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eumococci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Utilization of Putrescine by Streptococcus pneumoniae During Growth in Choline-limited Medium

  • Ware D.;Watt J.;Swiatlo 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5호
    • /
    • pp.398-405
    • /
    • 2005
  • Polyamines such as putrescine are small, ubiquitous polycationic molecules that are required for optimal growth of eukaryotic and prokaryotic cells. These molecules have diverse effects on cell physiology and their intracellular content is regulated by de novo synthesis and uptake from the environment. The studies presented here examined the structure of a putative polyamine transporter (Pot) operon in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and growth of pneumococci in medium containing putrescine substituted for choline. RT-PCR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four genes encoding the Pot system are co-transcribed with murB, a gene involved in an intermediary step of peptidoglycan synthesis. Pneumococci grown in chemically-defined media (CDM) containing putrescine without choline enter logarithmic phase growth after 36-48 hs. However, culture density at stationary phase eventually reaches that of choline-containing medium. Cells grown in CDM-putrescine formed abnormally elongated chains in which the daughter cells failed to separate and the choline-binding protein PspA was no longer cell-associated. Experiments with CDM containing radiolabeled putrescine demonstrated that pneumococci concentrate this polyamine in cell walls. These data suggest that pneumococci can replicate without choline if putrescine is available and this polyamine may substitute for aminoalcohols in the cell wall teichoic acids.

다중구슬 폐구균 혈청형 분석법의 국내 확립과 적용 연구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 Multibead Serotyping Assay for Pneumococci in Korea)

  • 김한울;이소영;이미애;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2호
    • /
    • pp.97-105
    • /
    • 2015
  • 목적: 폐구균의 혈청형 분석은 백신의 효능을 평가하고 감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폐구균의 혈청형 분석이 힘들기 때문에 최근 라텍스 구슬과 흐름세포측정기를 이용한 다중구슬 혈청형 분석법이 소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혈청형 분석법을 이화백신연구센터에서 구축하고 실제 임상 검체들에 적용해보았다. 방법: 라텍스 구슬 3종과 폐구균 피막다당 특이 단클론항체 1가지, 시동체 2종을 Univerisity of Alabama at Birmingham에서 제공 받았다. 이 시료들을 이용하여 단클론항체와 wzy 다중 PCR을 이용한 다중구슬 혈청형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75개의 혈청형이 알려져 있는 검체를 이용하여 이화백신효능연구센터에 확립된 다중구슬 혈청형 분석법의 정확도를 보았고 이를 토대로 528개의 임상 검체를 분석해 보았다. 결과: 다중구슬 혈청형 분석법은 이화백신효능연구센터에 안정적으로 확립되었다. 75종의 이미 혈청형이 알려져 있는 검체를 암호화하여 분석한 결과 전부 일치하여 정확도가 높음을 보여 주었고 실제 임상 검체에도 적용한 결과 94.3% (498/528)에서 혈청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다중구슬 분석법은 다수의 혈청형을 쉽고 빠르게 한번에 많은 수의 검체를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검사 방법으로 향후 임상적 진단과 역학연구 등의 폐구균의 혈청형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지역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 보균율과 항균제 내성 (Oropharyngeal Carriag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 pneumoniae in Children of Seoul)

  • 김영기;이창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18-224
    • /
    • 1997
  • 목 적 : 전 세계적으로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증가하고 있고, 우리 나라의 경우 그 어느 나라보다 급속한 폐구균 내성의 증가가 보고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도에 정착되어 있던 폐구균은 부비동염, 중이염, 수막염, 폐렴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저자들은 정상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의 보균율을 알아보고 이들의 항균제 내성양상과 DNA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4월 서울 한 유치원의 어린이 117명에서 구인강 점막을 면봉으로 도말하여 검체를 얻었다. 이들을 배양후 optochin검사와 capsule에 대한 다가항체를 이용하여 Latex 방법으로 폐구균을 동정하였고, 디스크확산법으로 페니실린, vancomycin, erythromycin, TMP-SMZ에 대한 감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폐구균에 대하여 액체배지 미량 희석법을 이용하여 페니실린의 MIC값을 구하였다. 또 분리된 폐구균들에 대하여 REP1R-Dt와 REP2-Dt primer를 사용한 rep-PCR법으로 DNA 분자 형별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서울지역의 유치원에서 폐구균 보유율은 38%(45/117)였고,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페니실린 내성 폐구균의 비율은 89%(40/45)였고, erythromycin은 91%, TMP/SMZ은 63%였고 vancomycin에는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그리고 페니실린에 고도 내성균주는 21예로 전체의 47%를 차지하였고 다제내성 폐구균은 64%였다. DNA 분자형은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중 3가지 유형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결 론 : 서울 지역의 건강한 유치원 어린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예상보다 훨씬 높았고, 이는 이들 어린이들이 빈번한 항균제 노출과 유치원의 밀집환경의 때문이라 추정된다.

  • PDF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의 효능 및 효과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children)

  • 이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235-241
    • /
    • 2006
  • Streptococus pneumoniae is an important cause of invasive infections as well as non-invasive infections such as acute otitis media and sinusitis both in children and adults. Resistance of S. pneumoniae to multiple antimicrobials is increasing and poses therapeutic challenges, and prevention became more important. 23-valent polysaccharide vaccine has been used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but is not effective in children <2 years of age, the highest risk group of invasive diseases. Recently, a 7-valent 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 vaccine(PCV) which is effectiv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been developed. The efficacy of PCVs agains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and pneumonia is well established and is documented in several well-conducted studies. However, the effect of PCVs on otitis media is less obvious and more complex. PCVs clearly reduce diseases caused by vaccine-type(VT) pneumococci, but replacement of VT serotypes by non-VT serotypes in nasopharyngeal carriage of S. pneumoniae is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in acute otitis media caused by non-VT serotypes. Three years after introduction of PCV in the US, some increase of invasive infections with serotype 19A possibly due to serotype switching within certain vaccine type strains has been noted. Since most antibiotic-resistance in S. pneumoniae is confined to VT serotypes, vaccine use also reduces antibiotic resistance. With development of PCV, there was a great advance in the prevention of pneumococcal diseases, but replacement with potential virulent organisms and development of antibiotic resistance in non-VT pneumococci is a possibility that needs careful monitoring.

Current Statu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 Chong, Yun-Sop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5_6호
    • /
    • pp.337-339
    • /
    • 2000
  • MRSA, erythromycin-resistant S. pyogenes, penicillin non-susceptible pneumococci, PPNG, ESBL-producing E. coli and K. pneumoniae, class C ${\beta}$-lactamase-producing E. coli, fluoroquinolone-resistant E. coli, aminoglycoside-resistant A. baumannii and P. aeruginosa are all prevalent in Korea, which suggest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antimicrobial selective pressure and nosocomial spread of resistant bacteria. Rapid increase of VRE and emergence of fluoroquinolone-resistant gonococci and VIM-2 metallo-${\beta}$-lactamase-producing P. aeruginosa are recently observed new threats in Korea.

  • PDF

급성 중이염 및 급성 부비동염의 치료: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Management of Acute Otitis Media and Acute Sinusitis: Clinical Guidelines)

  • 조대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00-107
    • /
    • 2008
  • Acute otitis media and acute sinusitis are some of the most common antibiotic-prescribed diseases in childhood. Usually, with an accurate diagnosis, a 10-14 day course of antibiotics is recommended to cover common causative agents, including pneumococci. Establish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se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further study of the epidemiologic profile, antibiotic resistance, and clinical circumstances in Korea is needed.

  • PDF

국내 임상 분리주 Streptococcus pneumoniae KNIH1156으로부터 PspA 단백 항원의 정제 및 면역원성 확인 (The Purification and Immunogenicity of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PspA) from Invasive Streptococcus pneumoniae KNIH1156 Isolated in Korea)

  • 정경석;배송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8-44
    • /
    • 2002
  • 국내 분리 침습성 균주중선별된 S. pneumoniae KNIH1156 (type 19F)으로부터 페렴구균의 병원성 인자이며 항원학적으로 다양한 표면단백항원인 pneumococcal surface protein A (PspA)를 분리${\cdot}$정제하였다. 폐렴구균을 CDM-ET배지에서 배양하게 되면 배지내로 PspA가 방출된다는 점과 PspA가 인간의 lactoferr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CDM-ET 배지에서 S. pneumoniae KNIH1156 을 배양한 후 배양액을 농축하여 lactoferrinaffinity chromatography에 통과시켜 PspA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 후 anti-PspA antiserum으로 PspA를 확인하여 순수분리,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인간의 lactoferrin과의 결합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수하게 분리하여 정제된 PspA의 면역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CR mice에 욕강주사하였을 때 $LD_{50}$$1{\times}10^{7.5}$ CFU/ml께서 $1{\times}10^{10}$ CFU/ml로 약 500배 중가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S. pneumoniae KNIH1156 으로부터 분리${\cdot}$ 정제한 PspA가 면역원성과 방어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ole genome sequence analysis of Ligilactobacillus agilis C7 isolated from pig feces revealed three bacteriocin gene clusters

  • Jeong Min, Yoo;Remilyn M., Mendoza;In-Chan, Hwang;Dae-Kyung, K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1008-1011
    • /
    • 2022
  • We here report the whole genome sequence of Ligilactobacillus agilis C7 with anti-listerial activity, which was isolated from pig feces. The genome size of L. agilis C7 (~ 3.0 Mb) is relatively larger compared with other L. agilis strains. L. agilis C7 carries three bacteriocin gene clusters encoding garvicin Q, salivaricin A, and Blp family class II bacteriocin. Garvicin Q and salivaricin A are reported to be activ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nd Micrococcus luteus, respectively, as well as against other Gram-positive bacteria. Meanwhile, the bacteriocin encoded in the blp cassette was shown to be active against pneumococci, mediating intraspecies competition. This report highlights the potential of L. agilis C7 for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s inhibiting pathogenic bacteria.

폐구균의 질병양상 및 항균제 내성률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Antibiotic-resistant Rates and Clinical Features in Pneumococcal Infections)

  • 장광천;신경미;용동은;이경원;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1호
    • /
    • pp.81-86
    • /
    • 2003
  • 목 적 : 폐구균은 중이염, 폐렴등의 흔한 원인이며 패혈증 및 뇌수막염 등 중증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예방접종이 개발되어 우리나라에서도 곧 시행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구균에 의한 질병분포 및 내성률에 대한 변화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시행한 배양검사상 폐구균이 확인된 환아 306명을 대상으로 임상양상과 진단명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선천성 심질환이나 혈액종양질환을 앓고 있는 환아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월별 빈도와 연도별 내성률의 변화 및 연령에 따른 중증감염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검사 당시 연령은 2개월부터 15세까지의 분포를 보이며 평균연령은 7.9세이었고, 연령별로는 6세 미만이 7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2세 미만이 42%이었다. 남녀 비는 1.6 : 1이었다. 2) 월별 분포는 봄에 해당하는 3월과 4월이 42%로 높았고 여름에 해당하는 8월과 9월이 6%로 낮았다. 3) 질병별로는 폐렴 29.2%, 중이염 19.3%, 패혈증 17.6%, 뇌막염 9.5%순이었고,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4)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률은 1991년 65%에서 2000년에 84%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다제내성의 경우도 1991년 10%에서 2000년 78.3%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 론 : 6세 미만의 어린 소아에서 중증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의 하나인 폐구균은 점차 내성률 및 다제내성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전국적 조사가 필요하며, 이의 예방을 위해 폐구균의 예방접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