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densit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유전자변형 벼로부터 일어나는 화분비산의 시공간적 특성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ollen Flow of Living Modified Rice)

  • 안주희;조강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10-217
    • /
    • 2009
  • 본 연구에서 실행한 LM 벼의 화분비산 연구는 non-LM벼와 잡초성 벼의 의도치 않은 교잡은 경작지의 생태계에 문제를 야기할 기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벼의 이격거리 설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벼의 개화기간의 개화시간$(10:00{\sim}14:00)$의 주풍은 남풍이었으며, 시간대별 풍속은 $0.94{\sim}1.77$ m/s이었다. 2. 개화기는 LM벼와 Wild벼가 일치하는 기간은 8일이였으며, LM벼와 Wild벼의 최성기는 4일의 차이가 있다. 3. LM벼의 화분이 non-LM벼보다 유의하게 작게 조사되었다. 4. 화분채집량은 위가 노출된 슬라이드 글라스가 위가 덮인 슬라이드 글래스 보다 많았으며 LM벼가 Wild벼보다 비산량이 많았다. 5. 벼 화분의 비산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대부분 이루어졌다. 6. 거리에 따른 화분비산량은 1 m까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 m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는 전형적인 지수함수를 나타냈으며, 3 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Changes of RNA synthesis in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 Kim, Moon-Za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25-32
    • /
    • 1995
  • The distribution of RNA in the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was followed by 3H-uridine autoradiography. Silver grain(SG) density was not above background in the anther wall just after microspore was released from tetrad callose wall. Significant accumulation of SGs occurred in tapetum, endothecium, and epidermis before microspore vacuolation. Accumulation of RNA in the tapetal cells was peak before the vaculation occurred in the microspore. With the onset of tapetal senescence at the partially vacuolated microspore stage, SGs decreased and they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tapetum at the bicelled pollen stage. Accumulation of RNA in the endothecial cells was peak after the microspore mitosis and continued just after the generative cell mitosis. Appreciable SGs also occurred in cells of epidermis from nonvacuolate microspore stage to bicelled pollen stage. During this period, SG density was almost same and was not high as compared with tapetum or endothecium. At tricelled mature pollen stage, no incorporation occurred in anther wall. SGs were found mostly over the nucleouls and chromation of the cell nuclei.

  • PDF

Evaluation of crab apples for apple production in high-density apple orchards

  • Kwon, Soon-Il;Yoo, Jingi;Lee, Jinwook;Moon, Yong-Sun;Choi, Cheol;Jung, Hee Young;Lee, Dong Hoon;Kim, Chang Kil;Kang, I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71-276
    • /
    • 2015
  • Crab apple cultivars, 'Maypole', 'Tuscan', and 'Manchurian', were evaluated as potential pollinizers of major apple cultivars, 'Fuji', 'Hongro', and 'Tsugaru', cultivated in high-density apple orchard systems. Numerous cultivar characteristics, including blooming time, pollen germination, fruit set, disease and pest resistance, and self-incompatibility, were examined. The blooming times of both 'Maypole' and 'Tuscan' ranged from April 19 to May 5, which was 2-4 days earlier than those of the major commercial apple cultivars. PCR analysis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any of the S-alleles (S1, S3, S7, or S9) identified in major commercial apple cultivars.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fruit set was high after tree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with crab apple pollen. Artificially cross-pollinated fruits were of similar or higher quality than open-pollinated fruits. They also demonstrated resistance to apple blotch, sooty blotch, and fly spec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crab apples, 'Maypole' and 'Tuscan' w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pollinizers of major apple cultivars in Korea. Use of the pollen of these crap apples in commercial production will improve fruit quality and promote sustainable and robust fruit production.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교배친의 생육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Pattern and Plant density on Seed Production of a Modified Single Cross Corn Hybrid)

  • 박근용;강영길;박승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6
    • /
    • 1984
  •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채종재배에 있어서 웅주간파 ♂♀ 1 : 2, 2 : 4 등의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종자친의 생육 및 채종량과 화분친의 웅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83년 제천옥의 종자친 KS8/B68과 화분친 KS5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및 간장은 파종양식이나 재식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종자친의 착수고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2. 종자친의 100주당 수수는 10a당 종자친 3,500본에서는 파종양식간에 비슷하나 5,000본 이상에서는 2 : 4 재배보다 웅주간파나 1 : 2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파종양식에 관계없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당입수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고 파종양식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작아졌다. 100입중은 25g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화분친의 화분이 제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채종량은 웅주간파, 1 : 2재배, 2 : 4재배순으로 많은 경향이였고 10a당 종자 친 3,500본에서 5,000본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5,000본에서 6,500본으로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채종량 증가는 크지 않았다. 4. 화분친의 웅수장과 웅수당 영화수는 1 : 2나 2 :4재배에 비하여 웅주간파 재배에서 작았고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1 : 2 및 2 : 4재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2: 4재배에서는 유의하게 작아지지 않았다. 5. 변형단교잡종의 채종에는 1 : 2나 2 : 4재배의 10a당 종자친 5,000본 재식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벼 수잉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품종간 반응 (Varietal Differences of Low Temperature Response at Booting Stage in Rice)

  • 김기식;김재록;윤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6-112
    • /
    • 1989
  • 중북부 지방의 장려품종중 통일형은 태백벼 외 4품종, 일반형은 대성벼 외 14품종 등 함계 20품종에 대하여 유수분화기부터 출수시까지 장기령수(19$^{\circ}C$)를 처리하여 직물체 부위에 나타나는 장해 정도, 약과 화분의 변화, 형질, 화분염성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저온반응을 조사하였다. 1. 출수지연은 통일형과 일반형과의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태백벼, 풍산벼, 설악벼, 백양벼, 백암벼 증이 10~15일로 가장 컸다. 2. 간장단축률은 1.6~21.3%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단축이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였고, 가정 적었던 품종은 가야벼, 진흥이었다. 3. 수장의 단축률은 2.9~26.6%RK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 가장 적었던 품종은 천마벼였다. 4. 약장의 단축률은 1.71~2.51mm까지. 저온처리구는 1.01~1.61m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저온처리시 약의 형태를 보면 구부러진 것, 길이와 너비가 줄어든 것, 길이만 단축된 것 등 여러 가지 관찰되었다. 5. 약당 화분수는 자연구에서 420~620 개까지 있었으나 저온처리구는 화분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41~294개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화분염성은 7.3~80.6%까지 있었다. 6. 화분의 형태는 정당적인 것은 원형이고 염색도 잘 되었으나, 저온장해를 받은 화분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쭈그러졌거나 내용물이 불충실한 것, 형태는 정상이나 크기가 작아진 것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7. 저온처리구의 수량은 자연구에 비해 백암벼 외 8품종이 20% 이하였고, 오합며 외 5품종은 21~40% 수준이었고, 상풍벼 외 4품종은 41% 이하으로서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 PD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ominant Species in Imported Pollens for Artificial Pollination

  • Kim, Su-Hyeon;Do, Heeil;Cho, Gyeongjun;Kim, Da-Ran;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299-306
    • /
    • 2021
  • Pollin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for plants to carry on their generation. Pollination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species. Among them, pollination by insect pollinator accounts for the most common. However, these pollinators have be decreasing in population densit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use of artificial pollin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artificial pollens. We showed the composition of bacteria structure present in the artificial pollens of apple, kiwifruit, peach and pear, and contamination of high-risk pathogens was investigated. Acidovorax spp., Pantoea spp., Erwinia spp., Pseudomonas spp., and Xanthomonas spp., which are classified as potential high-risk pathogens, have been identified in imported pollens. This study presented the pollen-associate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biosecurity in orchard industry.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한 부안지역 소나무 집단의 화분 유동과 교배양식 추정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Pollen Flow and Mating System in Pinus densiflora Population in Buan, South Korea,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김영미;홍경낙;박유진;홍용표;박재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1-110
    • /
    • 2015
  • 부안지역 소나무 집단의 화분유동과 교배양식 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7개 microsatellite 표지로 모수, 주변 성목 및 종자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이형접합도 기대치($H_e$)와 근교계수(F)는 각각 모수에서 0.614과 0.018, 종자에서 0.624과 0.087이며, 각 세대간에 차이는 없었다(P > 0.05). MLTR로 추정한 타가교배율($t_m$)은 0.967이며, 양친간 근연계수($t_m-t_s$)는 0.057, 부계상관($r_p$)은 0.012로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소나무의 동위효소 분석 결과에 비하여 타가교배율은 높고 근친교배 및 부계상관은 낮았으나, microsatellite 표지를 이용한 소나무류의 결과들과는 유사하였다. TwoGener로 추정한 최적 화분비산 모델은 유효밀도(d = 220 trees/ha)를 가정한 정규확산모델로 판명되었으며, 평균 화분비산거리(${\delta}$)는 11.42 m로 계산되었다. 화분원 유전적 분화(${\Phi}_{ft}$)는 0.021이며, Mental 검증에서 모수간 지리적 거리와 화분원의 유전적 분화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141, P > 0.05). 부안지역 소나무 집단은 대부분의 화분이 가까운 거리에서 공급되지만, 화분수의 유전다양성이 높고 화분원의 유전적 차이가 작은 상태로 추정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완전한 임의교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자의 유전자형이 다양하며 세대간 유전변이의 감소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화분 분석을 통한 의왕시 지역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고식생 및 고기후 연구 (Late Pleistocene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of the Uiwang Area Based on Pollen Analysis)

  • 정철환;임현수;윤호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98-707
    • /
    • 2010
  •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 대한 화분분석 결과, 초본류 및 양치식물로 이루어진 저층의 발달과 함께 침엽수-낙엽성 활엽수 혼효림이 분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조건을 반영하는 식생조성의 변화가 인지되는데, 약 43,100년 전-41,900년 전 시기에는 오늘날보다 다소 추운 한랭한 온대 기후하에서 초지식생을 수반한 침엽수-낙엽성 활엽수 혼효림이 발달하였다. 약 41,900년 전-41,200년 전 동안에는 양치식물 저층의 발달과 함께 침엽수-낙엽성 활엽수 혼효림 내에서의 아한대성 침엽수의 감소와 온대성 낙엽 활엽수의 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는 기후조건의 온난화를 지시한다. 약 41,200년 전-39,700년 전 시기에는 기후 한랭화에 따른 아한대성 침엽수의 증가와 식생밀도의 감소가 나타난다.

분말활성탄을 활용한 미세먼지 흡착형 경화체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Fine Dust Adsorption Matrix using Powder Activate Carbon)

  • 이원규;김연호;경인수;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2-173
    • /
    • 2019
  • As the damage to fine dust increased, the Republic of Korea designated fine dust as a social disaster. The composition of the fine dust is composed of carbon, sulfate, nitrate, ammonium and minerals. The cause of fine dust is naturally generated by dirt, pollen, etc. In addition, there are artificial causes such as gaseous vehicle exhaust gas emitted from the use of fossil fuel. When fine dust enters the human body through breathing, it cause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nd skin diseases. In IARC, fine dust was designated as a carcinogen group 1.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adsorb fine dust by physical adsorption using powdered activate carbon. Powdered activate carbon is a powdered activated carbon activated in a carbonized state. Porous material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low density. Experimental items were tested for density, water absorption, and fine dust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AC addition ratio. Basic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fabricate the fine dust adsorption matrix.

  • PDF

홀로신 중기 광주광역시 연산동 일대의 고식생 및 고기후 변화 (Mid-Holocene palaeoenvironmental change at the Yeonsan-dong, Gwangju)

  • 박정재;김민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4-425
    • /
    • 2011
  • 광주광역시 화전 유적지의 습지 퇴적물에 화분분석, 수침목재 동정, 그리고 기초적인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홀로신 중기 고식생 및 고기후를 유추해 보았다. 약 8200 ~ 6800년 전에는 홀로신 기후최적기에 비해 기후가 다소 건조하여, 참나무 개체수는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양한 수목들이 함께 서식했다. 약 6800 ~ 5900 년 전은 홀로신 기후최적기로 온난 습윤한 기후가 강화되면서 참나무속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저습지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6100 년 전 경에는 한반도 남동부에서 홀로신 기후최적기의 지속으로 극상림에 가까운 삼림이 형성되었다. 약 5900 ~ 4700 년 전에는 기후가 냉량건조해지면서 극상림인 참나무숲의 면적뿐 아니라 전체 삼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 시기 말미에는 기후의 일시적인 호전으로 오리나무숲이 팽창하였다. 마지막으로 약 4700 ~ 3300 년 전에는 오리나무의 세력이 감소하고 참나무가 우점했으며 상대적으로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면서 삼림의 밀도는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