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eryngii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5초

큰느타리버섯 폐배지 이용 배지 제조 및 적정 첨가비율 (The production of media and optimal additive rate using the cultivation media wastes of Pleurotus eryngii)

  • 김민근;류재산;이영한;박정식;정지인;권진혁;노치웅;윤한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6-80
    • /
    • 2007
  • 큰느타리버섯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증가에 따라 많은 양의 폐배지가 발생되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농가로부터 수거된 폐배지에 대해 성분분석 및 버섯균사에 대한 생육저해 여부를 확인한 뒤 버섯재배에 있어 폐배지의 적정첨가 비율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버섯의 배양특성 및 생육특성을 관찰하였다. 폐배지 성분 분석 결과 pH는 새배지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총 질소 함량은 폐배지 첨가비율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의 배양 및 생육과정 중 배지로 분비된 대사산물에 의해서 일어 날수 있는 버섯 균사생육저해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폐배지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고체배지에 버섯 균사를 접종한 결과 폐배지에 의한 버섯균사 저해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폐배지 첨가에 따른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 생장률은 약간씩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50% 이내로 폐배지가 첨가된 조건에서는 일반적인 배양기간 (35 일) 내에 배양이 완료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버섯의 발이특성을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도 50% 이내로 폐배지가 첨가된 경우 평균 10일 이내에 발이가 완료되었으나 폐배지 100%로 제조된 배지에서는 정상적으로 발이가 되지 못하였다. 생육특성의 경우 평균 18일 이내에 수확이 완료되었으나 폐배지 첨가량이 30% 이상 일 경우 자실체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에서 정상적으로 재배되고 발생되는 폐배지의 경우 버섯 잔재물이나 배지 덩어리 및 오염배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뒤 10-30% 수준으로 새배지에 첨가하여 재활용 할 경우 정상적인 버섯의 배양 및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버섯 재배농가의 재료비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 PDF

큰느타리버섯에서 석충 페리틴 단백질 유전자의 발현 최적화 및 생물학적 활성 (Optimiza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Ferritin Protein Gene in Pleurotus eryngii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우연정;오시윤;최장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9-371
    • /
    • 2019
  • 큰느타리버섯에서 철 저장과 관련된 페리틴 단백질의 발현 및 분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T-Fer 벡터에 EcoRI 및 HindIII처리를 해 페리틴 유전자를 얻은 후, BamHI으로 처리된 선형의 pPEVPR1b 분비 벡터에 클로닝하여pPEVPR1b-Fer 재조합 벡터를 구축한 다음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로 도입하였다.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방법에 의해 Pleurotus eryngii로 형질전환하고 kanamycin함유된 MCM 배지에서 올바른 형질전환체를 선별하였고, 단백질 발현은 SDS-PAGE 및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페리틴 단백질의 분비 발현은 batch culture 및 20 L airlift type fermenter에서 배양 시간 및 온도와 같은 배양 조건에 의해 최적화되었다. 페리틴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은 MCM 배지에서 25℃ 및 8 일 배양에 의해 최적화되었다. 페리틴 단백질의 양은 정량적 단백질 분석에 의해 2.4 mg/g mycelium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PR1b (32 amino acid)의 분비서열은 큰느타리버섯 내부의 peptidase에 의해 정확하게 processing되지 않았지만, 페리틴 단백질은 균사체에서 최대로 전체단백질의 24.7% 발현되었고, 배양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철 결합 활성은 7.5% non-denaturing gel에서 Perls' staining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다량체 페리틴(24 subunits)이 P. eryngii 균사체에서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활성 측정을 위하여 페리틴을 함유한 분말을 제조하여 육계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페리틴은 육계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 효율 및 생산 지수를 향상시키는것으로 확인되었다.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수확 후 배지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염료의 탈색효과 (Decolorization Efficiency of Different Dyes by Extract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Pleurotus eryngii)

  • 임선화;곽아민;민경진;김상수;이상엽;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3-218
    • /
    • 2014
  • 높은 laccase 활성을 보유한 큰느타리 수확 후 배지추출물(SMSE)은 bromophenol blue과 remazol brillient blue R염료에서 각각 93.7%와 88.7%의 높은 탈색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외의 Congo red는 72.13%을 보인 반면에 다른 염료는 60% 내의 탈색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직물염색에 사용되는 Rit (red)와 Rit (blue)는 51.6%와 30.4%의 비교적 낮은 탈색율을 보였으며 Methylen blue 염료는 탈색률이 검출되지 않았다. 염료는 $20{\sim}30^{\circ}C$의 온도에서 가장 높은 탈색률을 보였고, $50^{\circ}C$까지 높은 염료 탈색효과를 보였다. 시간에 따른 염료 탈색효과 실험에서 bromophenol blue와 remazol brillient blue R은 SMSE 처리 1시간 후에 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12시간 후에는 80% 이상의 높은 탈색율을 보였으나 다른 염료들은 탈색 정도가 서서히 증가되어 24시간 후 최고 60%의 탈색율을 보였다. 큰느타리 SMSE는 섬유공장으로부터 수집한 산업 폐 염료의 탈색효과를 나타내어 환경친화적인 염료탈색의 산업적 이용성을 제시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the rcsA Gene from Pantoea sp. Strain PPE7 and Its Influence 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Virulence on Pleurotus eryngii

  • Kim, Min Keun;Lee, Sun Mi;Seuk, Su Won;Ryu, Jae San;Kim, Hee Dae;Kwon, Jin Hyeuk;Choi, Yong Jo;Yun, Han D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276-287
    • /
    • 2017
  • RcsA is a positive activator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synthesis in the Enterobacteriaceae. The rcsA gene of the soft rot pathogen Pantoea sp. strain PPE7 in Pleurotus eryngii was cloned by PCR amplification, and its role in EPS synthesis and virulence was investigated. The RcsA protein contains 3 highly conserved domains, and the C-terminal end of the open reading frame shared significant amino acid homology to the helix-turn-helix DNA binding motif of bacterial activator proteins. The inactivation of rcsA by insertional mutagenesis created mutants that had decreased production of EPS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and abolished the virulence of Pantoea sp. strain PPE7 in P. eryngii. The Pantoea sp. strain PPE7 rcsA gene was shown to strongly affect the formation of the disease symptoms of a mushroom pathogen and to act as the virulence factor to cause soft rot disease in P. eryngii.

Development of a Molecular Marker Linked to the A4 Locus and the Structure of HD Genes in Pleurotus eryngii

  • Lee, Song Hee;Ali, Asjad;Ha, Byeongsuk;Kim, Min-Keun;Kong, Won-Sik;Ryu, Jae-San
    • Mycobiology
    • /
    • 제47권2호
    • /
    • pp.200-206
    • /
    • 2019
  • Allelic differences in A and B mating-type loci are a prerequisite for the progression of mating in the genus Pleurotus eryngii; thus, the crossing is hampered by this biological barrier in inbreeding. Molecular markers linked to mating types of P. eryngii KNR2312 were investigated with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to enhance crossing efficiency. An A4-linked sequence was identified and used to find the adjacent genomic region with the entire motif of the A locus from a contig sequenced by PacBio. The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 $7-2_{299}$ distinguished A4 mating-type monokaryons from KNR2312 and other strains. A BLAST search of flanked sequences revealed that the A4 locus had a general feature consisting of the putative HD1 and HD2 genes. Both putative HD transcription factors contain a homeodomain sequence and a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however, valid dimerization motifs were found only in the HD1 protein. The ACAAT motif, which was reported to have relevance to sex determination, was found in the intergenic region. The SCAR marker could be applicable in the classification of mating types in the P. eryngii breeding program, and the A4 locus could be the basis for a multi-allele detection marker.

Monitor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Oh, Hyun-In;Lim, Tae-Soo;Lee, Gee-Dong;Kim, Hyun-K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99-305
    • /
    • 2007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to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s for finding the maximal function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Based on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study plan was established with variations of microwave power (30-150 W), ethanol concentration (0-99.9%), and extraction time (1-9 min).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obtain a mathematical model. A maximal yield of 47.86% was obtained when the microwave power,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were set at 122.7 W, 42.14%, and 8.3 min, respectively. A maximize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93.32% was foun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 microwave power of 144.19 W, an ethanol concentration of 49.52%, and an extraction time of 6.7 min. When the microwave power,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were set at 125.43 W, 40.54%, and 8.1 min, respectively, the maximum nitrite-scavenging ability was 80.47%. The optimum ranges of the extraction conditions, superimpos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ould predicate a microwave power of 110-150 W, ethanol concentration of 0-45%, and extraction time of 7-9 min.

Application of electric pulsed power on fruit body production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Ohga, Shoji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91-594
    • /
    • 2012
  • Effect of pulsed power was investigated on fruit body formation of 10 edible mushrooms, Lentinula edodes, Glifola frondosa, Pholiota nameko, Flammulina velutipes, Hypsizygus marmoreus,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Pleurotus abalonus, Agrocybe cylindracea and Sparassis crispa. Pulsed power of 100-170 kV was directly charged to the substrate just before fructification. The effect of the pulsed power resulted to promote for 10 edible mushrooms fructification. The treatment especially stimulated the fructification on Pleurotus species.

글루탐산나트륨 첨가배지에서 재배된 새송이버섯의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grown on Monosodium Glutamate-enriched Media)

  • 윤동연;박기문;이재흥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7-282
    • /
    • 2010
  • 새송이 버섯 (Pleurotus eryngii) 재배배지에 글루탐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MSG)을 혼합 첨가하여 재배한 자실체의 아미노산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함량 변화, 그리고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새송이버섯의 기능성 향상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MSG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rginine,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등 아미노산은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histidine, ser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등은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한편 MSG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의 GABA함량은 전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MSG 6 g/bottle 첨가군에서 자실체내에 가장 높은 GABA함량 (1.18 mg/g)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배지에 MSG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실체 추출물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nitrite scavenging activity)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배지에 소량의 저렴한 MSG (~US $1/kg)를 첨가하면 아미노산 조성 및 항산화 작용 등 생리활성이 개선되는 고 기능성 새송이버섯 식품소재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제조한 발효두부 추출물의 면역 활성 (Immuno-Activities of Extracts of Tofu Fermented with Pleurotus eryngii Mycelia)

  • 이상원;강종우;김재용;박경욱;박석규;주옥수;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30
    • /
    • 2010
  • 두부의 기능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두부를 제조하여 물과 메탄올로 추출하여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기 위한 최적 배지는 PD broth 배지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두부의 최적 발효기간은 7일 정도가 적당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한 두부의 물 및 메탄올추출물은 $0.01 {\mu}g/mL$ 농도 이상에서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IL-6, IFN-$\gamma$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두부 물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산을 $1 {\mu}g/mL$ 농도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10 {\mu}g/mL$ 농도 이상에서 그 생산을 증가시켰다. 발효두부 추출물들은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IL-6, TNF-$\alpha$, IL-1$\beta$ 및 GM-CSF 분비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두부는 기능성 두부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새송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esh Pleurotus eryngii Extracts)

  • 김현구;한호석;이기동;김공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9-445
    • /
    • 2005
  • 새송이버섯의 갓과 대를 열수, $50\%$ 에탄을 및 $100\%$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물 중량의 50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추출물들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전자 공여작용의 경우 갓의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88\%$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갓의 열수 추출물이 $62.5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의 경우 전자공여능 및 SOD유사활성에서 대보다 갓의 활성이 높았던 것과는 반대로 대의 활성이 높았으며, 그중 $100\%$ 에탄을 추출물에서 $58.57\%$로 비교물질로 사용된 $0.1\%$ L-ascorbic acid보다 $31.29\%$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에서도 SOD 유사활성과 비슷하게 갓의 열수 추출물이 $95.14\%$로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갓의 열수 및 $50\%$ 에탄을 추출물에서 각각 $1427.25\;mg\%$, $1426.82\;m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한 결과 pH 1.2일 때 갓과 대의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새송이버섯의 생리활성을 밝혀 기능성 소재로써 이용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