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Design Drawi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아파트단지 조경수목의 식재하자에 관한 연구 (Defects of Planting in Landscape Plants in Apartment Complex)

  • 임원현;김용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1-6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andscape architecture of apartment constructions and to minimize the users´ and builder´ loss in terms of finance and landscape due to defects in planting. After a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defects of planting work,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defects in planting of landscape plants on the basis of data from the drawing and defect-repair construction of 50 civil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and Kyongbook are from 1994 to 1998. The defect-ratio was analysed in terms of the species, shapes, and sizes of trees. It provides matters for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design of the landscape planting on the apartment unit. It also provided the future directions for landscape architecture in apartment constructions with regard to the selection of the planting trees, etc., given statistics on defect occurrence. The causes of defect of the landscape planting trees were not studied accurately in this study due to the board range of researched area, the differences of the planting ground environment, the management ability, and the parameters of judging planting defects. It is recommended that those areas should be researched in the future.

  • PDF

아파트 단지 인공지반의 계획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Evaluation on Apartment Artificial Ground)

  • 김유일;오정학;김인혜;윤홍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11
    • /
    • 1998
  • Landscaping on artificial ground is currently served as a means to imposing a greenery benefit on high-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sites. It functions as a sub-hierarchy in apartment planning such as ornamental element from the past. Major parking space tends to be allocated on the basement area in response to the required parking regulation. Therefore, competitive relatioinship between the parking and greenery space I limited outdoor of apartments leads to the development planning strategy and technology of artificial ground.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landscape planning on artificial ground of apartment complex through several approaches such as site survey, plan drawing analysis, and interview with related field experts. 15 survey apartment sites including Bundang Model, Shindaebang-dong, Pyoungchon Hyundai Apartments have been select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 First, scattering allocation of artificial ground between apartment building units is a dominant plan layout type among the survey sites. Even though unifying allocation type has an advantage to maximize underground parking space, it ha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proper soil ground base for nurturing plant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space should be planned by unifying allocation type placed separately from apartment units. This plan type can provide a balanced planting between soil and artificial ground on surface level. Seco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tegrate the whole planting base which involves architectural structure, drainage, and water proofing above the planting design. When considering that process as a professional subject dealing with natural material such as trees and shrubs, those tasks should be directed by landscape architectural divison and landscape architect. And planting area for artificial ground has to be specified in initial phase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step provides an opportunity to make a proper decision on structural load, drainage, and water proof design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management.

  • PDF

조경업체에서의 철쭉재배품종의 혼선 및 이용실태 분석 (Analysis of Confusion of Azalea Cultivars and Its Actual State of Use in Landscaping Businesses)

  • 최재진;박석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6-90
    • /
    • 2014
  • 국내 조경용 철쭉재배품종(이하, 철쭉류)에 대한 조경업체 종사자(설계자 및 시공자, 생산자)간 철쭉류별 혼선 및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조달청 등의 고시기관에서 고시한 철쭉류 명칭대로 생산농가에 주문 시 어떤 철쭉류가 배달되는지 조사해 철쭉류의 혼선 실태를 분석했다. 또한, 최근 완공된 아파트 3곳의 식재설계 도면에서 철쭉류의 식재설계 상황, 도면상의 철쭉류와 실제 식재된 철쭉류와의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고시된 철쭉류 명칭대로 주문한 결과, 영산홍 명칭으로는 베니, 쓰리, 대왕의 3가지 철쭉류가 배달되었고, 자산홍의 명칭으로는 자산홍, 한철의 2가지 철쭉류가 주문되었다. 영산홍은 베니, 쓰리, 대왕 등을 통칭하는 명칭으로 생산자와 주문자간 혼선을 빚었다. 자산홍의 경우에는 한철품종과 형질이 유사하여 생산자가 재배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였거나, 주문자가 쉽게 구분하지 못해 두 재배품종을 구분하지 않고 보냈을 가능성도 있다. 식재설계 도면상 철쭉류 명칭은 고시기관에서 고시한 철쭉류 명칭을 사용하거나, 철쭉, 영산홍 등의 포괄적이고 불분명한 명칭으로 기재되었다. 식재설계 도면에 기재된 철쭉류는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전혀 다른 철쭉류가 식재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설계자가 식재설계 도면에 정확한 재배품종명을 기재하지 않고, 시공자는 각 철쭉류의 분류 특성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비슷한 꽃색이나 구입이 용이한 철쭉류를 시공 현장조건에 맞게 심기 때문일 것이다.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특성 연구 (Planting Characteristics of Pyeonghwa Park in World Cup Park, Seoul)

  • 한봉호;배정희;김지석;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2-5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수목식재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기능을 구분하고 기능별 식재특성을 연구하였다. 우선 식재기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공원내 적용 가능한 식재기능을 도출하였고, 대상지 설계의도와 환경요인 분석을 거쳐 이를 적용하였다. 식재특성 분석은 우점 식재종 분포와 층위 구성을 전체 도면화한 후 식재기능별 표본 조사구를 설정하여 배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대상지 식재기능은 경관식재의 정형식재, 자연경관식재와 완충식재의 방음식재, 차폐식재, 녹음식재의 녹음식재, 지피식재로 구분되었다. 우점식재종은 소나무, 느티나무가 넓게 식재되었고, 식재기능별로는 자연경관식재지내 소나무 이외 다양한 수종이 도입되어 있었다. 이는 공원조성이전 식재된 기념식수목으로 과도한 종의 다양성과 수종간 부조화로 의도한 자연경관 형성에 부적합하였다. 방음식재지는 지형 조정과 키 큰수목을 배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하층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The Yongsan Governor General Official Residenc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 김해경;유주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8-129
    • /
    • 2011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 신문기사 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잔디깍기와 TIBA 처리가 잔디 인공군락의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wing and TIBA(Triiodobenzoic acid) on Dry Matter Production of Cultivated Zoysia japonica Community)

  • 진희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135-149
    • /
    • 1987
  • An experiment was made in order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ysia japonica under control, mowing and TIBA treatment conditions at the experimental farm of Kyung Hee University. The field was planned by the split plot design method and each treatment was given to two plots (40$\times$40 and 100$\times$100 mm) and was replicated three times. Each plot was 9$m^2$ for Zoysia japonica. The sampling of each plot was taken once a week after sowing. In order to know the dry matter of total standing crops, each organ of plants was kept at 9$0^{\circ}C$ and weighed. Total leaf area of a plant was measured by drawing method. The author adopted the growth analysis of English School. Holocellulose analysis by sodium chlorite method was made. The increasing rate of LAI was high in all plots between 10th and 12th week after sowing and high growth rate of assimilatory organ was observed in low density area of TIBA plot. Between 10th and 12th week after sowing all the experimental plots showed high increasing rate of standing crop and in the process of growth each density area of TIBA plot recorded high increasing rate. In all the plots F/C ratio and RGR were high when the growth rate of assimilatory organ was increasing cosiderably, and the higher the planting density was, the higher F/C ratio was recorded. In all the plots NAR recorded maximum rate before the growth period to show a high increase of RGR. In the process of the growth TIBA plot showed high icnreasing rate of NAR. CGR showed high value in high density areas of all the plots and reached its maximum in the 13th week after sowing. Compared to the other experimental areas the low planting density areas of control plot and TIBA plot showed considerable earlier lignification indicating low Holocellulose content in the growth process.

  • PDF

문화재 수리의 조경분야 공종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Cultural Heritage Industry)

  • 김민선;이재용;김충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9-66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재 수리에서 조경분야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업역을 정립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조경수리 공종 분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식재공사 중심으로 조경수리 공종을 명시하였고 품셈은 조경분야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다만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시방서와 품셈을 준용하도록 하여 문화재 수리에서 조경수리 공종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 시행된 문화재수리 사업의 내용을 토대로 조경수리 공종을 파악하였다. 과거 1961년부터 1980년에는 수목식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경시설도 조경수리로 명시되었고 이 공종들 모두 현재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공종으로도 정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8년부터 2020년의 3년간 문화재를 대상으로 한 실시설계용역 입찰공고서에 명시된 공종 중 건축물보수 및 단청, 식물보호, 보존처리 분야 공종을 제외하고 종합한 결과 총 20개의 공종이 확인되었다. 20개 공종 모두 건설산업의 조경공사 공종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조경수리 공종은 건설산업 조경공사 공종 분류를 토대로 하되 문화재 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부지조성 및 대지조형, 식재공사, 시설물공사, 포장공사, 생태조경공사, 식생유지관리의 총 6개로 분류하였다. 국내 산업의 한 분야로 조경이 정착해가던 시기에 이미 다양한 조경시설도 건축분야 수리가 아닌 조경수리로 시행되었으므로 이 시설을 모두 포함하여 조경수리 공종이 문화재 시방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Aesthetic Characteristic Study on Sportswear Uniform - Concentrating on Sportswear Uniform Applying Ensign Image -

  • Kan, Ho-Sup;Kim, Tae-Hee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3호
    • /
    • pp.99-115
    • /
    • 2008
  • International exchange gets active in nations with the increase of Internet use and heading toward digital age. Thus the communication conveying image of nations effective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 international society. Sports events are regarded as important international exchange events and good opportunities for public relations of one's own country and taken as tools of planting good images in other nations. This study survey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uniform through the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fi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ortswear uniform applying the image of national ensign and investigates the origin and start time in Korea of selected 6 sports items. As a result of finding the expression way of ensign image and draw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use and variation of ensign colors, the use of colors other than ensign and reflection of ensign form in collected 60 sports uniforms, this study could draw the symbolical beauty, beauty of variation and beauty of brevity. First, symbolical beauty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ing uniforms by using the pattern ensign symbolizes and ensign colors themselves or enlarging a part of ensign. Second, beauty of variation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creating geometrical new patterns in uniform through the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ensign shape, or transforming the colors themselves of ensign. Third, beauty of brevity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using other colors only as decorative factor while applying the main colors of ensign to the most part of uniform, or unifying the uniforms with only one color of ensign. As a result of survey, the proportion of the symbolical beauty was highest in summer season and beauty of brevity and beauty of variation followed and the proportion of beauty of variation was highest and the symbolical beauty and beauty of brevity followed after that in winter season. This study found the way of expressing image of one's own country in sports uniform through this article, expecting the exact recognition on sports uniform and the diversity of sports uniform design in which the images of the nation are expressed more variously.

조경시설물 전산 도면의 레이어 표준화 방안 (The Layer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ed Landscape Facility Drawings)

  • 김충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90
    • /
    • 2011
  • 조경 도면이 전산화되면서 레이어의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식재도면에 비해 조경시설물 도면의 레이어 분류 체계 정립은 늦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시설물 전산 도면의 레이어 분류체계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시작단계에서 "건설 CALS/EC전산도면 작성표준 v1. 1"과 "전자설계도서 납품지침"은 시설물 도면에 적합하지 않은 레이어의 분류체계로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10개 조경설계사무소에서 작성된 1,154개 도면을 수집하여 레이어의 작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설 CALS/EC전산도면 작성표준"이 조경시설물 도면에 도입되지 않고, 레이어의 46%가 불명확하게 작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ISO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15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레이어 분류 체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레이어 분류체계는 실무진이 참조하는 법률, 조경설계 기준, 조경공사표준시방서, 공공기관의 설계지침 등을 근거로 설정되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레이어 분류체계가 조경설계 사무실에서 조기에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라북도 민유임도의 시기별 공종변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Change of Construction Type for the Non-national Forest Road in Jeollabuk-do)

  • 손재호;박종민;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52-660
    • /
    • 2007
  • 1989년부터 2005년까지 시공된 전라북도 내의 민유임도 216개 노선의 설계도서를 대상으로 임도 설계상의 주요 공종변화를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의 연평균 민유임도 시설거리는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전단계에 비해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후 대폭 감소하였다. 토사절취작업은 1990년부터 블도저에서 블도저와 굴삭기 혼용으로 바뀌었다. 비탈면 녹화공은 초기에는 잔디심기와 족제비싸리심기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녹색임도정책 시행단계(2단계)부터 종자뿜어붙이기와 줄파종의 혼용, Coir net 또는 볏짚거적 덮기 등으로 발전하였다. 횡단배수관의 경우, 배수관의 설치 간격은 3단계에 평균 92 m로 감소하였고, 규격은 2단계 이후에 대부분 600 mm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재료는 모두 파형강관으로 설계되었다. 콘크리트포장은 1단계의 평균 40 m/km에서 3단계에는 240 m/km로 현저히 증가하여 임도의 안정성과 기능성이 제고되었다. 비탈안정구조물은 석축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1993년 이후부터 콘크리트옹벽과 돌망태옹벽 등도 많이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공종을 대상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