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vinyl alcohol) (PVA)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3초

친수성 PVA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제어 및 투수성 평가 (Evaluation of Crack Control and Permeability of Hydrophilic PVA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 원종필;황금식;박찬기;박해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91-396
    • /
    • 2004
  • 소성수축 균열은 경화전 콘크리트의 노출된 표면에서 과도한 수분 증발로 인하여 발생된다. 이러한 소성수축 균열은 특히 도로, 슬래브 및 옹벽 등과 같은 넓은 표면적을 가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PVA섬유보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소성수축 특성과 투수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VA섬유보강 시멘트복합체는 일반 시멘트 복합체 및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와 비교하여 최대 균열 폭 및 총 균열 면적에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투수성 실험결과 PVA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는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보다 더 낮은 투수성을 나타내었다.

조미김 포장을 위한 PET/PVA-BA/OPP 다층필름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T/PVA-BA/OPP Multi-layer Films for Seasoned-laver Packaging)

  • 임미진;김도완;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5
    • /
    • 2017
  • 수증기 및 산소에 대한 차단성이 개선된 PVA-BA 코팅 조성액의 포장소재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콤마 코팅과 라미네이션 공정을 이용하여 PET/PVA-BA/OPP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PCT 전 후의 PET/PVA-BA/OPP 다층필름의 기체, 수증기 차단특성 및 인장강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PA/PA/EVOH/PP 다층필름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PVA내 B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PCT 후 PET/PVA-BA/OPP 다층필름의 산소, 수증기 차단특성 및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PVA-BA층 내 증가한 가교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미김을 이용한 저장특성분석에서, PET/PVA-BA/OPP다층필름은 PP/Al-metallized PP 다층필름에 비해 조미김의 지방산화를 야기시키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PP/Al-metallized PP 다층필름에 비해 PET/PVA-BA/OPP 다층필름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분투과특성 때문에 Aw에 큰 장점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물성 극대화 및 포장소재로 적용을 위해서는 PET/PVA-BA/OPP 다층필름 내 수분 차단성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막 제조를 위한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막의 특성 평가와 이를 이용한 투과증발 분리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Poly(vinyl alcohol) Membranes for the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and Its Application to Pervaporation Separation)

  • 김연국;이정민;임지원;이영무
    • 멤브레인
    • /
    • 제9권3호
    • /
    • pp.157-162
    • /
    • 1999
  • 본 실험실에서 개발된 sulfur-succinic acid의 가교제를 이용한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균일막은 15$0^{\circ}C$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복합막을 제조할 때 지지체의 가공구조을 파괴할 우려가 있어 반응온도를 10$0^{\circ}C$이하로 낮추고자 하였다. 이 때 촉매로서 염산이 사용되었고, 결과 막은 가교반응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화학적.열적 분석을 행하였다. 이로부터 반응온도 10$0^{\circ}C$, 반응시간 90분, 촉매(염산) 농도 1.5%일 때 최적의 막을 제조할 수 있는 조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설폰 한외여과 막 위에 coating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 이의 분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메틸터셔리부틸에테르/메탄올 혼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30, 40, 5$0^{\circ}C$에서 투과증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혐 결과 공급액의 온도 5$0^{\circ}C$에서 5.09g/$m^2$hr의 투과도와 3$0^{\circ}C$에서 1622의 선택도를 얻었다.

  • PDF

PVA-SbQ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ISFET 尿素센서 (ISFET Urea Sensor Using PVA-SbQ Polymer)

  • 최성문;김창수;남동현;손병기;김의락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96-503
    • /
    • 1992
  • 반도체 수소이온센서인 pH-ISFET를 제조 하고, 이를 ISFET 요소 센서로 이용하기 위하여 pH-ISFET의 Si$_3$$N_4$ 막 위에 요소 분해효소인 urease를 감광성 고분자 물질인 PVA-SbQ를 이용하여 고정화하였다. 제조된 센서는 빠른 응답특성과 우수한 재현성을 보였으며, 약 1∼50 mg/dl의 요소농도를 정량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임상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혈액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센서의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혈장의 요소농도를 측정하여 현재 실용되고 있는 분광광도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입자 크기 측정을 통한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Biodegradable Nanoparticle with Time via Particle Size Measurement)

  • 조국영;임진형;박정기;이기석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46-2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와 제조조건에 따른 나노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D,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단독과 폴리(L-락타이드)와의 블렌드, 그리고 폴리(L-락타이em)-g-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블렌드, 세 종류를 개선된 자발적 에멀션/용매 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조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대표적인 분산 안정제인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사용 유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분산 안정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나노입자의 분해와 분해를 통해 붕괴된 입자의 응집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가 분산된 수용액에 단백질 용액을 투입한 경우에는 분산 안정제인 PVA의 사용 유무에 의해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VA가 분산 안정성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그래프트 고분자를 미량 블렌드함에 따라 입자의 단백질 흡착에 대한 분산 안정성은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1일 정도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일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가교된 PVA/PAA 막을 이용한 MTBE-Methanol 혼합물에 대한 투과증발분리 (Pervaporation Separation of MTBE-Methanol Mixtures Using PVA/PAA Crosslinked Membranes)

  • 임지원;김연국
    • 멤브레인
    • /
    • 제8권4호
    • /
    • pp.235-242
    • /
    • 1998
  • 옥탄가상승제 및 대기오염 저감물질로 잘 알려진 메틸터셔리부틸에테르(MTBE)를 투과증발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메탄올로 부터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과 알코올계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과 폴리아크릴산(PAA)이 서로 가교된 막을 이용하여 폴리아크릴산의 양을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하여 5,10,15,20,25 wt% 변경하면서 조업온도 30,40,50$\circ$C, 공급혼합물액의 조성 메탄올 5,10,20 wt%에 대하여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급액온도 50$\circ$C의 MTBE/MeOH=80/20 용액에 대하여 PVA/PAA=85/15 막을 사용하였을 때 투과도 10.1 g/m$^2$hr 및 선택도 약 4000을 얻었다. 또한 공급액온도 40$\circ$C의 MTBE/MeOH=90/10 용액에 대하여 같은 막을 사용했을 경우 투과도 8.5 g/m$^2$hr 및 선택도 약 6000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사용된 막과 투과도 및 선택도와의 관계에는 막의 hydrophilic/hydrophobic balance가 현재의 MTBE/MeOH 계의 분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ZnO와 TiO2 함유 복합나노섬유의 제조와 유해물질분해 성능 평가 (Fabrication of ZnO and TiO2 Nanocomposite Fibers and Their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Harmful Gases)

  • 허윤선;이승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1297-1308
    • /
    • 2011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ZnO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TiO_2$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to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s via an electrospinning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textile materials that can decompose harmful gases. To fabricate uniform ZnO nanocomposite fibers, two types of ZnO nanoparticles were applied. Colloidal $TiO_2$ nanoparticles were chosen to fabricate $TiO_2$ nano- composite fibers. ZnO/poly(vinyl alcohol) (PVA) and $TiO_2$/PVA nanocomposite fibers were electrospun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that include various feed rates, electric voltages, and capillary diameters.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nanocomposite fibers was examined with a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 scope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gaseous materials (formaldehyde, ammonia, toluene, benzene, nitrogen dioxide, sulfur dioxide) by nanocomposite fiber webs with 3wt% nano-particles (ZnO or $TiO_2$) and 7$g/m^2$ web area density was assessed. This study shows that ZnO nanoparticles in colloid were more suitable for fabricating nanocomposite fibers in which nanoparticles are evenly dispersed than in powder. A heat treatment was applied to water-soluble PVA nanofiber webs in order to stabilize the electrospun nanocomposite fibrous structure against dissolution in water. ZnO/PVA and $TiO_2$/PVA nanofiber webs exhibited a range of degradation efficiency for different types of gases. For nitrogen dioxide, the degradation efficiency was 92.2% for ZnO nanocomposite fiber web and 87% for $TiO_2$ nanocomposite fiber web after 20 hours of UV light irradi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ZnO/PVA and $TiO_2$/PVA nano- composite fiber webs have possible uses in functional textiles that can decompose harmful gases.

A Novel Approach to Controlling CaCO3 Crystalline Assembly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Poly(aspartic acid)

  • Zhou, Hongjian;Gao, Yanmin;Hwang, Sun-Gu;Lee, Dong-Yun;Park, Jung-Youn;Lee, Jae-Beo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4027-4034
    • /
    • 2011
  • $CaCO_3$ crystalline structures having novel assemblies were in situ fabricated as analogs of naturally occurring proteins and polysaccharides for biomineralization. The calcite crystal was mineralized in a poly(vinyl alcohol)-$Ca^{2+}$ complex film immersed in a $Na_2CO_3$ solution containing poly(aspartic acid). The morphology and size of the $CaCO_3$ crystals were tun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ly(aspartic acid). The mechanisms of their nucleation orientation and formation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through molecular dynamics (MD) simulations in order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olymers and the crystal at the molecular level. Both the MD results an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VA and calcite mainly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The novel approach proposed herein for the fabrication of inorganic crystalline assembly structures can be used to fabricate precise crystalline structures.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and Cyanoresin

  • Lee, Won-Jun;Kim, Seong-H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47-252
    • /
    • 2008
  • Lithium gel electrolytes based on a mixed polymer matrix consisting of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and cyanoresin type M (CRM) were prepared using an in situ blending process. The CRM used in this study was a copolymer of cyanoethyl pullulan and cyanoethyl poly(vinyl alcohol) (PVA) with a mole ratio of 1:1. The mixed plasticizer was ethylene carbonate (EC) and propylene carbonate (PC) with a volume ratio of 1:1. In this study, the presence of PVDF in the electrolytes helps to form a dimensionally stable film over a broad composition range, and decreases the viscosity. In addition, it provides better rheological propert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extrusion of thin films. However, the presence of HFP has a positive effect on generating an amorphous domain in a crystalline PVDF structur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s was investigated in the range 298-333 K. The introduction of CRM into the PVDF-HFP/$LiPF_6$, complex produced a PVDF-HFP/CRM/$LiPF_6$ complex with a higher ionic conductivity and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than a simple PVDF-HFP/$LiPF_6$, complex.

방사선을 이용한 느릅나무 추출 다당류가 함유된 하이드로젤의 제조 및 항염증성 평가 (Radiation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Evaluation of Polysaccharide Hydrogel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 권희정;박은지;최종배;임종영;정진오;신영민;정성린;박종석;임윤묵;최영훈;김상숙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69-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기술을 이용하여 항염증 특성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여 항염증 패치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천연 추출물로는 오래 전부터 전통 민간요법으로 항염제나 궤양 및 종양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는 느릅나무를 사용하였고,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poly(vinyl alcohol)(PVA)와 보습률 향상을 위해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감마선 가교에 의해 다당류 함유 고분자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이드로젤은 항염증 패치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고, 사이토카인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은 물론 세포독성도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느릅나무 추출 다당류가 함유된 하이드로젤은 항염증 패치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