첨가는 PEN의 열분해를 촉진하여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PEN에 PET를 $10wt\%$ 첨가하여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발시킨 PEN/PET블렌드는 PEN보다 낮은 점도를 가지며 이에 $1wt\%$의 CaST윤활제를 같이 첨가하면 CaST가 윤활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 촉진제로 작용하여 추가적인 점도 감소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반응액상성형에서 ε-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에 따른 점도 거동 평가 (Measurement of Viscosity Behavior in In-situ Anionic Polymerization of ε-caprolactam for Thermoplastic Reactive Resin Transfer Molding)

  • 이재효;강승인;김상우;이진우;성동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39-43
    • /
    • 2020
  • 최근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기반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열가소성 고분자는 높은 점도로 용융 상태에서의 가공이 힘들기 때문에 저점도 단량체 상태로 금형 내부로 주입하면서 동시에 중합을 시키는 반응액상성형 공정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단량체인 ε-카프로락탐은 중합속도가 매우 빠르고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수지 함침과 중합 반응을 동시에 제어하면서 최적 공정조건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ε-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과정에서 주요한 공정 변수인 점도 변화 거동을 관찰하였고 ε-카프로락탐의 빠른 중합, 낮은 점도, 수분 민감성에 따른 측정상의 문제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점도 측정 방법에 대한 재현성과 신뢰성은 여러 상대습도에 대한 점도 측정 그리고 외부 환경(수분, 산소)과 차단된 상황에서의 중합과 개선된 점도 측정 결과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이는 복합재료 반응액상성형 공정의 제어 인자로 활용함으로써 공정 최적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