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인의 허혈성 뇌경색 발생과 플라스미노겐 활성 억제인자-1(PAI-1)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the -675 4G/5G and A-844G Polymorphisms of the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Gene with a Risk of Ischemic Stroke in Korean Population)

  • 이병철;변상혁;김순일;강기훈;안세영;두호경;서정철;임강현;조성호;;안영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24
    • /
    • 2004
  • 연구배경 : 플라스미노겐 활성 억제인자-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은 허혈성 뇌경색의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섬유소 용해작용의 저하를 매개하는 인자로서, PAI-1의 작용이 촉진되면 섬유소 용해기능이 저하되어 관상동맥 및 뇌혈관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PAI-1 유전자의 촉진자(promoter) 영역에는 -675 4G/5G (4G/5G)와A -844G (A/G)의 두 개의 유전자 다형성이 존재하며, 이는 PAI-1의 유전자 전사과정에 영향을 미쳐 혈청 PAI-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허혈성 뇌경색의 발생확률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연구방법 : 허혈성 뇌경색으로 진단 받은 167명의 환자와 173명의 건강인의 말초혈액에서 DNA를 분리한 후 PAI-1의 4G/5G와 A/G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쇄중합반응 및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방법을 이용하여 허혈성 뇌경색 발생과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의 4G/4G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15.0%으로 정상 대조군의 33.5%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P < 0.0001). 각각의 유전자형과 허혈성 뇌경색의 발생 위험도 (odd ratio ; OR)와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4G/4G 유전자형을 가질 경우 위험도는 0.35배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P < 0.0001), 5G/5G 유전자형을 가질 경우 위험도는 4.49배 로 현저하게 높아졌다 (P < 0.0001). 그러나, A/G 유전자 다형성과 허혈성 뇌경색의 발생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PAI-1 유전자의 4G/4G 유전자형은 허혈성 뇌경색의 발생 비율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 내의 단백질 변화 (The Changes of Quantity and Quality of Proteins in Medium and Cytoplasm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 박용수;박현정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7-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이 체외성숙된 환경의 변화를 단백질 측면으로부터 검토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와 종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지 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감소하였고, 배양 13.5시간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 $13.5\~18$시간 사이에 증가한 후 배양 18시간 이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세포질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증가하였고 배양 9시간째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 9시간째부터 18시간째 까지는 단백질 발현량이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배양 18시간째부터 24시간째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한 배지와 세포질을 2차원 전기영동하여 각각 298개 및 35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하였고, 그 중 배지에서는 28개, 세포질에서는 5개의 spot이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spot 대한MALDI-TOP분석으로 배지와 세포질에서 각각 8개 및 1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그 종류는 aldose reductase, alpha enolase, apolipoprotein A-1 precursor, 43M1a collectin precursor, heat shock 27kDa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recursor, thrombospondin 1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 및 $\beta$-tubulin이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우심실 기능 부전에 따른 혈액응고 및 섬유소용해계 변화 (Alteration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System According to Right Ventricular Dysfunc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영;장윤수;김형중;김세규;장준;안철민;김성규;곽진영;최진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25-630
    • /
    • 2006
  • 배 경: COPD 환자에서 흡연은 폐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 수축, 확장 및 혈관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매개물질을 분비하여 혈관의 부적절한 개형 및 생리 현상을 초래하여 폐성고혈압을 유발한다. COPD 환자에서는 종종 급성 및 만성 폐혈전증이 일어나고 혈장내 응고전구물질 및 섬유소용해계의 표지자들이 증가되어 있다. 그러나 COPD 환자에서 혈액 응고계 및 섬유소용해계가 우심실 기능 장애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COPD 환자에서 multidetector CT scan (MDCT)을 이용하여 측정한 우심실 기능에 따른 혈액내 응고계 및 섬유소용해 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GOLD 지침에 따라 COPD로 진단한 26명에서 심장 MDCT scan을 이용하여 우심실 박출계수를 구하였다. 혈액내 thrombin antithrombin (TAT) 및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은 enzyme linked immuno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COPD 환자의 혈중 TAT는 $10.5{\pm}19.8{\mu}g/L$으로 정상인의 혈중 TAT $3.4{\pm}2.5{\mu}g/L$보다 의미 있게 증가되었으나 (p<0.01) COPD 환자의 혈중 PAI-1는 $29.6{\pm}20.7ng/mL$으로 정상인의 혈중 PAI-1 $25.9{\pm}17.9ng/mL$와 비교하여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COPD 환자에서 혈중 TAT는 MDCT scan으로 측정한 우심실 박출계수와 의미 있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r=-0.645, p<0.01) 혈중 PAI-1은 우심실 박출계수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r=0.022, p=0.92). 결 론: COPD 환자에서 혈중내 응고계는 활성화되어 있으며 혈중 TAT는 우심실 기능 장애의 의미있는 표지자로 사료된다.

Thromboxane A2 Synthetase Inhibitor Plus Low Dose Aspirin : Can It Be a Salvage Treatment in Acute Stroke Beyond Thrombolytic Time Window

  • An, Gyu-Hwan;Sim, Sook-Young;Jwa, Cheol-Su;Kim, Gang-Hyeon;Lee, Jong-Yun;Kang, Jae-Ky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1호
    • /
    • pp.1-5
    • /
    • 2011
  • Objective : There is no proven regimen to reduce the severity of stroke in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presenting beyond the thrombolytic time window. Ozagrel sodium, a selective thromboxane A2 synthetase inhibitor, has been known to suppress the development of infarction. The antiplatelet effect is improved when aspirin is used together with a thromboxane synthetase inhibitor. Methods : Patients with non-cardiogenic acute ischemic stroke who were not eligible for thrombolysi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ozagrel sodium plus 100 mg of aspirin (group 1, n=43) and the other 100 mg of aspirin alone (group 2, n=43). Demographic data,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itial stroke severit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and motor strength scale] and stroke subtypes were analyzed in each group.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by NIHSS and motor strength scale at 14 days after the onset of stroke.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age, gender proportion,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troke subtypes, and baseline neurological severit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for group 1 was much better at 14 days after the onset of stroke compared to group 2 (NIHSS score, p=0.007, Motor strength scale score, p<0.001). There was one case of hemorrhagic transformation in group 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eeding tendency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In this preliminary study, thromboxane A2 synthetase inhibitor plus a low dose of aspirin seems to be safe and has a favorable outcome compared to aspirin alone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who presented beyond the thrombolytic time window.

흰쥐에서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Nexin-1의 조직 및 생식기관 특이적 유전자 발현 (Tissue- and Reproductive Organ-specific Expression of Protease Nexin-1 in Sprague-Dawley Rat)

  • 고정재;김남근;김진규;최명진;정형민;서승염;김윤희;이현환;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35-140
    • /
    • 1998
  • Protease nexin-1 (PN-1)은 활성화 자리에 serine기를 갖는 단백질 분해 효소 즉, 트롬빈, 트립신,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효소 등의 작용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Sprague-Dawley계통을 이용하여 조직별 mRNA발현여부 및 정도를 조사하였다. PN-1의 발현이 나타난 조직은 뇌 (전뇌, 후뇌), 심장, 간, 폐, 난소, 난관 등이다. 이들 중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은 조직은 암컷의 전뇌(forebrain) 였다. 특히, 생식기관들 중에서는 암컷의 난소와 난관에서만 발현이 관찰되는 등 PN-1 유전자는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현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PN-1은 여포 형성과정과 초기배 형성과정 등의 생식 및 발생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결핵성 및 악성 흉막염에서 TNF-$\alpha$, TGF-$\beta$ 및 섬유소용해계의 역할 (TNF-$\alpha$ TGF-$\beta$ and Fibrinolytic Parameters in Tuberculou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 심태선;양성은;지현숙;김미정;정훈;제갈양진;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49-161
    • /
    • 2000
  • 서론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후에도 약 50% 정도에서 흉막비후가 발생한다. 일부 연구에서 흉막액내 TNF-$\alpha$의 증가 및 섬유소융해의 장애등이 흉막비후의 원인으로 제시되었지만, 아직 흉막비후의 발생기전 또는 예측인자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TGF-$\beta$는 섬유화를 촉진시키며 결핵성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결핵성 흉막염 및 악성 흉막염은 림프구 우세성 삼출액 소견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alpha$, TGF-$\beta$ 그리고 섬유소 융해계 인자들을 측정하여 양 군간에 비교하였고, 결핵성 흉막염에서 치료 후 흉막비후 발생의 예측인자를 찾고자하였다. 방법 : 1997년 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으로 진단받고, 흉막액 검체가 보관되었던 각각 35명과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핵성 흉막염은 모두 4제병용 1차 항결핵 치료를 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임상상을 비교하였고, 흉막액에서 일반 흉막액 검사를 시행하고, TNF-$\alpha$, TGF-$\beta$1, tPA, PAI-1,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를 측정하였다.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서 치료를 종료한 30명을 대상으로 흉막비후가 2mm 미만인 군과 2mm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양 군간에 흉막액 검사소견 및 임상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TNF-$\alpha$ tPA, PAI-1,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 모두 말초혈액보다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 흉막액 환자에서는 plasminogen, $\alpha$2-antiplasmin, 그리고 D-dimer가 말초혈액보다 흉막액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TNF-$\alpha$, TGF-$\beta$, PAI-1, plasminogen, 그리고 $\alpha$2-antiplasmin 는 악성 흉막액 보다 결핵성 흉막액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항결핵치료 종료 후 2mm 이상의 흉막비후가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 사이에 TNF-$\alpha$, TGF-$\beta$ 그리고 섬유소융해계의 측정치들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흉막액 TNF-$\alpha$ TGF-$\beta$ 및 섬유소융해계가 흉막비후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흉막비후 발생의 예측인자는 찾지 못하였다. 또한 양 질환의 감별에도 기존의 검사들에 비하여 추가적 유용성은 없었다.

  • PDF

비만 불임여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Consideration of Obese Infertile Women)

  • 남윤성;정창진;김남근;윤태기;차광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3호
    • /
    • pp.209-214
    • /
    • 2002
  • Objective :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bese infertile women. Material and Method: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menstrual pattern, glucose, insulin, glucose/insulin ratio,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testosterone, free testosterone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of 15 obese infertile women were tested. Results: Of 15 obese infertile women, the number of diabetes mellitus,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was 2 (13%), 2 (13%), 2 (13%),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increased DHEA-S, testosterone, and free testosterone was 7 (47%), 1 (7%), 6 (40%), respectively. Notably, all patients showed increased PAI-1. Conclusions: Obesity is associated with infertility as well as many kinds of health problems.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and it also causes hyperandrogenism. Increased PAI-1 i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thrombophilia. Consequently, in the workup of obese infertile patient, many aspects of health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Urokinase Inhibitor Design Based on Pharmacophore Model Derived from Diverse Classes of Inhibitors

  • Shui, Liu;Bharatham, Nagakumar;Bharatham, Kavitha;Lee, Keun-Woo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제1권2호
    • /
    • pp.115-122
    • /
    • 2006
  • A three-dimensional pharmacophor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24 currently available inhibitors, which were rationally selected from 472 compounds with diverse molecular structure and bioactivity, for generating pharmacophore of uPA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s. The best hypothesis (Hypo1) comprised of five features, namely, one positive ionizable group, one hydrogen-bond acceptor group and three hydrophobic aromatic group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oot mean square deviation and cost difference were 0.973, 0.695, and 94.291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a highly predictive pharmacophore model was successfully obtained.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showed great success in predicting the activities of 251 known uPA inhibitors (test set)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37, and there was also none of the outcome hypotheses that had similar cost difference and RMS deviation (RMSD) with that of the initial hypothesis generated by Cat-Scramble validation test with 95% confidence level. Accordingly, our model should be reliable in identifying structurally diverse compounds with desired biological activity.

  • PDF

Regulation of the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and inflammatory environment vi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egulation of sperm in porcine uterine epithelial cells

  • Kim, Su-jin;Cheong, Hee-Tae;Park, Choon-keun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7-306
    • /
    • 2020
  •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nfirm that regulation of the PA and environment via TGF-β regulation of sperm by Percoll-separated in porcine uterine epithelial cells. And, i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ytokines (TGF-β1, 2 and 3, TGF-β receptor1 and 2; interleukin, IL-6, IL-8) and PA-related genes (urokinase-PA, uPA; tissue-PA, tPA; PA inhibitor, PAI; uPA-receptor, uPAR) by spermatozoa. The experiment used porcine uterus epithelial cells (pUECs) and uterine tissue epithelial cells, Boar sperm were separated by discontinuous Percoll density gradient (45/90%), and tissues were co-incubated with spermatozoa, followed by real-time PCR. PA activity was measured of sperm by discontinuous Percoll density gradient (45/90%) for 24 hours. To measure viability and acrosome damage of sperm double stained propidium iodide (PI) and SYBR-14 or FITC-PNA were used. In results, binding ratio of Percoll-separated sperm was found no differences, but sperms isolated from 90% Percoll layer reduced PA activity (p < 0.05). when co-cultured sperm selected Percoll in porcine uterus tissues epithelial cells, 90% layer sperm increased TGF-β R1, contrastively tPA and PAI-1 in comparison with control (p < 0.05). 45% sperm wa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uPA (p < 0.05). TGF-β decreased PA activity in the supernatant collected from pUECs (p < 0.05). Especially, The group including uPA, PAI-1 were induce sperm intact, while it was reduced in sperm damage when compared to control (p < 0.0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group of tPA and tPA+I in the dead sperm and acrosome damage compared to control. The expression of tPA and PAI showed a common response. Percoll-separated spermatozoa in 90% layer reduced tPA and IL-related gene mRNA expression. Thus, Percoll-sparated sperm in 90% layer show that it can suppress inflammation through increased expression of TGF-β and downregulation of PA and IL in epithelial cells compared to 45% layer Perc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