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a density

검색결과 1,735건 처리시간 0.038초

고지방과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의 항고지혈증 효과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Lion's Mane Mushroom (Hericium erinaceu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 장형석;윤기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70
    • /
    • 2017
  •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NC군), 표준 식이에 15%의 돈지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 콜레스테롤군(HFC군),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한 군(HFC+HE군) 등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NC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군과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동맥경화지수(AI)도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나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는 NC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NC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청의 AST, ALT 및 ALP 활성은 NC군과 유사하였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 5~6주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을 분석한 결과 NC군과 HFC군에 비해 변의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 변으로 배출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많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에 5%의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은 정상군의 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도 정상군과 유사하게 낮았으며, 동맥경화지수도 낮아 노루궁뎅이버섯이 흰쥐의 지질대사를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농촌 지역 주민의 혈청 Ferritin 수준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Serum Ferritin and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Some Korean Rural Residents)

  • 류소연;김기순;박종;강명근;한미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2호
    • /
    • pp.115-12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ferrit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444 adults over age 40 and under age 70 that lived in a rural area and participated in a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Rural Genomic Cohort Study (KRGCS). The MS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at least three of the followings : elevated blood pressure,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elevated serum triglycerides, elevated plasma glucose, or abdominal obesity. After adjustment for age, alcohol intake, menopausal status, body mass index (BMI),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dds ratios (ORs) for the prevalence of the MS by sex were calculated for quartiles of serum ferritin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S was more common in those persons , with the highest levels of serum ferritin, compared to persons with the lowest levels, in men (37.1% vs. 22.4%, p=0.006) and women (58.8% vs. 34.8, p<0.001). In both sexes, the greater the number of MS components presents, the greater the serum ferritin levels. After adjustment for age, alcohol intake, and menopausal status, the OR for metabolic syndrome, comparing the fourth quartile of ferritin with the first quartile, was 2.21 (95% confidence interval; CI=1.26-3.87; p-trend=0.024) in men and 2.10 (95% CI=1.40-3.17; p-trend=0.001) in women. However,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BMI, hs-CRP, and ALT, the ORs were statistically attenuated in both sexes. Conclusions : Moderately elevated serum ferritin levels were not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MS after adjusting for other risk facto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obtain evidenc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ferritin levels and the MS.

도담탕(導痰湯)이 뇌손상(腦損傷) 및 고혈압(高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odamtang(DDT) on Brain damage and Hypertension)

  • 임승민;안정조;최영;김용진;유호룡;박양춘;설인찬;황치원;조현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03-512
    • /
    • 2001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DT on the brain damage and hypertension. Methods : We observed the effect of Dodamtang(DDT) extract on KCN-induced coma, focal brain ischemia by MCA occlusion, cytotoxicity and protection of PC12 cells and B103 cells induced by amyloid ${\beta}$ protein(25-35). To prove the effect of DDT as a blood pressure depressant, we measured aldosterone, renin activity, catecholamine, sodium and NO density using the seperated blood plasma. Results : DDT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cytotoxicity of PC12 cells and B103 cells induced by amyloid ${\beta}$ protein(25-35)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proved the significant abridgement of brain ischemic area and edema induced by MCA occlusion, a critical decrease of neurologic deficitic grade in the fore-limbs. DDT didn't reduce the duration of KCN(1.87mg/kg iv.)-induced coma and prolonged the survival rate in the case of KCN(3.0mg/kg iv.)-induced coma by the ratio of 20%. While DDT increased the value of NO in SHR,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pressure of SHR and the value of aldosterone& epinephrine in SH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D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cerebral infarction, and brain damage.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의 증식(增殖)저해 작용(作用) 및 효모균체(酵母菌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의 변화(變化) (Growth Inhibition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araquat)

  • 박영실;김미림;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59-365
    • /
    • 1986
  • 대수증식(代數增殖) 중기(中期)의 S. cerevisiae에 $2{\times}10^{-3}M$의 paraquat를 처리(處理)하여 균체(菌體) 증식(增殖), 균체(菌體)의 일반적(一般的)형태 및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균체(菌體)의 증식(增殖)은 Paraquat 처리(處理) 후(後) 조해(阻害)되기 시작하여 처리(處理) 6시간(時間) 이후(以後) 완전(完全)히 조해(阻害)되었다. 이 기간동안 탁도(濁度)는 0. 1에서 3.6으로, 건물(乾物) 중량(中量) 1ml당 2.75mg으로부터 3.35mg으로, 총균수(總菌數)는 ml당2 $1.14{\times}10^8cell$로부터 $2.15{\times}10^8cell$로 증가(增加)되었으나 6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 역(逆)으로 감소되었고 사균율(死菌率)은 초기의 0.28%로부터 6시간(時間)째에는 5%, 12시간(時間)째에는 72%로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Paraquat 처리(處理)에 의하여 균체(菌體)의 크기가 균일(均一)치 못하게 되었으며 세포벽(細胞壁)의 두께가 $0.15{\mu}m$(대조구(對照區) $0.20{\mu}m$)로 얇아지는 반면에 외측(外側)의 전자(電子)밀도가 높아졌으며 12시간(時間) 이상(以上)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원형질막(原形質膜) 및 mitochondria와 같은 내막구조(內膜構造)가 와해되었다.

  • PDF

Platycodi radix beverage ameliorates postprandial lipemia response through lipid clearance of triglyceride-rich lipoprotei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 healthy subjects with a high-fat load

  • Lee, Hansol;Lim, Yeni;Park, Soo-yeon;Cho, Soo-Muk;Choe, Jeong-Sook;Jeong, Sewon;Kwak, Jin Sook;Kwon, O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5호
    • /
    • pp.371-377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Elevation of postprandial lipemia characterized by a rise in triglyceride (TG)-rich lipoproteins can increase the risk of atherogene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tprandial lipemia response to a single dietary fat/sugar load test and monitor beneficial changes induced by the consumption of Platycodi radix (AP) beverage in healthy subjects. SUBJECTS/METHODS: A total of 52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placebo or AP beverage group with a high-fat shake in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Postprandial blood was collected at 0, 1, 2, 4, and 6 h and analyzed for TG and lipoprotein lipase mass.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was determined in vitro. RESULTS: AP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in vitro ($IC_{50}=5mg/mL$). Compared to placebo beverage, AP beverage consumption with a high-fat shake induced significant increase of plasma lipoprotein lipase mass (P = 0.0111, ${\beta}$ estimate = 4.2948) with significant reduction in 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TG concentration (P = 0.038, ${\beta}$ estimate = -52.69) at 6 h. Based on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igh-fat dietary scores MEDFICTS and postprandial TG responses in VLDL (P = 0.0395, r = 0.2127),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6 h-postprandial VLDL TG respon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P consumption in subjects with MEDFICTS ${\geq}40$ (P = 0.0291, ${\beta}$ estimate = -7214). CONCLUSIONS: AP beverage might have potential to alleviate postprandial lipemia through inhibiting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elevating lipoprotein lipase mass. Subgroup analysis revealed that subjects with high-fat dietary pattern could be classified as responders to AP beverage among all subjects.

폐경 전, 폐경 후 여성의 혈청 25-hydroxyvitamin D 수준과대사증후군 위험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 김유진;문민선;양윤정;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20-29
    • /
    • 2012
  • Metabolic syndrome (MetS)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MetS among women during the postmenopausal period. Recently, accumulating studies have sugges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factors regarding MetS. However, evidence from postmenopausal women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and the MetS in Korean adult women aged 20-69 years (n = 2,618) by using the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geometric mean of plasma 25(OH)D were $17.16{\pm}6.28\;ng$/mL and $20.20{\pm}7.69\;ng$/mL for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vitamin D deficiency [25(OH)D < 12 ng/mL] were 22.5% and 14.4%, respectively. MetS was more prevalent in postmenopausal women (43.0%) compared with premenopausal women (11.2%). When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were categorized in quintiles,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the prevalence of MetS in both premo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in premenopausal women, compared with the lowest 25(OH)D quintile, the odds ratio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highest quintile was 0.57 (95% CI 0.34-0.95, $P_{trend}$ = 0.041) and for low serum HDL cholesterol 0.60 (95% CI 0.42-0.85, $P_{trend}$ = 0.014) after adjusting for all potential confounders.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e tendency of an inverse relationship for 25(OH)D regarding low serum HDL cholesterol (OR 0.78, 95% CI 0.50-1.22, $P_{trend}$ = 0.029) and a direct relationship with abdominal obesity (OR 1.94, 95% CI 1.01, 3.74, $P_{trend}$ = 0.049) i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in other research settings.

텍타이트와 흑요석의 보석학적 특징비교 - 중국 광동 텍타이트와 백두산 흑요석을 중심으로 - (Gemological Comparison between Gwangdong Tektite and Baikdusan Obsidian)

  • 김원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91
    • /
    • 2007
  • 천연유리로 만든 보석들의 보석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광동성 마오밍산 텍타이트와 백두산에서 채취한 흑요석을 대상으로 편광 및 반사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비중 및 굴절율 측정, X-선형광분석, ICP-MS분석,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중국산 텍타이트와 북한산 흑요석은 모두 검고, 패각상 단구를 나타내며, 수 mm 두께로 연마하였을 경우에는 모두 짙은 갈색의 반투명한 특징을 나타낸다. 텍타이트는 $4{\sim}10 cm$ 크기의 길쭉한 원통형 모양으로, 또는 직경이 $3{\sim}5 cm$인 구형으로 산출된다. 텍타이트의 표면에는 직경이 최대 3 mm인 함몰구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텍타이트의 모스경도는 $5{\sim}5.5$, 비중은 2.66이며, 단굴절을 일으키며, 굴절율은 1.51이다. 텍타이트 속에는 다수의 구형 기포가 분산되어 있으며, 규질성분이 높은 유리질물질이 존재한다. X-선회절 분석결과 비정질상태임이 확인되었다. 백두산 흑요석은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즉, 균질한 검은색의 흑요석과 백색 결정을 함유하고 있는 것 등이다. 주된 차이점인 굴절율은 $1.49{\sim}1.50$으로서 텍타이트보다는 작으며, 비중은 텍타이트보다 다소 큰 $2.67{\sim}2.68$을 나타낸다. 또한 구형 기포 내포물이 없는 대신 새니딘과 자철석 침상결정을 함유하고 있다.

MA법에 의한 Heusler Fe2VAl 합금분말의 제조 및 치밀화 (Fabrication and densification of Heusler Fe2VAl alloy powders by mechanical alloying)

  • 김광덕;이충효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Heusler $Fe_2VAl$ 열전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순금속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 처리하였다. $Fe_2VAl$ 열전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최적 볼밀조건 및 열처리 조건을 X선 회절분석과 시차주사 열량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60시간까지 볼밀 처리한 경우 bcc 구조의 ${\alpha}$-(Fe,V,Al) 고용체가 얻어졌다. 단상의 Heusler $Fe_2VAl$ 화합물은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60시간 동안 MA 처리 후 $700^{\circ}C$까지 열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MA 분말시료의 치밀화를 위하여 인가압력 60 MPa 및 소결온도 $900{\sim}1000^{\circ}C$에서 흑연다이를 사용하여 SPS 소결을 실시하였다. $1000^{\circ}C$에서 SPS 소결 후 얻어진 벌크체의 Vickers 경도는 870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SPS 법으로 얻어진 벌크체의 밀도측정 결과, 모든 시료에서 상대밀도 90 % 이상의 금속광택을 나타내는 치밀한 소결체임을 알 수 있었다.

PDP Rib용 Bi2O3-B2O3-ZnO계 유리의 물성과 구조 (Properties and Structures of Bi2O3-B2O3-ZnO Glasses for Application in Plasma Display Panels Rib)

  • 진영훈;전영욱;이병철;류봉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4-189
    • /
    • 2002
  • 본 연구는, PbO-base 유리계의 정보와의 비교 등을 통해 Bi-base 조성 PDP rib으로의 새로운 유리조성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이다. PbO와 유사한 밀도값 및 작업 용이성을 갖고 있는 Bi를 도입한 $Bi_2O_3-B_2O_3-ZnO$ 조성계에 대해, 연화점, 열팽창계수, 에칭성, 유전율 등의 특성측정 및 XPS로 조성에 따른 구조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Bi_2O_3$를 50∼80 wt%까지 폭넓게 첨가된 $Bi_2O_3-B_2O_3-ZnO$계 유리들은 조성에 따라 연화점이 400∼480$^{\circ}C$, 열팽창계수가 $68{\sim}72{\times}10^{-7}/^{\circ}C$, 유전상수는 13∼25으로서 동조성의 Pb-base 조성계와 유사한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Bi의 함유량이 70∼65 wt%의 조성의 경우, 성분 및 물성의 미세조정 등을 통해 rib 재료의 출발조성으로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Bi_2O_3$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O_{1s}$ peak에서의 결합에너지의 증가와 반가폭(FWHM)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가교산소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Taguchi법을 이용한 Ti/TiO2/IrO2-RuO2전극의 부식특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Corrosion Properties of Ti/TiO2/IrO2-RuO2 Electrodes via Taguchi Method)

  • 이득용;채경선;최형기;예경환;안중홍;송요승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82-588
    • /
    • 2002
  • Ti 기판에 TiO$_2$ 중간층을 플라즈마 용사법으로 증착 후 IrO$_2$-RuO$_2$ 박막을 졸-겔과 dip coating법으로 제조하였다. 코팅 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화합물과 glass brit을 첨가하였다. Taguchi법의 망대특성과 Lls(2$^1$$\times$3$^{7}$ )의 직교배열표를 이용하여 IrO$_2$-RuO$_2$ 박막의 최적조건인 인자와 수준 조합의 최적화를 전류밀도를 측정 분산분석하였다. 최적의 코팅조건은 각각 ethyl cellulose의 점도는 100cp, 건조온도 및 시간은 17$0^{\circ}C$ 20분, 열처리온도 및 시간은 75$0^{\circ}C$ 10분, 전도성 분말과 glass frit의 무게비는 99:5, 최종열처리시간은 120분, 주입산소량은 5sccm이었다. 분산분석결과, 유의수준이 $\alpha$=0.1인 통계적으로 90%신뢰공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