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um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1초

저온저장 자두를 이용한 자두 퓨레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ree Made with Plums Stored at Low Temperatures)

  • 박명빈;박사무엘;여채은;김건오;전익조;조영은;성지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91
    • /
    • 2021
  • The oriental plum (Prunus salicina) is one of the most popular fruits in Korea due to its sweet taste and pleasant arom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 puree made using plums stored at low-temperatur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estimating total soluble solids (TSS, °Brix), titratable acidity (TA, % citric acid), TSS/TA ratio, pH, colors, sugar content, and sensory profiles.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stimated b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um puree containing both the flesh and the peel had markedly higher red coloration (a⁎ value) than the puree without the peel, while yellow coloration (b⁎ value) and lightness (L⁎ value) were lower in the puree without the peel than with the peel. The sensory qualities including the plum taste and flavor, texture as well as overall acceptance showed no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 samples. Meanwhile, the total polyphenol/flavonoid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presence of fruit peel and by frozen stor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rozen plums could be a suitable ingredient for making a puree and concentrate for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새로운 잎벌류 해충, Monocellicampa pruni Wei (벌목, 잎벌과) 보고 (A New Sawfly Pest, Monocellicampa pruni Wei (Hymenoptera, Tenthredinidae) Attacking Fruitlets of Japanese Plum in South Korea)

  • 박비아;능엔남하이;이종욱;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29-333
    • /
    • 2019
  • 2018년과 2019년 봄철에 전남 광양의 일부 자두(Prunus salicina Lindl.) 과수원에서 어린 과실을 낙과시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새로운 해충을 채집하여 사육한 후 우화한 성충을 분류동정한 결과, 국내미기록종인 자두수염잎벌(신칭; Monocellicampa pruni Wei)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또한 이 해충의 피해 상황과 분류학적 특징을 기재함과 동시에 수컷생식기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Effect of Fat Substitute and Plum Extract on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in Freeze-dried Beef Patties

  • Kwon, Joong-Ho;Lee, Eun-Joo;Kausar, Tusneem;Ahn, Don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8-864
    • /
    • 2011
  • The effect of adding 10% fat substitute (10%F) or 2% plum extract (2%P) on the formation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2-ACBs) in freeze-dried beef patties, irradiated (IR) at 44 kGy, and freeze-dried irradiated cooked beef patties was investigated. Hydrocarbons, such as $C_{16:3}$, $C_{16:2}$, $C_{17:2}$ and $C_{17:1}$, were detect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order of 2%P+IR, IR and 10%F+IR. Only irradiated beef samples produced 2-ACBs (2-DCB, 2-TCB, 2-TeCB), and their amounts were high in reverse order. The addition of fat substitute or plum extract did not help in reducing hydrocarbons and 2-ACBs in the freeze-dried irradiated cooked beef. However, the amounts of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and 2-ACBs in all irradiated beef patties even at 44 kGy were too small to be of concern for human consumption.

자두 Anthocyanin의 구조확인(構造確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nthocyanins in Plum)

  • 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2호
    • /
    • pp.53-59
    • /
    • 1973
  • 우리나라 재배종(栽培種) Santa rosa자두 중(中)에 함유(含有)된 두가지 antocyanin 색소(色素)를 분리확인(分離確認)하였다. 자두로부터 0.5% HCl methanol로 색소(色素)를 추출(抽出)하여 Amberlite IRC-50 이온 교환수지(交換樹脂) column 으로 정제(精製)하고,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개별색소(個別色素)를 분리(分離)하였다. 두 색소(色素)는 다음과같은 실험(實驗)을 거쳐 얻은 결과(結果)들에 기초(基礎)하여 cyanidin-3-xyloglucoside 및 cyaniden-3-monoglucoside 임을 확인(確認)하였다. 여러 용매계(溶媒系)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의 Rf치(値), 부분산가수분해(部分酸加水分解), 결합당(結合糖)의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한 확인(確認), 결합당(結合糖)의 단계가수분해(段階加水分解), aglycone의 alkali분해(分解), 및 가시부(可視部) 흡수(吸收) spectra. 자두중(中)에 함유(含有)된 주색소(主色素)는 cyanidin-3-monoglucoside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RT-PCR assay and its positive clone for plant quarantine inspection of American plum line pattern virus in Korea

  • Da-Som Lee;Junghwa Lee;Seong-Jin Lee;Seungmo Lim;Jaeyong C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821-831
    • /
    • 2022
  • American plum line pattern virus (APLPV), a member of the genus Ilarvirus in the family Bromoviridae, is one of the plant quarantine pathogens in Korea. In this study, 15 candidate primer sets were designed and examined to develop 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for plant quarantine inspection of APLPV. Using APLPV-infected and healthy samples, the primer sets were assessed for APLPV detection.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nonspecific reactions, six ilarviruses (Apple mosaic virus, Asparagus virus 2, Blueberry shock virus, Prune dwarf virus,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and Tobacco streak virus) and 10 target plants (Prunus mume, P. yedoensis, P. persica, P. armeniaca, P. dulcis, P. tomentosa, P. avium, P. glandulosa, P. salicina, and P. cerasifera) were examined. Finally, two primer sets were selected. These primer sets could generate the expected amplicons even with at least 1 ng of the total RNA template in concentration-dependent amplifications. In addition, a positive clone was developed for use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abovementioned RT-PCR assay.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세포독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Cell Cytotoxicity of Korean Plum-yem Extract)

  • 조철희;유귀재;김소영;이건순;김진현;현정오;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2호
    • /
    • pp.45-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를 기능성 생물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개비자나무 추출물(Korean Plum-yem extract, KPE)의 항균활성,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및 독성을 확인하였고,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KPE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은 그램 양성균, 그램 음성균, 효모 및 사상균에 대하여 성장 저해현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그램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e가 KPE에 가장 민감하게 생육 저해현상을 보였고, 마찬가지로 그램 음성균인 Salmonella thyphimurim, Escherichia coli 순이었다. 그램 양성균이 그램 음성균에 비해 KPE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암 세포주를 이용한 KPE의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분석한 결과 80 ${\mu}g/mL$의 농도에서 현저한 암세포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KPE를 섭취하였을 때 유발되는 용혈율을 측정하여 KPE의 적혈구 막지질 붕괴의 유무를 조사한 결과, KPE 중 hemolysis를 일으키는 물질은 KPE의 유효성분인 HHT 외에 다른 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Ame's test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을 갖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비자나무 추출물은 항균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등 기능성을 갖는 천연물 소재로서 이를 응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청과물 (자두)의 품질 영양표시에 관한 연구 (Quality and Nutrition Labeling Study of Domestic Fruit (Plum))

  • 정준교;유연;김숙경;이혜련;최종욱;이상한;안홍;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69-674
    • /
    • 2006
  • 청과물의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북의성군 옥자두를 대상으로 품질 및 영양적 성분을 분석하고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확립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2%, 조단백 0.74%, 조지방 0.64%, 조섬유 1.65%, 조회분 0.32%, 무질소물 4.29%로 확인되었으며, 열량은 32kcal/100g 으로 계산되었다. 당도는 $10.33{\pm}0.85Brix^{\circ}$로, 산도는 $1.08{\pm}0.12%$로 나타났으며, 자두의 비타민 C 함량은 $7.037{\pm}0.317mg%$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황,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주요 유리당으로는 과당, 포도당, 자당로 나타났다. 유기산으로는 호박산, 사과산, 구연산이 확인되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 간에 현저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전과로는 $75.55{\pm}0.73mg%$의 함량을 보였다. 품질 표시에는 당과 산 함량, 영양 정보 표시에는 열량, 미네랄, 비타민 C, 총 페놀 성분이 표기된 자두의 품질 영양 표시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과수의 신종해충인 날개매미충 일종의 산란특성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Ricania sp.(Homoptera: Ricaniidae), a New Fruit Pest)

  • 최용석;황인수;강태주;임주락;최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7-372
    • /
    • 2011
  • 2010년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사과원과 예산군 덕산면 블루베리 과원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름 모를 날개매미충 일종은 대략 4-5년 전부터 과원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급속도로 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날개매미충이 발견된 식물은 26종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블루베리, 포도, 복숭아, 옻, 두릅, 대추, 키위, 복분자, 사과, 살구, 자두, 밤 이었다. 날개매미충의 산란은 주로 1년생 가지에서 이루어졌다. 사과와 자두의 1년생 가지에 산란된 난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8.7개와 15.3개였다. 또한 산란된 난괴의 평균길이는 각각 12.35 mm와 11.45 mm였다. 알의 평균크기는 길이가 1.2 mm 폭은 0.5 mm였다. 사과와 자두에 산란된 난괴내 알 간의 평균간격은 각각 1.3 mm와 1.5 mm로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한 난괴 길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7.1개와 13.3개로 차이를 보였다.

매실과 홍삼 부산물이 스트레스에 대한 육계 생체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lum and Red Ginseng Marc on Vital Reaction in Broiler Stress)

  • 봉미희;지상윤;박준철;문홍길;이상철;이준헌;홍준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23
    • /
    • 2011
  • 본 연구는 매실박과 홍삼박을 사료에 첨가하여 육계 체내 생리활성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고온 스트레스 자극과 LPS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고온 스트레스 자극에 따른 생산성 및 혈액생화학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LPS로 염증 반응이 유도된 육계에서 immunoglobulin 농도 및 비장 조직내 cytokine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공시계로는 1일령 Ross종 육계수컷 192수를 선별하여 고온 환경(96수)과 일반 환경(96수)으로 구분하였다. 고온 환경은 불쾌지수 86($33^{\circ}C$, 75%)의 고온 스트레스를 자극하여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일반 환경은 5주간의 사양 시험 종료 후 LPS를 주입하였다. 환경에 따라 각각 처리당 24수(3수${\times}$8반복)씩 4처리구에 총 96수를 임의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무첨가구(negative control; C), 시판 면역 증강제 첨가구(positive control: PC, 25 ppm ${\beta}$-glucan), 매실 부산물 1% 첨가구(PM: plum marc), 홍삼 부산물 3%(RGM: red gingeng marc)로 배치하였다.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혈액생화학 조성에서 매실박 첨가구는 Mg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Ca/Mg 비율을 무첨가구보다 낮게 유지하였으며, 홍삼박 첨가구는 Mg 농도가 무첨가구와 같았지만, Ca 농도를 높여 Ca/Mg 비율을 무첨가구보다 낮게 유지하였다(P<0.05). 따라서 매실박과 홍삼박 첨가구는 고온 환경에서 무첨가구보다 C a/Mg 비율을 낮게 유지하여, Ca/Mg 비율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는 cholesterol 수준을 낮추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LPS 접종 후 IgM 농도는 매실박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P<0.05), 홍삼박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비장 조직 내 cytokine mRNA 발현에서 홍삼박 첨가구의 경우 공통적으로 IL-1, IL-2 및 IL-6의 mRNA 발현 비율이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매실박 첨가구도 IL-1, IL-2에서 무첨가구와 베타글루칸 첨가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육계에서 매실박은 LPS 감염 시 IL-1, IL-2 같은 친염증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 염증 반응을 줄여 IgM 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박 첨가구의 경우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가 높았지만 항체 농도는 무첨가구와 같은 수준으로 상승하였는데, 생산성, 면역 반응을 개선할 수 있는 첨가 수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한 ${\beta}$-glucan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는데, 양성 대조군 활용 시 첨가 수준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매실박과 홍삼박은 고온 스트레스와 외부 병원성 물질 자극에 대한 반응을 최소화하는데 긍적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