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al Party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6초

Japanese Political Interviews: The Integration of Conversation Analysis and Facial Expression Analysis

  • Kinoshita, Ken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180-196
    • /
    • 2020
  • This paper considers Japanese political interviews to integrate conversation and facial expression analysis. The behaviors of political leaders will be disclosed by analyzing questions and responses by using the turn-taking system in conversation analysis. Additionally, audiences who cannot understand verbal expressions alone will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political leaders by analyzing their facial expressions. Integral analyses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facial and verbal expressions of politicians and their effect on public opinion. Politicians have unique techniques to convince people. If people do not know these techniques and ways of various expressions, they will become confused, and politics may fall into populism as a result. To avoid thi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is needed. This paper presents two analyses. The first analysis is a qualitative analysis that deals with Prime Minister Shinzō Abe and shows that differences between words and happy facial expressions occur. That result indicates that Abe expresses disgusted facial expressions when faced with the same question from an interviewer. The second is a quantitativ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re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ix facial expressions: happy, sad, angry, surprised, scared, and disguste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when politicians have a threat to face. Political interviews that directly inform audiences are used as a tool by politicians. Those interviews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lling public opinion. The audience watches political interviews, and these mold support to the party. Watching political interviews contributes to the decision to support the political party when they vote in a coming election.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결정요인 분석 (The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Establishment of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변주수;유재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31-14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LHFSCs). Community factors were population size, community size, local finance independency, number of workplaces per 1,000 people, number of colleges, political party affiliation of mayor, and political party affiliation of congressman.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census indicators of 222 communities from 2004 to 2014 and analyzed by frequency, mea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mapping, and the binary logi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HFSCs are less likely to be established in communities in the provinces of Gangwon, Chungbuk, and Gyeongbuk. Second, the population siz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LHFSCs. Third, finance independen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LHFSCs. Forth, a mayor was more likely to establish LHFSCs if they were affiliated with the ruling conservative political party.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LHFSCs was not affe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community scale, number of workplaces per 1,000 people, the number of colleges, and party affiliation of congressman. Thus, the conclusion suggests family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geographical imbalance of LHFS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지지 정당의 차이에 따른 규제 인식 차이 연구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Regul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Political Party)

  • 최성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48-156
    • /
    • 2016
  • 현대 국가는 정당 국가이다. 따라서 사회의 주된 영향 요소 중 하나가 정당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당 간 차이에 따라서 어떠한 정책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지지 정당에 따라서 시민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정부의 주요 정책 유형 중 하나인 규제와 관련해서는 정당 간 차이가 논의된 바 없다. 일반적으로 규제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치적 견해에 따른 규제 차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규제도 정부의 행위로서 정치적 인식에 따라 규제를 받아 들이는 인식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의 규제에 대한 인식에서 지지 정당 간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 결과 규제의 필요성, 규제의 긍정성, 규제의 사회적 효과, 규제의 국민에 대한 기여도 등과 관련해서 여당 지지자가 야당 지지자보다 더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규제에 대한 신뢰도, 규제의 전문성, 규제의 효율성, 규제의 공정성, 규제의 문제 해결 가능성 등과 관련해서는 여당 지지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데반해, 야당 지지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정부 규제는 정치, 정당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사항으로서 정치 및 정당과 상호 연관되어 논의될 필요성이 있다.

대통령제와 협치가능성: 한국의 문제점과 미국 및 칠레의 대안적 정당체계들 (Presidentialism and Consensual Politics: The Problems of South Korea and the US and Chile's Alternative Party Systems)

  • 이선우
    • 의정연구
    • /
    • 제27권3호
    • /
    • pp.69-106
    • /
    • 2021
  • 본고는 대통령제와 정당기율이 강한 정당들로 구성된 양당제의 결합이란 제도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 여야 간 극심한 정치적 갈등 및 대립이 지속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통령제와 정당기율이 약한 양당제가 결합된 경우로 미국을, 대통령제와 정당기율이 강한 다당제가 결합된 경우로 칠레를 각각 들고 어떻게 양 사례에서 협치가능성이 제고될 수 있었는지 분석할 것이다. 나아가, 이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우 역시 협치가능성 제고를 위해선 정당체계 변화를 수반하게 될 일련의 정치개혁들, 즉 개별 의원들의 자율성을 강화시켜줄 당조직상의 분권화 혹은 민주화나, 다당제를 추동해낼 결선투표제의 도입 혹은 비례대표제의 확대 등이 요구됨을 그 실천적 함의로 제안하려 한다.

정당의 위기관리를 위한 이미지 회복 전략: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건을 중심으로 (Image Restoration Strategy for the Crisis Management of a Political Party: A Case Study of Presidential Impeachment)

  • 이수범;김수정;김유훈;정수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9권
    • /
    • pp.189-231
    • /
    • 2005
  • 본 연구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위기를 맞이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위기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정당별 위기관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당의 위기관리를 위해 각 정당이 사용하는 이미지 회복 전략의 모습을 베노이트(Benoit)의 수사학적인 이미지 회복 전략의 틀로서 분석했다. 그 결과 한나라당과 민주당 모두 비난자 공격을 주로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하였으나 위기관리에 성공한 한나라당과 실패한 민주당은 이미지 회복 전략상 차이를 보여줬다. 위기관리에 성공을 거둔 한나라당의 경우 비난자 공격 전략을 주로 사용하다가 미래 지향 전략으로 선회하였다. 따라서 위기관리에 성공한 야당과 실패한 야당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위기에 대한 책임이 높은 조직은 미래지향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쿰즈(Coombs)의 이론을 뒷받침할만한 모습을 한나라당의 이미지 회복 전락에서 살필 수 있었다.

  • PDF

한국 노동운동의 1기 노동자정치세력화 30년 : 성찰과 비판 (Three Dacades of Labour Politics in Korean Labour Movement - Reflections and Critics)

  • 노중기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9-209
    • /
    • 2018
  • 한국 노동운동이 노동자정치세력화를 시도한지 30년이 지났다. 한 세대에 걸친 1기 정치세력화 실험은 나름의 성과와 함께 대체로 실패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별로 없었다. 이 연구는 노동체제 변동의 거시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하고 비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치세력화의 성패는 노동체제의 구조변동과 결합되어 나타났다. 노동운동 주체들의 전략선택실패는 상대적으로 부차적인 요인이었다. 둘째, 정치세력화의 주요 동력은 진보정당보다 민주노조의 노동조합운동에서 발생하였다. 노조와 정당 간의 '배타적지지'는 그 중요한 제도적 장치였고 1기 정치운동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촛불혁명은 새로운 정치세력화운동을 위한 새로운 조건들을 창출하였다. 그러나 2단계 정치세력화의 충분조건은 노동운동 주체들의 전략적 혁신실천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당 지지에 대한 세대별 차이 고찰 (An Empirical Study on Difference of Approval Rate for the Political Parties among Generations)

  • 우경봉
    • 분석과 대안
    • /
    • 제4권2호
    • /
    • pp.103-1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whether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exist in support among major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if so, how they exi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nationwi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conjoin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parameter logit model. The main results of mode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policy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generation of 20s and 30s for the education variable. It was found that both 20s and 30s aimed for equal education at a higher level than other generations. Especially, the highest intensity aim for equal education culture was observed in the 20s. Second, the coefficients of major political parties were observed with a high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appears to be a result suggesting that voters decide on their voting behavior through thorough policy comparisons in addition to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n various current issues. Third, a clear support for conservative parties was observed in the generation of 20s. A clear and intense distribution of preference for political parties classified as conservatives was observed in the 20s gener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mainly college students. This seems to be a profound founding related to the issue of "conservatization of the 20s,"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in Korean society. Fourth, a high level of support for progressive parties was observed in the 30s and 40s. The Justice Party can be classified as a minority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House as of January 2019. Nevertheless, it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 level in national recognition, and it is presumed that the background was high level of support from the 30s and 40s. Fifth, a large level of standard deviation was observed in the preference for conservative parties in the 50s. This means that some respondents who are in their 50s or older strongly support the Liberty Korea Party, and some respondents in the same generation strongly disapprove it. Due to this countervailing power, it seems that the average support level for the Liberal Korean Party is low in the generations of 50s and older.?

  • PDF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의 주요 이슈와 공약 및 지지표 분포와 향후 정치 전망 (The Main Issues, Election Promises and Distribution of Votes in the 2021 German Federal Election and the Political Perspective after the Election)

  • 정병기
    • 의정연구
    • /
    • 제27권3호
    • /
    • pp.35-68
    • /
    • 2021
  • 2021년 독일 총선에서 사민당이 신승해 제1당으로 복귀하고 녹색당이 최대 승자로 떠올랐다. 두 정당은 기후·환경, 팬데믹 대처와 보건, 노동·사회 정책에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을 제시함으로써 승기를 잡았다. 메르켈 효과는 선거에서 크게 작용하지 않았으며, 연정 구성 후 정부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투표 행태에서 계급 균열이 약해진 반면, 세대 균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 노년층은 양대 정당에 더 많은 지지를 보냈고, 청년층은 녹색당과 자민당에 더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세대 갈등이 계속된다면 녹색당과 자민당 등의 성장과 양대 정당의 지속적 약화 및 기타 새로운 정당의 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구 동·서독 간 지역 갈등이 여전히 남아 있어 대안당과 좌파당의 향배에 영향을 미쳐 다른 균열들과 결합할 것이다. 2021년 총선은 정당 체제 재편을 예고하는 선거라고 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정당체계의 연속성과 정치균열의 문제: 도시부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Islam, Authoritarian Legacy, and Income in the Continuity of Indonesia's Party System: Based on Urban Survey Data)

  • 최정욱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3권3호
    • /
    • pp.217-256
    • /
    • 2013
  •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the continuity in Indonesia's party system with respect to Islam, authoritarian legacy and income, using the urban-based individual face-to-face survey data. The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Indonesian party system between the 1955 and 1999 democratic elections. Yet,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pre-transitional 1997 election and the transitional 1999 election. It finds that the effect of Islam is largely independent of the democratic transition: Islam-oriented voters under the authoritarian rule tend to remain in the Islamic camp even during and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while most of the secular voters prior to the democratic transition continue to shun any Islamic parties during the democratization. The effect of authoritarian legacy is also found to be meaningful, even if not as sticky as Islam. Finally, the variable of income is significant.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the PDIP is not a party of the urban poor but the PPP is the urban poor's favorite choice. This implies the linkage between poverty and political Islam.

민주노동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Change of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based on Parliamentary Party Model)

  • 채진원
    • 의정연구
    • /
    • 제15권1호
    • /
    • pp.261-290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우선, 민주노동당이 드러낸 정체성의 상이한 특성을 이른바, '민주노동당의 원내정당화'라는 개념 틀에 입각하여 구체적인 경험적 지표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의 성격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동안 전형적인 대중정당모델로서 진보적인 이념과 계급정당을 표방하면서 기대를 모았던 민주노동당이 원내진출이후 기대와는 다르게 대중정당의 특성이 급속하게 약화되는 한편 원내정당의 특성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한다. 원내정당모델에 가까운 경향들은 대중정당모델에 입각한 당 운영을 표방해온 민주노동당에서 수용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용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역설적이고도 흥미로운 측면이다. 그렇다면, 민주노동당의 이 같은 특성의 혼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대중정당모델의 시대적 적실성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 연결시켜 볼 때, 많은 궁금증을 자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