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specie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남부 표고버섯 및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분포된 해충상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insect pest on the Mushroom (Lentinus edode, Pleurotus ostreatus) in south region of Korea.))

  • 김규진;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5-51
    • /
    • 1996
  • 생표고버섯을 가해하는 동물로 곤충 5종과 곤충이외의 동물 6종이 조사되었는데 이 중 회색톡톡이(Achon$\kappa$s armatus), 밑빠진버섯벌레(Scaphidium amurense), 민달팽이(Philomycus confusa)가 갓(자실체) 부분에 큰 피해를 주었고, 응애류(Rhizoglyphis spp., Histiostoma spp.)가 주름살 부분에 큰 피해를 주었다. 표고 버섯 골목해충으로 미숙골목에서 곤충 2종, 완숙골목에서 곤충 8종, 기타동물 1종이 조사되었는데 이 중, 미숙골목에서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와 완숙골목에서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흰 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등의 발생량이 높고 피해가 컸으며, 특히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는 미숙골목으로부터 完熟골목에 이르기까지 피해가 컸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해충으로서는 곤충류 6종과 기타동물 2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곤충류의 갈색버섯파리과(Lycoriella sp.), 혹파리과(씨Icophilla sp.)가 발생량이 많고 피해도 컸다.한편 느타리버섯 균상을 가해하는 해충으로서 곤충 2종과 기타동물 5종이 조사되 었으며 이 중 곤충류의 갈색버섯파리과(Lycoriella sp.)와 응애류의 뿔가루응애과(Histiostoma feroniarum)및 건초응애(Throglyphus bankslongior)가 발생량도 많고 피해도 컸다.

  • PDF

느타리버섯속(屬)에서 Conidia의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 (Microscopic observation of conidia from the genus of Pleurotus)

  • 변명옥;유영복;고승주;유창현;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31
    • /
    • 1991
  • 국내외에서 수집된 10종의 느타리버섯 균사를 버섯 완전 배지에 배양한 후 균사체에 형성된 분생자(分生子) (conidia)를 관찰 하였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 사철느타리버섯(P. florida), 노랑느타리버섯(P. cornucopiae), 맛느타리버섯(P. sapidus), 여름느타리버섯(P. sajor-caju), 분홍느타리버섯(P. salmoneostramineus) 외에 P. dryinus, P. eryngii, P. pulmonarius, 및 P. cystidiosus 균사에서 conidia가 형성되었다. Conidia 형태는 구형과 타원형의 2가지였고 2핵 균사체 뿐만 아니라 1핵 균사체에서도 conidia를 형성하였다. Conidia는 버섯 완전 배지에서 관찰되었으나 버섯 최소 배지에서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며 담자포자에 UV를 처리하여 conidia를 형성하지 못하는 변이균주를 선발하였다.

  • PDF

한국산 느타리 버섯 (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I. 등전점 전기영동-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ll. Isoelectric Focusing-)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5-100
    • /
    • 1988
  • 한국에 자생하는 느타리버섯 균주중 지역별로 기주가 다른 균주들을 수집하여 Esterase 동위효소와 Leucine amino peptidase 동위효소를 등전점 전기영동으로 균사와 자실체 부위별로 비교하였다. Pleurotus ostreatus의 Esterase 밴드 패턴은 균사와 자실체가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 등의 isozyme 패턴은 유사하였다. P. ostreatus, P. cornucopiae, P. florida의 Esterase 밴드 패턴에 많은 차이가 있어 종간 균주구별이 가능하였다. Leucine Amino Peptidase 밴드는 P. ostreatus, P. cornucopiae, P. florida 간에 뚜렷이 구별지을 수 없었으며, 균사와 자실체 간에는 약간의 밴드 패턴의 차이가 있었다.

  • PDF

하기(夏期) 재배(栽培)에 알맞는 여름 느타리 버섯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Pleurotus sajor-caju as Suitable Species for Cultivation under Summer Climatic Conditions in Korea)

  • 고승주;변명옥;유창현;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3-58
    • /
    • 1984
  • 하기재배(夏期栽培)에 알맞는 느타리버섯은 동남아세아(東南亞細亞) 및 인도(印度)에 자생(自生)하는 느타리버섯(Pleurotus spp.) 6균주(菌株)를 수집(蒐集)하여, 볏짚배지(培地)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 정도(程度), 발용온도(發茸溫度) 및 여름철 기후하(氣候下)에서 자실체(字實體) 생산력(生産力) 등(等)을 조사(調査)하여 선발(選拔) 하였다. 새로선발(選拔)된 Pleurotus sajor-caju ( Fr.) Sing. (ASI 2070)은 시험(試驗)된 균주(菌株) 중(中) 볏짚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한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은 $13.7kg/m^2$으로 높았다. 발용온도범위(發茸溫度範圍)는 $10{\sim}35^{\circ}C$ 였으며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0{\sim}25^{\circ}C$였다. 이와같은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농가재배(農家栽培)로 실증(實證)하였으며 이버섯을 "여름느타리버섯"으로 명명(命名)하였다.

  • PD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reen Mold, Trichoderma spp. isolated from Oyster Mushrooms

  • Choi, In-Young;Hong, Seung-Beom;Yadav, Mahesh C.
    • Mycobiology
    • /
    • 제31권2호
    • /
    • pp.74-80
    • /
    • 2003
  • Isolates of Trichoderma spp. collected from Pleurotus ostreatus and P. eryngii beds, which included loosened substrate compactness and development of green colour, were grouped into three species. The occurrence of different species of Trichoderma was as T. cf. virens(70.8%), T. longibrachiatum(16.7%) and T. harzianum(12.5%). The conidia of Trichoderma spp. were ellipsoidal, obovoid and phialides were bowling pins, lageniform and the length of phialides was $3.5{\sim}10.0{\times}1.3{\sim}3.3{\mu}m$. Phialides of T. cf. virens and T. harzianum were tending clustered, but it was solitary disposition in T. longibrachiatum. T. cf. virens was characterized by predominantly effuse conidiation, sparingly branched, and fertile to the apex and it was penicillate type. RAPD analysis could detect variability amongst three different species of Trichoderma using two newly designed URP-primers. However, intra-specific variation could not be detected in all the isolates except for rDNA sequence data classified Trichoderma isolates into three distinct groups representing three species. The profiles of rDNA sequences of isolates representing a species showed high similarity in T. cf. virens and T. harzianum. However, there was a variation in rDNA sequences of isolates representing T. longibrachiatum.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s that molecular techniques of RAPD and rDNA sequencing can greatly aid in classification based on morphology and precise identification of fast evolving species of Trichoderma.

버섯폐배지의 발생량 조사 및 새송이, 느타리, 팽이 버섯 폐배지의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Yiel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nt Mushroom (Pleurotus ryngii, Pleurotus osteratus and 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According to Mushroom Species and Cultivation Types)

  • 김영일;배지선;정세형;안문환;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9-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배지의 동물 사료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배지의 최소한의 발생량을 버섯종류와 버섯재배 방식에 따라 산출하고, 느타리, 새송이, 팽이 버섯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로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2004년도 우리나라 폐배지 총 발생량은 1,670,182M/T이었다. 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폐배지는 전체 발생량의 58.2%인 972,141 M/T이 발생되었으며, 이중 재배방식별로는 병재배에 의해 67%, 균상재배에 의해 20%, 봉지재배에 의해 13%가 발생되었으며, 버섯 종류별로는 느타리버섯 폐배지가 46%, 팽이버섯 폐배지가 32%, 새송이버섯 폐배지가 22% 발생되었다. 버섯 재배방식별 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균상재배 폐배지는 병재배와 봉지재배 폐배지 보다 NDF 함량(65.2%)이 낮고, NFC 함량(12.7%)이 높은 특징이 있어서(P<0.05), 사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 변이도는 병 또는 봉지재배 방식보다 균상재배 방식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섬유소(NDF) 함량의 변이도는 예상보다 낮은 편이었다. 결과적으로 폐배지를 동물 사료로 이용 시 버섯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는 재배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사료영양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균상재배 폐배지의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느타리 버섯류(Pleurotus spp.)의 생화학적 방법에 의한 품종구분 (Identification of Varieties by Biochemical Methods in Pleurotus spp.)

  • 김동현;공원식;김경수;김영호;유창현;김영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73-181
    • /
    • 1998
  •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느타리버섯류 중 P. ostreatus, P. florida, P. sajorcaju의 3개 종 13개 품종에 대하여 rDNA분석 및 AP-PCR, RFLP를 실시하여 각 종 및 품종들에 대한 구분을 시도하였다. rDNA의 IGRI부위는 약0.9 kb로 증폭되었고, $ITSI{\sim}II$는 약 0.7 kb로 증폭되었다. 각 PCR 산물을 6가지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polymorphism을 분석한 결과, $ITSI{\sim}II$ 부위를 HaeIII로 처리시 여름느타리에 특이적인 band를 보였다. 또한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종간 차이를 구분할 수 있었다. AP-PCR를 실시한 결과 약 $2.0kb{\sim}150\;bp$의 다양한 band를 볼 수 있었고 P. florida종은 marker로 사용 가능한 특이 밴드가 발견되었다. 또한 사용된 primer에 따라 종간의 구별이 가능하였을 뿐 아니라 품종간에도 차이를 보이는 primer도 찾을 수 있었다.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RFLP 분석에서는 $ITSI{\sim}II$보다 IGRI probe가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

Universal Rice Primer(URP)에 의한 DNA 핵산지문법을 이용한 느타리의 유통 품종간 구분 (Differentiation Among Commercial Strains of Pleurotus spp. Based on DNA Fingerprinting Using Universal Rice Primer (URP))

  • 서경인;장갑열;유영복;박순영;김광호;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7
    • /
    • 2008
  • 본 연구에 사용된 느타리버섯류는 느타리속 8종 81개 품종으로 형태적 분류가 어려운 점 외에도 출처가 불확실한 품종이 재배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품종구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느타리버섯류 81개 품종을 DNA 핵산지문법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10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 중 느타리종에 속하는 70품종은 3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이 그룹내에서 국내 주요품종인 원형, 수한, 춘추2호, 왕흑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품종이 많았다. I 그룹에 속하는 35개 품종 중 원형품종과 동일하거나 구별성이 인정되지 않는 품종은 4개 품종이었고, 왕흑평과는 6개의 품종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II 그룹의 23개 품종 중에는 21개의 품종이 수한과 구별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II 그룹의 12개 품종 중 춘추2호와 유사 한 품종들은 총 6개였다.

Historical Record of Mushroom Research and Industry in Korea

  • Yoo, Young Bok;Oh, Youn Lee;Shin, Pyung Gyun;Jang, Kab Yeul;Sung, Gi-Ho;Kong, Won-Si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13-13
    • /
    • 2014
  • Two kinds of mushrooms, Gumji (金芝; Ganoderma) and Soji, were described in old book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B.C 57~A.D 668; written by Bu Sik Kim in 1145) in Korea-dynasty. Many kinds of mushrooms were also described in more than 17 kinds of old books during Chosun-dynasty (1392~1910) in Korea. Nowadays, mushroom cultivation has been increased through out the world last decade years. Production of mushrooms has also been increased 10-20% and many varieties have been cultivated. Similar trends were also observed in Korea. Approximately two hundred commercial strains of 37 species in mushroom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cultivators. Somatic hybrid variety of oyster mushroom 'Wonhyeong-neutari' were developed by protoplast fusion, and distributed to grower in 1989. The fruiting body yield index of somatic hybrids of Pleurotus ranged between 27 and 155 compared to parental values of 100 and 138. In addition, more diverse mushroom varieties such as Phellinus baumi, Auricularia spp., Pleurotus ferulae, Hericium erinaceus, Hypsizigus marmoreus, Grifola frondosa, Agrocybe aegerita and Pleurotus cornucopiae have been attempted to cultivate in small scale cultivation. Production of mushrooms as food was 190,111 metric tons valued at 800 billion Korean Won (one trillion won if include mushroom factory products; 1dollar = 1,040 Won) in 2011. Major cultivated species are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garicus bisporus, and Ganoderma lucidum, which cover 90% of total production. Since mushroom export was initiated from 1960 to 1980, the export and import of mushroom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Technology developed for liquid spawn production and automatic cultivation systems lead to the reduction of the production cost resulting in the increasement of mushroom export. However some species were imported because of high production cost for these mushrooms requiring the effective cultivation methods. Developing of effective post-harvest system will be also directly related to mushroom export. In academic area, RDA scientists have been conducting mushroom genome projects. One of the main results is the whole genome sequencing of Flammulina velutipes for molecular breeding. An electrophoretic karyotype of of F. velutipes was obtained using CHEF with 7 chromosomes, with a total genome size of approximately 26.7 Mb. The mususcript of the genome of F. velutipes was published in PLOS ONE this year. For medicinal mushrooms, we have been conducting the genome research on Cordyceps and its related species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this mushroom. In 20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ion (KFDA) approved Cordyceps mushroom for its value as an immune booster.

  • PDF

느타리속 버섯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 엄수나;진경언;박계원;유영복;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0-96
    • /
    • 2010
  • 일반 느타리 13품종과 색상 느타리 5품종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및 polyphenol,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 및 항암,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느타리버섯 18종의 아미노산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glutamic acid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필수아미노산 성분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Polyphenol 함량에서는 전품종에서 20 mg% 함량이상을 나타냈으며, 노랑느타리(R)가 $39.13{\pm}0.82\;mg%$로 가장 높았다. $\beta$-glucan 함량은 노랑느타리(R)에서 $37.67{\pm}0.22%$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원형1(C), 장안PK(A)에서 각각 $28.75{\pm}0.61%$, $27.95{\pm}0.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에서는 노랑느타리(R) 버섯의 DPPH $IC_{50}$값이 $2.93{\pm}0.44\;mg/mL$로 가장 낮아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노랑느타리(R) 에탄올 추출물 1% 처리시 신장 암세포에 대해 36.90%의 세포 억제율을 보였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노랑느타리(R) 에탄올 추출물 1%농도에서 $60.5{\pm}0.2%$의 저해율이 측정되었고, 흑평(B) $56.7{\pm}1.1%$, 여름(H) $52.4{\pm}1.3%$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활성에서는 3%농도에서 흑평(B)과 삼복(G)을 제외한 나머지 느타리버섯 에탄올 추출물에서 50%이상의 용해 활성을 보였으며 노랑느타리(R)에서 거의 plasmin과 동등한 활성을 나타냈다. 항당뇨 활성에서는 노랑느타리(R)의 경우 $50.5{\pm}0.8%$의 비교적 높은 효소저해율이 측정되었고, 항염활성에서는 노랑느타리(R)에서 $68.4{\pm}0.3%$의 억제율이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일반 느타리 13 품종과 육종 재배된 색상 느타리 5품종 중 노랑느타리(R)가 가장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 향후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