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sonous mushroom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8초

Four New Species of Amanita in Inje County, Korea

  • Cho, Hae Jin;Park, Myung Soo;Lee, Hyun;Oh, Seung-Yoon;Jang, Yeongseon;Fong, Jonathan J.;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08-414
    • /
    • 2015
  • Amanita (Agaricales, Basidiomycota)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genera composed of poisonous mushrooms. This genus of almost 500 species is distributed worldwide. Approximately 240 macrofungi were collected through an ongoing survey of indigenous fungi of Mt. Jeombong in Inje County, Korea in 2014. Among these specimens, 25 were identified as members of Amanita using macroscopic features.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y microscopic features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large subunit of nuclear ribosomal RNA. We molecularly identified 13 Amanita species, with seven species matching previously recorded species, four species (A. caesareoides, A. griseoturcosa, A. imazekii, and A. sepiacea) new to Korea, and two unknown species.

컨볼루션 신경망과 전이 학습을 이용한 버섯 영상 인식 (Mushroom Image Recogni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Transfer Learning)

  • 강은철;한영태;오일석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3-57
    • /
    • 2018
  • 독버섯 중독 사건이 종종 발생한다. 본 논문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버섯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컨볼루션 신경망을 사용하였다. 컨볼루션 신경망을 학습하기 위해 이미지 크롤링을 이용하여 38종의 버섯에 대해 1478장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셋을 가지고 AlexNet, VGGNet, GoogLeNet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클래스 수 확장에 따른 비교 실험, 전이 학습을 사용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1순위 정확도는 82.63%, 5순위 정확도는 96.84%라는 성능을 얻었다.

Effects of Poisonous Mushroom Extracts on the Microsomal $^{45}Ca^{2+}$ Uptake and Release in Porcine Epithelial Cells

  • Cho, Kyoung-Soo;Hwang, Young-Soo;Kim, Young-Kee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6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9-39
    • /
    • 1996
  • Extracts were prepared from six different poisonous mushrooms in order to identify biologically active natural ligands. The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examined on the microsomal $^{45}$ Ca$^{2+}$ uptake and $^{45}$ Ca$^{2+}$ release. Five out of six species apparently inhibited the activity of total microsomal ATPases prepared from the epithelial cells of pig airway. (omitted)ted)

  • PDF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의 자원이용적 특성에 따른 발생 (Occurrence according to Resour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김종영;장석기;김미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0-283
    • /
    • 2017
  • 내장산 국립공원을 2004년~2011년 및 2013년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문 7강 21목 74과 229속521종이 조사되었으며, 이중 주름버섯목(Agaricales) 24과 99속260종, 그물버섯목(Boletales) 10과 30속 59종, 무당버섯목(Russulales) 5과 8속 53종 및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5과 33속48종 등 4목이 전체 종수의 80.6%(420종)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은 그물버섯과와 무당버섯과로 44종이었으며, 주름버섯과(35종), 구멍장이버섯과(29종) 및 광대버섯과(27종)의 순으로 출현 종의 수가 많았다. 이를 다시 서식환경별로 세분해 보면, 외생균근성버섯은 21과 44속192종(36.9%)이 분류되었는데 이중 독성 버섯 63종, 식 약용 버섯 79종, 식 독 불명 버섯 43종이었고, 목재 및 낙엽부후균은 41과 118속 199종(38.2%)으로 이중 독성 버섯 14종, 식 약용 버섯 85종, 식 독 불명 버섯 90종이었으며, 지상균은 29과 66속121종(23.2%)으로 독성 버섯 8종, 식 약용 버섯 54종, 식 독 불명 버섯 47종 등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9종은 위의 그룹에 해당되지 않는 서식처를 갖고 있었다. 대부분의 독성 버섯, 식 약용 버섯 및 식 독 불명 버섯은 7월~9월 사이에 집중하였고, 해발고도에서는 200~299 m인 지역에서 발생이 매우 높았으며 700 m이상 지역에서는 발생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환경 요인별에서는 평균기온 $25.0{\sim}28.9^{\circ}C$(최고기온 $30.0{\sim}33.9^{\circ}C$, 최저기온 $21.0{\sim}24.9^{\circ}C$), 상대습도 73.0~80.9% 및 강수량 400.0 mm 이상일 때 대부분의 버섯류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제주 야생버섯의 종류와 분포 (Species and Distribution of Native Wild Mushrooms Traditionally using in Jeju Island)

  • 고평열;이승학;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9-43
    • /
    • 2012
  • 독특한 자연환경과 다양한 생물상을 지닌 제주도에서 지역민들에게 이용되어 왔던 자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 지역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주와 서귀포시 내에 있는 7개 읍과 4개의 면을 대상으로 총 50개의 마을을 조사하였으며 50~90대 사이의 노인들 93명을 방문하여 녹취하고 야장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서 이용되어온 야생버섯은 모두 23종으로 나타났고, 그 중 독버섯은 2종, 약용버섯은 7종, 민속신앙에 이용되었던 버섯이 2종, 이용되지는 않았으나 관심 대상이었던 버섯이 2종, 그리고 식용버섯은 12종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야생버섯을 이용하는 전통지식으로 267건의 전통지식이 수집되었다. 그 중 식용버섯은 12종에서 197건의 전통지식이 수집되었고, 독버섯에 2종에서 43건이 수집 되었으며, 약용버섯에 대한 정보는 7종에서 16건의 전통지식이 조사되었다. 특이한 점은 동물의 분변이나 퇴비에 발생하는 Cyathus stercoreus을 이용하여 포자괴(spore mass)의 방출 상태를 보고 농사의 길흉을 점쳐왔다는 점이었다. 이는 제주지방만의 독특한 전통지식으로 추정된다.

중부지방에서 자생하는 유용 야생 버섯의 분류 및 동정 (A Study of Useful Wild Mushrooms by Segregation and Identification Native in Middle Area)

  • 노재관;박재성;최재선;송인규;윤태;민경범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9-56
    • /
    • 2009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충북지역 주요 버섯 자생지를 중심으로 채집을 실시하여 이들을 분류 동정하고, 이들 균주를 보존하여 버섯 유전자원 확보 및 자원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한 것으로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야생버섯 채집균주는 총 79종으로 식용 32종, 약용 3종, 독 15종, 기타(불명) 29종 이었다. 나. 채집된 야생버섯 중 식용 28종에 대한 조직분리를 실시하였고 이중 활력이 좋은 15종의 야생균주를 선발하여 현재 저온보관중이다. 다. 표본제작은 액침표본이 많았으며, 다년생 버섯은 건조표본으로 보관하였고, 자연상태의 자생지에서 채집 균주 79종을 모두 촬영하였다.

  • PDF

The principles of posionous mushrooms, their unexpected utilitie

  • Shirahama, Hirushisa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100-104
    • /
    • 2000
  • Lampteromyces japonicus is the most popular source of mushroom poisoning in Japan. We isolated poisonous substance, illudin S, 40 years ago, which shower strong anti-tumoric activity. Its analogs are now the most hopeful anti-cancer agent. Clitocybe acromelalgia gives unique poisoning which exhibits symptoms similar to acromelalgia and erythromelalgia. We intended to isolate the toxin causing these poisoning but neuroexciatory compounds, acromelic acids A and B, were isolated. They are now known as the most potent glutamate agonists and good reagents for the study of the glutamate receptor of a neurocell.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 지역에서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 지식 (Traditional Knowledge on Wild Mushrooms in the Surrounding Village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고평열;강신호;송관필;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31
    • /
    • 2013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경남지역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53개 마을에서 50~90대까지 145명 주민들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총 19개 야생버섯이 식용버섯으로 사용되었는데 싸리버섯이 식용버섯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었고, 큰갓버섯과 표고 순위로 식용하였다. 표고는 식 약용버섯으로 유일하게 사용되었다. 독흰갈대버섯은 독버섯인데 곤충퇴치용 버섯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다양한 버섯이 증언된 지역은 거제시 일운면으로 10종에 이르는 버섯의 전통지식이 확인되었고, 하동군의 진교면에서 8종이 출현하였다. 전통 지식에 대해 조사에 응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증언하였고 연령층은 70~80대가 가장 많았다.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α-Amanitin and β-Amanitin in Mouse Plasma Using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 Bang, Young Yoon;Lee, Min Seo;Lim, Chang Ho;Lee, Hye Suk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2권3호
    • /
    • pp.112-117
    • /
    • 2021
  • α-Amanitin and β-amanitin are highly toxic bicyclic octapeptides responsible for the poisoning of poisonous mushrooms such as Amanita, Galerina, and Lepiota by inhibiting RNA polymerase II, DNA transcription, and protein synthesis. A sensitive, simple, and selective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ic method using parallel reaction monitoring mod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α- and β-amanitin in mouse plasma to evaluate the toxicokinetics of α- and β-amanitin in mice. Protein precipitation of 5 μL mouse plasma sample with methanol as sample clean-up procedure and use of negative electrospray ionization resulted in better sensitivity and less matrix effect. The calibration curves for α- and β-amanitin in mouse plasma were linear over the range of 0.5-500 ng/mL. The intra- and inter-day coefficient of variations and accuracies for α- and β-amanitin at four quality control concentrations were 3.1-14.6% and 92.5-115.0%, respectively. The present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toxicokinetic study of α- and β-amanitin after an oral administration of α- and β-amanitin at 1.5 mg/kg dose to male ICR mice.

An Elderly Man with Fatal Respiratory Failure after Eating a Poisonous Mushroom Podostroma cornu-damae

  • Jang, Juah;Kim, Cheol-Hong;Yoo, Jun Jae;Kim, Mi Kang;Lee, Jae Eun;Lim, Ah Leum;Choi, Jeong-Hee;Hyun, In Gyu;Shim, Jung Weon;Shin, Ho-Seung;Han, Joungho;Seok, Soon J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6호
    • /
    • pp.264-268
    • /
    • 2013
  • A 73-year-old, previously healthy man presented with nausea, vomiting, diarrhea, dry mouth and febrile sensation 3 hours after eating boiled wild mushrooms. After admission, he showed progressive severe respiratory distress, pancytopenia, azotemia, hypotension, hypoxemia and consolidation of the entire left lung on chest radiography. With a preliminary diagnosis of necrotizing pneumonia, he underwent left pneumonectomy in order to remove all necrotic lung tissue. Lung histology showed extensive hemorrhagic necrosis, massiv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prominent proliferation of young fibroblasts and the formation of an early-stage hyaline membrane along the alveolar wall. Despite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mechanical ventilatio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administration of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and broad spectrum antibiotics, he died on hospitalization day 13. Subsequently, the mushroom was identified as Podostroma cornu-damae. This is the first case of a histological evidence of lung involvement by Podostroma cornu-damae poison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