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method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7초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to support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 Aswidinnoor, Hajrial;Guntoro, Dwi;Sugiyanta, Sugiyanta;Wiyono, Suryo;Widodo, Widodo;Wijaya, Hermanu;Nindita, Anggi;Furqoni, Hafit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2-362
    • /
    • 2017
  •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combined with cultivation technology named IPB Prima was aimed to introduce IPB research product particularly for IPB rice variety with high-yield character that is IPB3S. The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was expected to be one of solution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and accelerate to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Research sctivity was consist of three main research unit i.e. (1)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2)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agement web-based system (IMS) for planning and monitoring IPB3S and IPB Prima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3) The development of High-capacity grain drying system in Fluidized-bed drying ang in-store drying system. The objective of main research i.e. to introduce IPB high-yield rice variety, to accelerate rice productivity to support self-sufficiency, to develop integrated system model through fluidized and in-store drying, and to develop web-based management-information system in result analyzing IPB3S and IPB Prima distribu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dissemination activities was arranged in two location. The first location was in Banyuwangi, East Java with total area 10.87 ha, consist of 8.91 ha planting area for IPB3S and 1.96 ha planting area for Ciherang. The second location is in Tegal, Middle Java with total planting area in 5 ha.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different treatment of varieties and cultivation method. The experiment consist of (1) rice variety Ciherang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0); (2) rice variety Ciherang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1); (3) rice variety IPB3S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2); (4) rice variety IPB3S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3). Planting distance for twin rows system is $50cm{\times}25cm{\times}12.5cm$. Planting distance for single row system is $25cm{\times}25cm$. The research result elucidated that productivity result in two location has different grades in similar trend. Experiment in Tegal resulted P0 result is $6.18ton\;ha^{-1}$, P1 result is $6.30ton\;ha^{-1}$, P2 result is $6.82ton\;ha^{-1}$, P3 result is $7.31ton\;ha^{-1}$. Experiment in Banyuwangi resulted optimum production of IPB3S variety productivity number are $7.29ton\;ha^{-1}$, while Ciherang are $6.73ton\;ha^{-1}$.

  • PDF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to support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 Aswidinnoor, Hajrial;Guntoro, Dwi;Sugiyanta, Sugiyanta;Wiyono, Suryo;Widodo, Suryo;Wijaya, Hermanu;Nindita, Anggi;Furqoni, Hafit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61-61
    • /
    • 2017
  •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combined with cultivation technology named IPB Prima was aimed to introduce IPB research product particularly for IPB rice variety with high-yield character that is IPB3S. The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was expected to be one of solution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and accelerate to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Research sctivity was consist of three main research unit i.e. (1)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2)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agement web-based system (IMS) for planning and monitoring IPB3S and IPB Prima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3) The development of High-capacity grain drying system in Fluidized-bed drying ang in-store drying system. The objective of main research i.e. to introduce IPB high-yield rice variety, to accelerate rice productivity to support self-sufficiency, to develop integrated system model through fluidized and in-store drying, and to develop web-based management-information system in result analyzing IPB3S and IPB Prima distribu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dissemination activities was arranged in two location. The first location was in Banyuwangi, East Java with total area 10.87 ha, consist of 8.91 ha planting area for IPB3S and 1.96 ha planting area for Ciherang. The second location is in Tegal, Middle Java with total planting area in 5 ha.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different treatment of varieties and cultivation method. The experiment consist of (1) rice variety Ciherang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0); (2) rice variety Ciherang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1); (3) rice variety IPB3S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2); (4) rice variety IPB3S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3). Planting distance for twin rows system is $50cm{\times}25cm{\times}12.5cm$. Planting distance for single row system is $25cm{\times}25{\times}cm$. The research result elucidated that productivity result in two location has different grades in similar trend. Experiment in Tegal resulted P0 result is $6.18ton\;ha^{-1}$, P1 result is $630ton\;ha^{-1}$, P2 result is $6.82ton\;ha^{-1}$, P3 result is $7.31ton\;ha^{-1}$. Experiment in Banyuwangi resulted optimum production of IPB3S variety productivity number are 7.29 ton ha-1, while Ciherang are $6.73ton\;ha^{-1}$.

  • PDF

흑미 무논점파 재배방법에 따른 수량 및 품질특성과 잡초방제체계 (Weed Control System,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 by Cropping System in Wet-Hill-Seeding Use Black Colored Rice)

  • 조승현;이덕렬;이송이;이기권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6-202
    • /
    • 2017
  • 흑미를 이용한 무논점파 재배방법에 따른 입모, 수량, 품질특성 등을 구명하고 효과적인 잡초방제체계를 결정하여 재배안정화를 유도함으로써 흑미를 이용한 무논점파 재배의 보급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흑미 무논점파 재배에서의 효과적인 잡초방제체계는 제초효과가 높고 약해에도 안전하였던 bromobutide thiobencarb (파종 전 5일) followed by bensulfuron mefenacet thiobencarb (파종 후 12일) 체계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에 따른 흑미의 입모수는 파종시기가 늦어지고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출수기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으나 재식밀도별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흑미의 가장 중요한 품질요소인 안토시안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지고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완전 착색 현미수량은 5월 30일과 6월 10일 파종 $3.3m^2$당 80주에서 이앙재배 대비 99%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흑미를 이용하여 무논점파 재배를 할 경우 적정 재식밀도는 $3.3m^2$당 80주였고 중만생종 품종으로 사료맥류 후작인 6월 10일 파종까지는 수량감소가 거의 없어 안전하게 재배가 가능하며 식용맥류 후작인 6월 20일 파종에서는 중만생종 품종은 지양하고 조생종 품종을 선택하여야만 비교적 안전하게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태적 특성에 따른 산림녹지의 관리방안 -부천시의 사례- (Managemtn Devices of Urban Forest in Accordance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Buncheon City)

  • 한봉호;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cological management based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in Bucheon city. The actual vegetation area in the survey sites(7,426,587$m^2$) consisted of Robinuia pseudoacacia forest(61.6%; 5,574,168 $m^2$), Pinus rigida forest(6.1%), Quercus mongolica community(3.2%), Q.spp.community(2.9%), etc.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58(/300$m^2$)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1) R. pseudoacacia forest, 2) R. pseudoacacia-Q.serrata community, 3) R. pseudoacacia-Q.mongolica community, 4) P.rigide forest, 5) P.rigida-Q.serrata community, 6) P.rigida-Q. mongolica community. As the result, the artificial planting forest was expected to the proceeded to Q. serrata community and Q.mongolica community. The ecological succesion stage in the survey sites (7,426,587$m^2$) was divided into 5 states based on actual vegetation, succession trend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in Bucheon; 1) Stage of impossible succession(4.7%, 2)Stage of inducible succession(78.7%), 3) Stage of progressive succession(2.7%), 4)Sage of last succession(1.4%), 5)Stage of native plant forest(12.5%). The ecological management of urban forest was suggested as the management method for succession promotion, according to density controlling and native species planting in Bucheon. Individual numbers of R. pseudoacacia might be reduced to 6~8 individuals/300$m^2$ at canopy, 9~21 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3~70% of total basal area at R. pseudoacacia forest. Individual numbers of P.rigida might be reduced to 8~9 individuals/300$m^2$ at canopy, 27~30individuals/300$m^2$ at under-story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8~75% of total basal area at P. rigida forest. 24 species that were selective by constancy analysis were chosen as the ecological appropriate species. Since, this studyis discussing the ares of urban forest and botanical ecology,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 climate, and vegetation will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

중부지역 참깨 간작 들깨 재배시 파종기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 on Growth, Yield, and Fatty Acid Content of Perilla Inter-cropped with Sesame in Central Korea)

  • 김영상;김기현;윤철구;허윤선;김익제;김영호;송용섭;이명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38-145
    • /
    • 2021
  • 본 연구는 중부지역에서 참깨와 들깨의 작부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중부지역에 적합한 파종기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참깨 간작 들깨의 작부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전작물로 재배되는 참깨가 후작물 들깨에 미치는 영향과 파종기에 따른 수량성을 검토하고 참깨 간작 들깨 작부체계를 위한 재배방법을 개발하였다. 참깨 재배 중 들깨 간작을 위하여 전작물로 재배되는 참깨의 특성은 조생이며 경장이 짧은 품종이 적당하였으며, 후작으로 재배되는 들깨의 파종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6월 중순, 6월 하순, 7월 초순에 들깨를 참깨 사이에 파종한 결과 6월 중순 파종에서 화방군수, 군당삭수 및 수량이 많았으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들깨 수량은 현저히 낮아졌다. 전작물 생육특성에 따른 영향으로는 조생이며 경장이 짧은 참깨 품종 재배지에서 들깨의 생육 및 수량이 우수하였다. 참깨 간작 들깨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한 줄 재배(조간×주간) 110×20 cm와 두 줄 재배(조간×주간) 40×40 cm로 재배한 결과 두 줄재배에서 수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부지역에 적합한 참깨 간작 들깨 재배는 전작으로 재배되는 참깨는 조생이며 경장이 작은 품종을 선정하여 재배하고 들깨는 두 줄로 참깨사이에 간작으로 6월 중순에 파종하는 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도재배법의 차이가 Japonica 및 Tongil 형 품종의 등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Ripening Characteristics of Japonica and Tongil Type in Rice (Oryza sativa L.))

  • 권규칠;박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8-308
    • /
    • 1988
  • 수도의 재배방법을 달리 하였을때 등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고자 1900년부터 1982년까지 재배되어온 장려품종중에서 10년대별로 3품종씩 총 32품종을 1930년대의 소비만식재배와 현재의 표준재배법으로 재배하여 등숙특성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법간의 이앙기차는 15일 이었으나 출수기차는, 5일 이었으며 이삭추출기간이 전품종 모두 5∼10일 사이에 있었는데, 조생종은 5일 전후이고, 중생종은 6∼7일, 만생종은 7∼10일로 길었다. 2. 이앙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99.8일 , 보비적식재배에서는 106.2일로 6.4일이 길었으나 출수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재배에서는 30.2일로 1.2일이 짧았다. 3. 출수기로부터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36.1일, 보비적식 재배에서는 33.6일로 2.5일이 빨랐고, 품종별로는 보비적식재배에서 Tongil 형 품종이 31.7일로 Japonica형 품종 34.1일보다, 2.4일이 빨랐으며, 소비만식재배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Tongil 형 품종들이 2.5일 빨랐다. 4. 등숙속도는 출수후 5∼15일 사이에 천립중의 일당 증가량이 847.8mg에서 1130mg으로 가장 왕성하였고, 품종별로 보면 Japonica형 품종들은 출수후 5일 경부터 완만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일경까지 200mg 이상 유지되고 있으나 Tongil 형 품종들은 출수후 30일경에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5. 기상요인(온도, 일사량)과 등숙속도와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유효등숙기 및 생리적 성숙기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기온이 높을수록 일사량이 않을수록,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는 기간이 단축되었다.

  • PDF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II. 접종균주에 따른 품종저항성의 변이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II. Variation of Varietal Resistance by Inoculating Different Fungus Isolates)

  • 김광호;권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9-314
    • /
    • 1988
  • 벼 품종의 잎짚무늬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정도가 접종균주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R. solani 균주와 저항성정도가 다른 품종을 이용하여 1986∼'87년 2년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1986년에는 벼 9개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른 7균주를 접종했고 1987년에는 벼 10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르거나 동일 배양형이지만 수집 지역이 달랐던 12균주를 성묘기에 접종시켜 발병을 유도하였으며 각 품종의 출수기와 출수 25일후에 피해도를 조사하였다. 1. 배양특성이 다른 접종균주간에 공시품종 후 평균 피해도의 차이가 있었고 배양 특성은 같으나 수집지역이 달랐던 균주간에도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품종간에 접종균주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피해도가 낮았던 품종 중에는 접종균주에 따른 피해도의 변이계수가 큰 품종도 있었다. 3. 공시품종들의 피해도는 접종균주에 따라서 수치상의 변이를 보였지만 품종과 균주간의 상호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병이 적게되는 품종은 어떤 균주를 접종해도 피해도가 낮은 편에 속했고 발병이 잘 되는 품종은 항상 피해도가 높은 편에 속했다. 4. 공시품종 중 가야벼, K3 및 칠성벼는 접종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안정적인 저항성반응을 보였다.

  • PDF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Carbon Reduction and Enhancement for Greenspace in Institutional Lands)

  • 조현길;박혜미;김진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의 공공용지 녹지에 의한 탄소의 연간 흡수 및 저장을 계량화하고,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녹지구조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도시는 규모와 분포지방을 고려하여 서울시, 대전시, 대구시, 춘천시, 순천시 등 총 5개 도시를 표본 선정하였다. 대상 도시의 항공사진 상에서 체계적 임의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표본 공공용지를 선정하고, 녹지의 수평적 및 수직적 구조를 실사하였다. 도시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개발한 수종별 계량모델을 적용하여, 식재수목에 의한 탄소의 연간 흡수 및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 공공용지의 교목밀도는 도시들 모두에 걸쳐 평균 1.4±0.1주/100㎡이고, 흉고직경은 14.9±0.2cm이었다. 녹지의 수직구조는 교목, 관목 또는 잔디만 식재한 단층구조의 비율이 다층구조보다 더 높았다. 식재수목에 의한 단위면적당 연간 탄소흡수량은 평균 0.65±0.04t/ha/yr이고, 단위면적당 탄소저장량은 7.37±0.47t/ha로서, 국내·외의 타 녹지공간 유형에 비해 낮은 탄소저감 효과를 보였다. 이는 연구대상 공공용지의 식재수목 밀도와 규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용지의 녹지는 공공용 전력소비에 따른 탄소배출을 도시에 따라 해마다 0.6(서울)~1.9%(춘천) 상쇄시키는 셈이었다. 잠재식재공간 내 수목식재는 기존 연간 탄소흡수량을 약 18% 추가 증진 가능하였다.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잠재식재공간의 적극적 수목식재, 상층 교목, 중층 교목 및 하층 관목으로 구성되는 다층 군식의 추진, 탄소흡수 능력이 양호한 교목종의 상층 식재, 상록수종의 토피어리, 관리회피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미진한 공공용지의 녹지구조 및 탄소상쇄를 구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작약 재배년한 단축을 위한 효과적인 재배법 (Effective Cultivation Method for Early Harvesting of Paeonia lactiflora Pall)

  • 김기재;박소득;박준홍;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3-87
    • /
    • 2006
  • 작약의 재배 기간을 단축시켜 생산비를 줄이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우스재배에서는 노지에 비하여 맹아의 출현과 개화가 촉진되었으나 지상부 및 뿌리의 생육이 불량하였고 2년생의 10a당 수량은 533kg으로 무처리 보다 19% 감수되었다. 분주묘 크기가 $100g{\sim}130g$인 대묘를 식재한 경우 2년생 뿌리 수량이 관행 재배 2년생에 비하여 15% 증수되었다. 대묘(노두 무게 $100{\sim}130g$)를 이랑너비 60cm, 포기사이 25cm로 밀식하고 흑색비닐을 식재부터 수확까지 2년간 피복한 것이 생육과 뿌리 품질이 양호하였고, 10 a당 뿌리수량이 902kg으로 가장 많았다. 작약을 $3{\sim}4$년 만에 수확하던 것에 대치하여 2년 만에 수확할 수 있는 방법은 대묘를 식재하거나, 대묘를 밀식하여 식재부터 수확까지 흑색비닐을 피복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농가관행 3년생에 비하여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나 10 a당 년간소득은 $15{\sim}28%$ 향상되어 재배기간을 1년 단축시키고 경지 이용율을 높이면서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쇄설성 유동파괴 사면 복구를 위한 토목섬유 보강토 공법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Method for Restoration of Debris Flow Failure Slopes)

  • 조용성;김유성;박인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93-101
    • /
    • 2005
  • 산업의 발달과 도시의 수평적 팽창에 따른 도로개설, 단지개발 등 토목사업의 경우 산지가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지형 특성을 고려할 때 경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또한 국내기후 특성상 연평균 강수량의 2/3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곤 또한 국부적인 게릴라성 집중호우의 발생 등으로 사면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외부환경에 의하여 일부 토사사면에서는 고함수비를 함유한 토사의 쇄설성 유동으로 인한 국부적 파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쇄설성 유동으로 인하여 사면이 파괴되었을 경우, 원상태로의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 불안정해진 사면토체가 충분히 안정할 수 있도록 경사를 조정하여 절취하는 대책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고, 보강사면의 녹화는 별도의 공종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쇄설성 유동파괴 토사사면에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원상태로의 복구가 가능하고, 보다 큰 안정성의 확보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표면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쇄설성 유동파괴 사면에 대하여 토목섬유 보강성토체를 조성하여 강우에 의한 침투수 유입방지와 세굴방지 등에 의한 경사면 안정성 확보 및 녹화가 진행되어 자연 친화적인 사면을 형성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