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d and seed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7초

페튜니아 일대 잡종에서 발아, 개화 및 종자 등숙소요일수 관련형질의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 (Correlation and Combining Ability of Days to Germination, Flowering and Ripening in F1 Hybrids of Petunia hybrida)

  • 송천영;박상철;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94-101
    • /
    • 2001
  • 페튜니아 6개 계통을 이면교배한 F1 15개 조합 및 양친에 대한 발아율, 발아소요일수, 개화소요일수, 등숙소요일수 및 협당 종자수 등의 형질에 대하여 상호 관계 및 조합능력을 분석하였다. 개화소요일수와 발아소요일수 및 협당 종자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들 형질과 발아율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종자 등숙소요일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협당 종자수는 발아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합능력의 분산은 일반조합능력이나 특수조합능력 모두 5가지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형질의 유전에는 상가적 유전 작용과 비상가적 유전 작용이 모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본의 일반 조합능력에서, 발아소요일수 및 개화소요일수 감소를 의해서는 A와 C계통에서, 발아율 증가 및 협당 종자수 증가를 위해서는 C와 G계통에서 각각 일반조합능력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개화소요일수 및 발아소요일수가 짧고, 발아율 및 협당 종자수의 특수조합능력효과가 높았던 조합은 D×G 및 E×F 조합이었고, 개화소요일수 및 발아소요일수가 길면서, 발아율 및 협당 종자수의 특수조합능력효과가 높았던 조합은 C×F로 나타났다. 유전력은 5가지 형질 모두 광의의 유전력이 크게 나타났고, 등숙소요일수 및 협당 종자수는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Plant Types and Cultivars on Pod Yield in Late Seeding Peanut

  • Pae, Suk-Bok;Kim, Jung-Tae;Shim, Kang-Bo;Hwang, Chung-Dong;Chung, Chan-Sik;Lee, Myung-Hee;Park, Keum-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5-59
    • /
    • 2007
  •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suitable plant-type and cultivars for producing fresh pod peanut from late seeding as succeeding crop, compared with early seeding as proceeding crop or single cropping. 12 cultivars according to grain weight and plant types, 6 virginia typed cultivars(ssp. hypogaea) and 6 shinpung typed cultivars(ssp. fastigiata), were used for early and late seedings. The plant growth and yield potential in early seeding were better than those in late seeding. But the ratios of dry/fresh pod and of mature pod in late seed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early seeding. The yield of fresh pod by cultivars in two seeding tim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d scale such as fresh pod weight, 100-grain weight, and dry seed yield positively, but pod number negatively in early seeding only. Yield of fresh peanut between Virginia and Shinpung type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ly seeding, but showed in late seeding. Average yield of Virginia typed cultiva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hinpung typed ones. This yield gap between two plant types was the same tendency on extending seedings to July 20.

Genetic Analysis of Pod Dehiscence in Soybean

  • Kang Sung Taeg;Kim Hyeun Kyeung;Baek In Youl;Chung Moung Gun;Han Won Young;Shin Doo Chull;Lee Suk-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1-285
    • /
    • 2005
  • Pod dehiscence (PD), defined as the opening of pods along both the dorsal and ventral sutures, causes the seed to shatter in the field before harvesting and results in loss of seed yields. However, breeding for resistance to PD is difficult due to the complicated genetic behavior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analyze the genetic behavior of PD for improving the breeding efficiency of resistance to PD in soybean. PD after oven-drying the sampled pod at $40^{\circ}C$ for 24 hours was the most reliable to predict the degree of PD tested in the field. Keunolkong, a dehiscent parent, was crossed with non-dehiscent parents, Sinpaldalkong and Iksan 10. Using their $F_1\;and\;F_2$ seeds, PD was measured after oven drying the pod at $40^{\circ}C$ for 24 hours. The gene conferring PD behaved in different manners depending on the genetic populations. In the Keunolkong$\times$Sinpaldalkong population, PD seemed to be governed by single major recessive gene and minor genes, while several genes were probably involved in the resistance to pod dehiscence in the Keunolkong$\times$Iksan 10 population. Heritability for PD estimated in F2 population showed over $90\%$ in the two populations. High heritability of PD indicated that selection for resistance to PD should be effective in a breeding program. In addition, genetic mapping of quantitative locus (QTL) for PD in both populations may reveal that genes conferring PD are population-specific.

Influence of Fungicidal Spray on Powdery Mildew Epidemics and Major Yield-Attributing Characters of Mungbean

  • Saxen, Deep-Ratna;Moly Saxen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68-73
    • /
    • 2002
  • The influence of fungicidal spray was assessed on powdery mildew epidemics caused by Erysiphe polygoni D.C. and on yield-attributing characters of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Mildew attack adversely affected the yield-attributing characters of mungbean and exhibited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d length (-0.57), pods/plant (-0.74), pod weight (-0.68), 100 seeds weight (-0.69), 100 seeds swell weight (-0.59), and seed germination (-0.71). These characters ha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grain yield, which was also adversely affected due to mildew attack (-0.89). Powdery mildew was significantly retarded due to the single spray of carbendazim (0.05%) at 30-day-old crop, where the apparent rate of infection (r) was minimum at 0.0095/ unit/day and with low (11.44%) powdery mildew intensity. Other fungicides like tridemorph (0.075%) and penconazole (0.05%) were equally effective against the mildew disease where the disease intensity was less than 20% and the values of r were 0.0134 and 0.039/unit/day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0.267/unit/day. Fungicide spray influenced the yield-attributing characters besides controlling the disease. Such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in carbendazim (0.05%)-treated plots due to its phytotonic nature where pod length (7.59cm), pods/plant (29.75), pod weight (8.16 g), 100 grain weight (3.94 g), and swell weight of 100 seed (9.49 g) were maximum resulting to the highest yield (480 kg/ha)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224 kg/ha). Spray of carbendazim also improved seed germination (74.5%). Spray of other fungicides like carbendazim with copper oxychloride in 1:1 ratio, tridemorph (0.075%), and penconazole (0.05%) was equally effective against powdery mildew of mungbean. These fungicides also exhibited positive effects on yield-attributing characters of the crop and finally increased yield. These systemic fungicides were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powdery mildew disease of V. radiata in the rainy season compared with wettable sulphur.

대두 녹병에 대한 내병성 및 이병성 품종의 생리적 반응 (Studies on Physiological Reactions of Soybean Cultivars Tolerant and Susceptible to Rust (Phskopsora pachyrhizi Syd.))

  • 신두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0-446
    • /
    • 1986
  • 열대 및 아열대지역의 대두재배에서 수량을 격감시키고 있는 콩녹병에 대한 내병성품종과 이병성품종을 공시하여, 본 병해의 진전과정과 생리적 및 수량관련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마음과 같다. 1. 이병성품종은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병의 조기감염 및 진전이 빨랐으며, 녹병에 의한 낙엽은 콩 꼬투리가 반정도 등숙된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2. LAI의 감소는 이병성품종이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빨랐으며, 건전개체와 녹병 이병개체간의 엽녹소함양의 차리는 내병성품종에서 2.04%, 이병성품종에서 16.43%의 차이가 있었다. 3. 지상부 건물중은 녹병무발병구(살균제 처리구)에서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녹병발병구에서는 R$_{6}$ 생육단계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감소정도는 이병성품종이 내병성품종에 비하여 더 컸다. 4. 협과 종실의 건물중은 이병성품종의 녹병무발병구에서는 R$_{6}$생육단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녹병발병구에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내병성품종에서는 녹병의 영향을 적게 받아 녹병발병구에서 계속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5. 녹병은 불완전립과 빈 꼬투리 수를 증가시키고, 종실의 Oil 함양 및 길이, 폭, 두께를 감소시키며, 협수, 입수, 백립중을 감소시켜 수량을 격감시키지만 단백질 함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수량에 대한 녹병의 영향은 내병성품종에서 22.3%, 이병성품종에서 68.7%의 수양감소가 있었다.

  • PDF

땅콩 낙협 정도의 품종간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Pod Shedding)

  • 진일두;김규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2-539
    • /
    • 1991
  • 땅콩의 낙협 저항성 유전 자원을 발굴하여 재배 및 육종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장려 품종 7종을 포함한 Virginia type 94품종, Spanish type 99품종 및 Valencia type 18품종등 합계 218품종을 공시하여 파종 후 개화까지의 소요 일수, 주당 성숙 협과수, 종실 100립중, 낙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및 포장 낙협률등 주요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낙협 저항성의 요인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개화까지의 소요 일수는 Spanish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이 Virginia type의 품종들에 비해 짧은 편이었으며,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은 비교적 짧은 편에 속하였다. 2. 주당 성숙 협과수는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Virginia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에 비해 많은 편이었으며,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은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하였다. 3. 종실 100입중은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이 소입중인 Spanish type 및 Valencia type의 품종들은 물론, 같은 대립중인 Virginia type의 품종들보다도 무거운 편이었다 4. 협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는 품종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강한 편이었고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과 Virginia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약한 편이었는데, 포장 낙협률은 우리나라 장려 품종들과 Virginia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Spanish type의 품종들이 비교적 낮은 편이있다. 5. 파종 후 개화가지의 소요 일수, 주당 성숙 협과수, 종실 100입중, 협화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및 포장 낙협률 사이에는 각각 높은 산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포장 낙협률은 협과와 자방병 사이의 인장강도, 주당 성숙 협과수 및 종실 100입중 등 여러가지 요인들의 복합 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형질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올콩의 등숙단계별 종실 수분함량 및 품질 변화 (Changes of Seed Moisture Content and Quality during Grain-filling in Early Maturing Soybean Genotypes)

  • 박금룡;류용환;최경진;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0-425
    • /
    • 1994
  • 올콩의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변화를 밝히고자, 대립종인 Yuhsuzumi와 소립종인 담양재내를 공시하여 수확시기별 종실의 수분함량, 입색, 발아율,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협과 종실의 수분함량은 R7단계 전후까지는 협의 수분함량이 뚜렷이 높았으나, R8단계 이후에는 종실의 수분함량이 협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종실의 수분함량이 14%(종실 수분함량으로 본 수확적기) 내외가 되는 시점은 Yuhsuzumi에서는 생리적 성숙기(R7단계)로부터 24일, 담양재내는 8일이 소요되었다. 2. R8단계(고유 성숙협색기)에서 종실의 수분함량은 대립종인 Yuhsuzumi는 25.3%, 소립종인 담양재내는 14.5%를 나타내어 R8단계에 수확시 Yuhsuzumi는 철저한 건조과정이 필요하였다. 3. 수확기 지연에 의하여 Yuhsuzumi는 청색의 종실이 황변하고 입질이 저하되어 발아력이 낮아졌으나, 담양재내는 입질과 발아력의 차이가 없었다. 4. 수확기 지연에 의하여 Yuhsuzumi는 지방산 함량이 낮아졌고,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Lino-lenic 산은 낮아지고 Oleic산은 증가되었다.

  • PDF

콩의 엽-협 비율 조절에 따른 탄소와 질소의 전류 (Carbon-Nitrogen Transport in Response to Control of Leaf-Pod Ratio in Soybean)

  • 성락춘;강병화;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4-601
    • /
    • 1994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50%와 하부 50%로 구분하여 엽제거 및 엽-협제거처리 하여 줄기, 엽 및 종실건물중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1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 농장에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 모두 건물축적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처리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평균 줄기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로 높았고 상엽제거와 하엽제거는 낮았다. 3. 엽건물중은 처리중에서 상부엽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4. 종실수와 종실건물중은 엽 및 엽-협제거로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와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높았다. 5. 가용성 당과 전분함량도 처리중에서 하부종실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단백질함량은 상엽제거의 상부와 하엽제거의 하부에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의 상부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 PDF

Identification of SNPs tightly linked to the QTL for pod shattering in soybean[Glycine max (L.) Merr.]

  • Kim, Kyung-Ryun;Kim, Kyung Hye;Go, Hong Min;Lee, Ju Seok;Moon, Jung-Kyung;Ha, Bo-Keun;Jeong, Soon-Chun;Kim, Namshin;Kang, Sungtae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46-146
    • /
    • 2017
  • The pod shattering or dehiscence is essential for the propagation of pod-bearing plant species in the wild, but it causes significant yield losses during harvest of domesticated crop plants. Identifying novel molecular makers, which are linked to seed-shattering genes, is needed to employ the molecular marker-assisted selection for efficiently developing shattering-resistant soybean varieties. In this study, a genetic linkage map was constructed using 115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veloped from crosses between the pod shattering susceptible variety, Keunol, and resistant variety, Sinpaldal. A 180 K Axiom(R) SoyaSNPs data and pod shattering data from two environments in 2001 and 2015 were us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pod shattering. A major QTL was identified between two flank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AX-90320801 and AX-90306327 on chromosome 16 with 1.3 cM interval, 857 kb of physical range. In sequence, genotype distribu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treme phenotype RILs. This could narrow down the QTL down to 153 kb on the physical map and was designated as qPDH1-KS with 6 annotated gene models. All exons within qPDH1-KS were sequenced and the 6 polymorphic SNPs affecting the amino acid sequence were identified. To develop universally available molecular markers, 38 Korean soybea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by the association study using the 6 identified SNPs. Only two SNPs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pod shattering. These two identified SNPs will help to identify the pod shattering responsible gene and to develop pod shattering-resistant soybean plants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 PDF

조생종 콩의 Phomopsis 종자부패에 대한 베노밀 처리효과 (Effects of Benomyl Application on Phomopsis Seed Decay of Early Soybeans)

  • 이충식;박은우;김홍식;김석동;홍은희;고문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2-227
    • /
    • 1994
  • Effects of field applications of benomyl on Phomopsis seed decay of early soybeans were investigated at Suwon in 1992 and 1993. Pod and immature seed infections were markedly suppressed by benomyl application at the R6 stage whereas the spray at the R7 stage was not as effective as the spray at R6. When compared with unsprayed plots, benomyl spray at R6 resulted in decrease in Phomopsis seed infection by 37.1% and 73.9%, and increased in frequency of seed germination by 1.8% and 8.0% in 1992 and 1993,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one spray at early R6 could effectively reduce seed infection by Phomopsis spp.and could be adopted in a disease management program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healthy soybean see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