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e officer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1초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ffectiveness of Police Crime Control

  • Lee, Soochang;Jung, Woo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49-57
    • /
    • 2019
  •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ffectiveness of crime control in police organizations.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measure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ffectiveness of crime control.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285 police officers work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some citie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tudy employs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olice performance.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effectiveness of crime contro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0.01,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t the level 0.05. The key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system,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managers and individual officers with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a sustainable growth system in the police.

경찰공무원 특별채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행정학과 특별채용제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Improvement Plan of Special Recruitment of Police Officers -Focusing on Special Recruitment of Those who Graduated Pol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 박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87-193
    • /
    • 2013
  • 경찰의 집행수단이 대부분 경찰공무원이라는 인적자원수단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적격자의 채용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적격자의 선발에 있어 모든 경찰공무원을 공개채용에 의해 모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더욱이 오늘날 사회가 복잡다단해 짐에 따라 특별채용제도의 활용이 더욱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 경찰활동의 전문성 또한 매우 중요한 자질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현대경찰이 지역사회경찰활동과 같은 패러다임을 지향함에 따라 경찰인적자원의 경찰활동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시점에서 경찰행정학과 특별채용은 경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찰행정학과 출신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입직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의 개선방안은 첫째, 순경공개채용과 특별채용의 시험 일자를 조정함으로써 기회의 제한을 해소하였다. 둘째로, 시험과목의 편성상 선택과목의 추가편성을 통하여 시험과목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찰행정학과 출신 특별채용 모집인원수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인식차이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Difference of Maritime Polices' Organization Culture)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1-517
    • /
    • 2013
  • 해양경찰조직을 지배하는 각종의 조직문화들은 이를 인식하는 해양경찰관이 조직구성원으로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나아가 해양경찰활동의 역할과 치안활동을 결정지을 수가 있다. 이에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전반적인 주류를 형성하는 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고,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향유하고 공감하는 조직의 하위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다. 이러한 해양경찰조직문화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가 있는바 일반적인 조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집단문화(Group Culture), 위계문화(Hierarchy Culture), 발전문화(Development Culture), 합리문화(Rational Culture)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해양경찰관들의 일반적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서 20대 연령층의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급에 따라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에 있어서는 경장 계급,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의 경우 경감 계급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직경로별 조직문화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집단문화에서만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특별채용으로 입직한 해양경찰공무원의 집단문화 경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inuance among Police Officers)

  • 김찬선;박영만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63-72
    • /
    • 2014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수도권소재(서울) 경찰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judgm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187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피드백은 증대되며, 위계적 문화, 합리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은 높다. 또한,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자율성은 높다. 둘째, 경찰공무원들의 조직문화는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 되는 반면 고의적불성실은 감소한다. 또한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위기지각 행동은 증가한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은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피드백과 직무중요성이 부각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또한 피드백 기능이 부각되면 위축요인을 감소한다. 직무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고의적불성실을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안기대는 증가하며, 직무중요성, 자율성,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위기지각은 증대된다.

Educational Interventio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o Modify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lice Officers in Iran: A Quasi-experimental Study

  • Saffari, Mohsen;Sanaeinasab, Hormoz;Jafarzadeh, Hassan;Sepandi, Mojtaba;O'Garo, Keisha-Gaye N.;Koenig, Harold G.;Pakpour, Amir 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4호
    • /
    • pp.275-284
    • /
    • 2020
  • Objectives: Police officers may be at a greate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than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ir highstress occupation. This study evaluated how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may protect police officers from developing CVD. Methods: In this single-group experimental study, 58 police officers in Iran participated in a 5-week intervention based on HBM principles. Outcomes included changes in scores on an HBM scale, time spent on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body mass index (BMI), blood lipid profile,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5 HBM-based educational sessions. Follow-up was conducted at 3 months post-intervention.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aseline and follow-up scores. Results: All aspects of the HBM scale improved between baseline and follow-up (p<0.05), except the cues to action subscal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behaviors improved the most. BMI decreased from 26.7±2.9 kg/㎡ at baseline to 25.8±2.4 kg/㎡ at follow-up. All components of the lipid profile, including triglycerides,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post-intervention.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also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Nearly 25% of participants who were not physically active at baseline increased their physical activity above or beyond the healthy threshold. Conclusions: A relatively brief educational intervention based on HBM principles l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VD risk factors among police offic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rrobor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intervention.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Format on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raumatic Cas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 양경미;오창홍;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16-1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경찰관서 4개소에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총 297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 4단계를 거쳐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외상성 사건 경험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발현 사이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 제주지역 경찰관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upervisory Quality and Attitude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 Jang, Cheoly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68-7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upervisory quality and attitude,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As a result of analysis of 185 police offic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life conflict, the ones between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organizational justice, work-lif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ll of them reached the significance levels, no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y qualityand attitude work-life conflict. Thus, the results for the interaction have shown,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and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life conflict have negative influences on work-life conflict respectively, and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conflict, organizational justice conflict, work-life conflict ha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i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The Sobel-test showed that the Sobel-test statistic of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 but not i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conflict 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y qualities and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work-life conflic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improve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organizational context with an open-oriented- system and culture for employee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nd equality and fairnes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It is also noted that work-life harmony for employees may be incompatible with the supervisor's perception of the work-oriented or prioritized-way in hierarchical organizations like police agencies.

Associations of Depressive Symptoms and Brachial Artery Reactivity among Police Officers

  • Violanti, John M.;Charles, Luenda E.;Gu, Ja K.;Burchfiel, Cecil M.;Andrew, Michael E.;Joseph, Parveen N.;Dorn, Joan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1호
    • /
    • pp.27-36
    • /
    • 2013
  • Objectives: Mental health has been shown to be linked with certain underlying physiological mechanisms. The objective of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brachial artery reactivity (BAR) in an understudied population: police offic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351 police officers who were clinically examined in the Buffalo Cardio-Metabolic Police Stress (BCOPS) study. BAR was performed using standard B-Mode ultrasound procedures.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Mean valu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line and maximum diameters of the brachial artery were determined across three categories of CES-D score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p-values for linear trends were obtained from linear regression models. Results: The mean age (${\pm}$ standard deviation) of all officers was $40.9{\pm}7.2$ years. Women had a slightly higher mean CES-D score than men ($8.9{\pm}8.9$ vs. $7.4{\pm}6.4$) and a slightly higher percentage increase of BAR than men (6.90 vs. 5.26%). Smoking status significantly modified th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BAR. Among current smokers, mean absolute values of BAR significantly decreased as depressive symptoms increased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race/ethnic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the multivariate-adjusted p-values were 0.033 (absolute) and 0.040 (%).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BA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former smokers or never smokers. Conclusion: Depressive symptom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BAR among police officers who were current smokers and together may be considered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police officers. Further prospective research is warranted.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음주 및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Burnout o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among Police Officers)

  • 신성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220
    • /
    • 2008
  • 우리나라의 흡연 및 음주실태를 살펴보면 흡연의 경우 1999년에 비해 2003년 흡연인구가 35.1%에서 29.2%로 감소하였고, 흡연량에서도 감소추세를 보이나, 음주의 경우는 1999년과 2003년 사이 전체 음주 인구비율에서는 각각 64.6%와 64.3%로 큰 변화가 없지만 여성의 음주인구 비율이 47.6%에서 49%로 증가하였고 음주인구 중 주 1회 이상의 자주 마시는 음주인구 비율이 28.8%에서 43.6%로 상당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음주로 인한 폐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음주 및 흡연행위가 경찰공무원 사이에서는 얼마나 만연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파악하고, 음주 및 흡연행위의 선행 요인으로 간주되는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인 심리적 탈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이 임파워먼트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Learning on Empowerment Components)

  • 김평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109-135
    • /
    • 2013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이 경찰조직 극대화 방안으로서 임파워먼트 구성요인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 연구이다. 이러한 본 연구를 위해 2013년 7월 14일~8월 15일까지 1달간 광주지방경찰청 소속으로 재직중인 경찰관172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광주광역시를 특정지역으로 한 이유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조직적 환경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함이다. 표본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rendom sampling method) 그리고 설문조사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을 실시하여 총 163(95.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Pearson's 상관관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 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학습 및 임파워먼트에서 차이가 있을것이다" 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조직학습은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