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도라지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 성분 분석 및 마우스 대식세포와 인체 폐암세포에서 항염효과 (Analysis of Major Constituents of an Ethanol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Protective Effects on Inflammation in Murine Macrophage and Human Lung Carcinoma Cells)

  • 이정민;배병준;최지림;정영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122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constituent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Through HPLC analysis, chlorogenic acid and luteolin-7-O-glucoside were identified as predominant constituents in the ethanol extract.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and human lung carcinoma cells (NCI-H292 & A549).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p<0.01)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te, interleukin-6 (IL-6), and prostaglandin E2 (PGE2)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RAW 264.7 cells. Furthermore, the ethanol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proteins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LPS. In NCI-H292 and A549 cells, treatment with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IL-8 induced by IL-1β. The phosphorylation of ERK rather than JNK in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 was observed to be a more important mediator in the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NCI-H292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thanol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containing luteolin-7-O-glucoside exhibits promisi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도라지 잎과 줄기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 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1-515
    • /
    • 2006
  • 도라지 잎과 줄기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도라지 잎과 줄기의 수분함량은 각각 84.31%와 5.91%였으며, 도라지 잎과 줄기의 무기성분 중 Ca이 351.49 mg%와 217.56 mg%로 함량이 많았다. 도라지 잎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1,729.8 mg%가 함유되어 있었고, 줄기에서는 fructose가 734.87mg%였다. 도라지 잎의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242.91 mg%)와 arginine(228.60 mg%)이었으며, 줄기에서는 lysine(110.08 mg%)과 glutamic acid(80.40 mg%)였고, 도라지 잎과 줄기의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였다. 도라지 잎과 줄기의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고, 특히 부탄올 분획물에서 환원력이 2.25로 가장 높았다.

Breeding of Tetraploid in Platycodon grandiflorum (Jacq.)A. DC. by Colchicine treatment

  • Kim, Ik-Hwan;Kim, Hag-Hyun;Hong, Eui-Yon;Yun, Jong-Sun;Yun, Tae;Hwang, Ju-Kwang;Lee, Cheol-Hee
    • Plant Resources
    • /
    • 제6권3호
    • /
    • pp.188-194
    • /
    • 2003
  • Presen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produce tetraploid plants by colchicine treatment using seeds, seedlings and shoot tip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Campanulaceae. The most successful colchicine treatment for tetraploid production in P. grandiflorum was soaking treatment using 0.01 and 0.5% colchicine solution for 1 hour and 12 hours, respectivel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diploid and tetraploid were similar, but tetraploid plants had more leaves. Compared to diploid, tetraploid had the larger stomata, but less number of stomata. Fresh weight of tetraploids was 20∼40% heavier than that of diploid.

  • PDF

도라지 유묘기 액비처리가 질소와 인산의 식물체 흡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Platycodon grandiflorum Absorption of Nitrogen and Phosphorous Acid and Growth during Seedling Stage by Liquid Fertilizers Treatment)

  • 이철호;이신우;안미정;조광복;이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7-232
    • /
    • 2011
  •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has been widely used as a crude drug or a food stuff. Unfortunately, the output and the quality is not regular and highly dependent on the cultivation area and cultivation method. Therefore, seedling cultivation study of this plant under structure with various fertilizer supply was performed. As a result, significant big difference between ammonia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content was shown in the root at seedling stage while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aerial parts. Fresh weight of the root (7.73 g plant$^{-1}$) was higher in the group treated with three major nutrients (N, P and K) than in those treated with three major nutrients and calcium or magnesium or both calcium and magnesium, and non-treated group (2.69 g plant$^{-1}$). Total nitrogen content was recogniz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oot weight,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weight of aerial parts. Ammonium nitrogen content was more correlated the growth of P. grandiflorum than nitrate nitrogen. For phosphoric aci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shown with the four growth factors.

덖음 및 유념 횟수를 달리한 도라지 잎차의 품질 조사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lloon Flower Leaf Tea with Different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 엄현주;권누리;정유영;윤향식;김인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70-575
    • /
    • 2020
  • In this study, to develop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which are not used as tea, a method of making green tea was referred to, and several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balloon flower leaf tea with different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were 33.02 mg GAE/g and 5.03 mg/g at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total flavonoids, the RO3 + RU2, subjected to three times of roasting and two times of rubbing, showed the highest valu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samples. Except for the green tea as a control, the RO2 + RU1 samples repor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tended to decrease slightly as the number of increasing roasting and rubbing among the sampl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se things together, to develop tea using the balloon flower leaves would be suitable with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질소 분시 비율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수량 (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in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 성재덕;김금숙;김현태;박충범;김성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37-441
    • /
    • 2004
  • 도라지 재배시 질소 분시 비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도라지 수량 면에서는 2년생 생근과 건근이 50:50 2회 추비 구에서 각각 898 kg, 230 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0:70의 추비 구에서 가장 많았다. 1년차에서의 분시비율은 기비 50%, 추비 50%로 하되, 추비 50%를 2회 나누어 시비하고 2년차는 추비만 시비하는데 이 때 50:50로 2회 나누어 주면 수량 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결과에서 지상부 생육은 년수 간에는 1년생보다 2년생이 출현기, 개화기가 더 빠르고 경장, 경태가 더 크며 분지수, 엽수도 모두 더 많아 전체적인 생육이 양호하였다. 질소 분시 비율 차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2년생 근에서는 50:50 2회 추비구가 다른 추비구보다 경태가 굵고, 분지수, 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2년근 지하부 생육은 50:50 2회 추비 구에서 주근장도 가장 길고 지근수도 가장 많아 수량도 건근 230 kg/10a로서 70:30 추비 구 보다 30%의 수량 증대를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에서도 50:50 추비구가 4.68%로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도라지 질소 분시 비율은 1년차는 기비 50%와 추비 50%로 하고 2년차는 추비를 50:50 비율로서 2회로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면에서 모두 바람직하며, 특히 2년생 이상을 수확하는 것이 수량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배양용기 내 환기와 광도에 따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기내 배양묘의 생장반응 (The Growth Response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Plantlets In Vitro as Affected by Air Exchanges and Light Intensity)

  • 최소라;김명준;은종선;안민실;임회춘;류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05
  • 기내 배양환경을 조절하여 건전한 유식물체를 획득하기 위해 도라지를 무균발아시켜 shoot부분을 NAA $0.1\;\cal{mg/L}$ 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한 후 배양용기의 뚜껑위에 membrane filter를 부착하여 환기횟수를 달리하고 광도를 33, 66, 99 ${\mu}mol\;m^{-2}s^{-1}$로 처리하여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Membrane filter 부착구의 환기횟수는 $4.9 h^{-1}$이었으며 미부착구는 $0.1 h^{-1}$이었다.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0.1 h^{-1}$에서는 광도가 증가할수록 생장이 저조한 반면 $4.9 h^{-1}$ 처리구에서는 광도의 증가에 따라 생장이 좋은 경향이었다. 동일한 광도에서 환기횟수 $4.9 h^{-1}$ 처리구는 $0.1 h^{-1}$ 처리구에 비해 생체중은 1.9배, 당 함량은 1.4배 이상 높았으며 환기횟수 $4.9 h^{-1}$ 처리구는 광도의 증가에 따라 생체중과 당 함량이 높아졌으나 $0.1 h^{-1}$ 처리구는 광도에 의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함수율은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4.2\~5.8\%$가 낮았으나 광도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동일한 광도에서 총 엽록소 함량은 환기횟수 $4.9 h^{-1}$ 처리구에서 $0.1 h^{-1}$ 처리구에 비해 $ 0.27\~0.79\;\cal{mg/g}$ F.W.가 높았으며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광도의 증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환기횟수 $0.1 h^{-1}$ 처리구는 높은 광도에서 감소하였다. 환기횟수 $4.9 h^{-1}$$0.1 h^{-1}$에 비해 잎의 공변세포가 크고 주변 부세포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특히 PPF $99\;{\mu}mol\;m^{-2}s^{-1}$에서 환기횟수 $0.1 h^{-1}$는 부세포의 발달이 미흡하고 기공이 많이 열려 있는 상태인 반면 환기횟수 $4.9 h^{-1}$는 부세포가 잘 발달된 잎을 지니고 있었다.

Priming과 $GA_3$ 처리에 따른 도라지, 더덕 및 만삼의 출아(出芽)와 생장(生長)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Affected by Priming and $GA_3$ Treatments to Three Campanulan Plant Seeds)

  • 강진호;김동일;강신윤;심영도;한경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07-313
    • /
    • 1997
  • 발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수행된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종자처리(種子處理)가 출아율(出芽率)과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촉진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도라지, 더덕 및 만삼 종자를 파종 전 증류수에 2일간 침지하거나, $Ca(NO_3)_2$ 150 mM에 2일간 priming 또는 $GA_3$ 0.1 mM에 3일간 침지한 3개(個) 처리(處理)로 구분하여 유묘 출아율(幼苗 出芽率)과 파종 38일 후에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조사하였으며 만삼의 출아율(出芽率)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종자의 내부구조를 관찰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묘 출아율(幼苗 出芽率)에서 도라지는 Priming과 $GA_3$ 처리, 더덕은 $GA_3$ 처리, 만삼은 priming처리에서 증류수로 침지 처리하는 것보다 높았고,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도 도라지와 더덕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GA_3$처리로 단축되었다. 2. 공시종(供試種) 모두 하경축장(下經軸長)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던 반면, 도라지와 더덕은 priming처리로 초장(草長)은 짧고 주당엽수(株當葉數)도 적었으나 만삼은 차이가 없었다. 3. 지상부중, 근중(地上部重, 根重) 또는 주당 건물중(株當 乾物重)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GA_3$ 처리에서 높은 반면, priming 처리에서 낮았다. 4. 만삼의 출아율저조원인(出芽率低調原因)은 무경(無經), 천(賤)의 형태적(形態的) 결함(缺陷) 등 종자구조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강원과 전남 지역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의 유통 실태 분석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in Gangwon and Jeonnam Districts)

  • 조자용;박용서;곽수년;임명희;이미경;허북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16-721
    • /
    • 2007
  • 산채자원 및 신선나물류의 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태백, 홍천, 횡성과 전남 나주, 담양, 장성의 오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오일장에서 신선 나물류를 판매하는 곳은 나주 22개소를 제외하고는 34개에서 49개소까지 다양하였다. 신선 나물류의 출하 품목은 강원도는 27-29종류였는데 산채 종류가 많았다. 반면에 전남은 15-19종류였는데 원예식물의 종류가 많았다. 참취, 머위, 고사리, 아욱, 들깨 잎, 상추, 고추 잎, 미나리는 모든 조사지역 오일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신선 나물류 판매자들의 연령은 51세 이상이 88%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61세이상의 고령자는 66.4% 이상이었다. 신선 나물류의 판매처당 판매품목 수는 72.1%이상이 6종류 이하를 판매하고 있었다. 신선나물류의 포장은 77% 이상이 비닐봉지를 이용하고 있었다.

블랜칭 처리 조건에 따른 동결 도라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 이영주;이혜옥;김지영;권기현;차환수;김병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61-6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하여 한식 요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도라지를 다양한 동결채소로서 식품소재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랜칭 처리 조건 설정 연구가 시도되었다. 블랜칭 처리는 $80-100^{\circ}C$ 열수에서 1-5분동안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40^{\circ}C$에서 24시간동안 급속동결시켜 $-20^{\circ}C$에서 보관하면서 분석하였다. 블랜칭처리에 따른 동결 도라지의 품질변화는 색도, 경도, 총균 및 대장균군 수 및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하였다. 블랜칭 처리한 다음 동결 전후의 도라지의 표면 색택 변화 중 밝기를 나타내는 Hunter-L값의 경우 $80^{\circ}C$에서 블랜칭 한 처리구가 더 높은 온도에서 처리한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 후 그 값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경도는 블랜칭 온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블랜칭 처리 전의 $3.75{\times}10^5$ cfu/g 및 $1.25{\times}10^5$ cfu/g에서 총균수는 2-3 log scale 부근까지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수는 블랜칭 처리 후 검출되지 않았다. Peroxidase activity는 블랜칭 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감소하였는데, 모든 처리구에서 89% 이상 불활성화 되었다. Pectinesterase activity는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온도에 의한 불활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결 도라지의 해동 후 각 처리구별로 관능검사한 결과 $90^{\circ}C$에서 1분 동안 블랜칭 처리하여 동결한 도라지가 종합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결 도라지 제조를 위한 도라지의 블랜칭 처리 최적조건은 $90^{\circ}C$에서 1분이 적합하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처리는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품질의 안정성을 높힐 수 있으므로 저장이나 가공의 전처리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