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ation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s of Silvopastoral Practice on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in a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51-15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ning on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Japanese larch plantation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64%, 35%, and control) were applied. Before and after thinning, the understory plant species increased its number from 48 (7 tree species, 7 shrubs species, 28 herbaceous species, and 6 woody climbers) to 100 (11 tree species, 15 shrub species, 67 herbaceous species, and 7 woody climbers). Thinn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plot A (325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plot B (575 stems/ha) and control plot (1,150 stems/ha). In three years after thinning, understory aboveground biomass (kg/ha) of herbs were 523 for control, 1,230 for plot B, and 1,288 for plot A. The canopy coverage had remarkable influence on the understory biomass production, resulting in relatively small amount of herbage production on control plo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inned plots and unthinned plo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inned plots (p<0.05).

산불발생 후 소나무 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Mortality in Pine Stand and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이시영;전계원;이명욱;전근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1-79
    • /
    • 2008
  • 산불피해 임지의 식생복원 정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후 임목피해, 식생회복력 등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 고사율은 수간 및 수관의 피해흔적이 심할수록 피해율이 높았다. 산불피해지에 있어서 수관화에 의해 임분이 전소되는 피해를 받은 지역에서의 식생회복은 대부분이 매토종자 및 맹아에 의한 식생의 회복이 진행되었다. 식생회복과 복원력은 전생 임분의 식생상태와 토심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의 경우 자작나무 조림지의 경우에는 병충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소나무, 해송 조림지의 경우 입지에 따른 생장차이 보다는 조사지내 개체목간의 생장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인공조림(人工造林) 침엽수재(針葉樹材)의 열판건조(熱板乾燥) (Press-drying of Plantation Softwood Lumber)

  • 정희석;이남호;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61-66
    • /
    • 1993
  • 24mm-thick specimens from three species of plantation-grown softwood were press dried under two platen pressures of 1.75kgf/$cm^2$ and 3.50kgf/$cm^2$ to obtain drying information regarding to drying rate, thickness shrinkage and drying defects. The influence of platen pressure on drying fare in range of moisture content (30 to 10 percent) increased for pitch pine and larch, but reduced for korean white pine at higher pressure. Thickness shrinkage was increased at the higher pressure, and estimated thickness shrinkage at final MC of 10 percent became unrealistically greater for specimens containing higher final moisture content under the great influence of compressive strain. The effects of pressure on the amount of surface checks and honeycombing were different from species used. These species should have applied lower temperature than 177$^{\circ}C$ in this study to reduce surface checks and honeycombing.

  • PDF

Application of Finite Mixture to Characterise Degraded Gmelina arborea Roxb Plantation in Omo Forest Reserve, Nigeria

  • Ogana, Friday Nwabuez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51-456
    • /
    • 2018
  • The use of single component distribution to describe the irregular stand structure of degraded forest often lead to bias. Such biasness can be overcome by the application of finite mixture distrib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nite mixture distribution was used to characterise the irregular stand structure of the Gmelina arborea plantation in Omo forest reserve. Thirty plots, ten each from the three stands established in 1984, 1990 and 2005 were used. The data were pooled per stand and fitted. Four finite mixture distributions including normal mixture, lognormal mixture, gamma mixture and Weibull mixture were considered.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was used to fit the finite mixture distributions to the data. Model assessment was based on negative loglikelihood value ($-{\Lambda}{\Lambda}$),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xture distributions provide accurate and precise characterisation of the irregular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degraded Gmelina arborea stands. The $-{\Lambda}{\Lambda}$, AIC, BIC and RMSE values ranged from -715.233 to -348.375, 703.926 to 1433.588, 718.598 to 1451.334 and 3.003 to 7.492, respectively. Their performances were relatively the same. This approach can be used to describe other irregular forest stand structures, especially the multi-species forest.

강원도 춘천지역 비시업 잣나무림의 현존량과 양분분포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Unthinned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 한상균;이명종;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77-91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al data for effective nutrient control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f the Korean white pine st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the unthinned Korean white pine plantation which is locate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Aboveground of the stand was estimated by the method of all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ree component(kg)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cm). Total above ground biomass of the stand was 127.9t/ha. The relative ratio of stem, living branch, needle compared with total aboveground biomass were 57.9, 16.1, 12.7 and 13.3%, respectively. All nutrients were highly accumulated in needle and N had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total amount of nutrient accumulation and followed by Ca, K, Mg, P. The amount of nutrient restoration in the Korean white pine was 6,852kg/ha for N, 1,916kg/ha for Ca, 889kg/ha for K, 518kg/ha for Mg, and 124kg/ha for P.

National Food Distribu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Large State Plantations in Indonesia

  • Moehamad Irwan MAULANA;Sucherly SUCHERLY;Kurniawan SAEFULLAH;Martha Fani CAHYANDITO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59-70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rategic business conceptual model for large state plantations in West Java Province and Banten Province, Indonesia. The model was built through causal relationships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marketing strategies and business strategies tha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n large state plantations. The plantation sector provides the largest contribution to gross domestic product and is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food distribution effor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a literature review adapted from Pret and Logan (2019), which followed the guidelines of Tranfield et al. (2003), derived from the Scopus website with Q1/Q2 quartiles and inclusion/exclusion criteria published from 2012 to 2021. Results: Based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e constructed the strategic business conceptual model for large state plantations based on a combination of four causal and interrelationship variables tha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namely, industry attractiveness, unique capabilities, innovation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strategy. Conclusions: This resear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attractiveness variables and unique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can affect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strategy and innovation management as intervening variables in the plantation sector, especially large state plantations, which have not been found in previous studies.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A Study on Ai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eet Green Areas in Seoul, Korea)

  • 정희은;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 내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수종, 식재유형, 가로녹지 구조, 녹량(녹지용적)에 따른 기온 변화량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종별 비교 가능한 3종 이상의 가로수가 식재된 유형은 교목 1열+관목이었으며,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 간 분석에서 소나무 $1.35^{\circ}C$, 느티나무 $1.84^{\circ}C$, 은행나무 $2.00^{\circ}C$, 양버즘나무 $2.57^{\circ}C$이었다. 규격이 크고 수관폭이 넓은 수종은 가로변에 그늘을 제공하여 기온 저감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로수 식재유형과 기온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교목 1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1.80^{\circ}C$, 교목 2열 유형은 평균기온 차이 $2.15^{\circ}C$로 교목 열수 증가에 따라 보차간 기온차이 평균값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가로녹지 구조별 기온 저감 효과 분석결과는 교목 유형 $1.94^{\circ}C$, 교목+관목 유형 $2.49^{\circ}C$, 교목+아교목+관목 유형 $2.57^{\circ}C$이었으며, 기온저감은 단층구조보다 다층구조에서 효과적이었다. 녹량(녹지용적량)과 기온저감량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녹량이 많을수록 기온저감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수관용적이 크고 교목층의 열수가 많으며, 다층구조인 식재형태는 가로 내 녹량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도폭 3m 이하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작은 낙엽활엽수와 최대 1m의 띠녹지 조성을 통한 교목+관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보도폭 3m 이상인 경우에는 수관용적이 큰 낙엽활엽수 다열 식재 및 1m 이상의 띠녹지 조성, 교목과 관목뿐만 아니라, 아교목 성상의 수목 식재를 통한 다층구조 녹지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림지 시비 처리에 따른 리기다소나무 벌채지 내 식재 6년 후 느티나무 조림지 토양 및 조림목 생장 특성 (The Growth Performances and Soil Properties of Planted Zelkova serrata Trees according to Fertilization in Harvested Pinus rigida Plantation over 6 Years after Planting)

  • 양아람;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29-39
    • /
    • 2019
  • 본 연구는 조림 후 시비 처리에 따른 리기다소나무 벌채지 내 식재된 느티나무 조림지의 토양 특성 변화와 조림목의 초기 생육 특성을 분석하여 조림목의 생존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시비량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광릉시험림이며, 2011년 3월 말 느티나무 용기묘 1-0을 3000본 $ha^{-1}$ 밀도로 식재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5월에 산림용고형복합비료(N:P:K=3:4:1)를 이용하여 3가지 수준(대조구: 무시비, F1: $180kg\;ha^{-1}$, F2: $360kg\;ha^{-1}$)에 따라 시비 처리를 하였다. 시비 처리 전(2011년)과 후(2012, 2017년)에 조림지의 토양 특성을 분석하였고, 느티나무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측정하여 H/D율과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시비 수준에 따른 토양 특성은 조사 시기별 차이는 없었으나, 조림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는 전질소 및 유효인산 농도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다. 시비 수준에 따른 느티나무 조림목의 근원경, 수고 및 수간 재적 생장은 식재 2년차부터 F2 처리구에서 다른 조사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느티나무 조림목이 초기 생장 시 많은 양분을 필요로 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생존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식재 초기에 생장 저하로 하층 식생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식재 6년 후부터 F1과 F2 처리구간 조림목의 수고와 수간 재적 생장 차이가 없어 결과적으로는 리기다소나무 벌채지 내 느티나무 식재 시 조림목의 생존 및 품질 향상과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F1 수준의 시비량을 제안할 수 있다.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Creation Method of Green Space for Port Ecosystem Using the Halophytes)

  • 명현호;이점숙;전지영;송만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50-56
    • /
    • 2011
  •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한국잔디 재배지에서 가축분뇨액비의 활용 연구 (Livestock liquid fertilizer Utilization study of Zoysiagrass growing in the field)

  • 함선규;임지연;이영민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11-20
    • /
    • 2014
  • 최근 국내 돼지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분뇨배출량이 증가되고 있으나 유엔협약에 의해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 되었다. 이에 가축분뇨(액비)의 대량살포장소 발굴목적으로 국내에서 잔디 생산량이 가장 많은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잔디재배 농가를 선정하였다. 한국잔디 재배지에서 화학비료뿐만 아니라 가축분뇨액비를 추가 시비하여 잔디생육, 토양화학성 및 논도랑 유출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액비를 혼합 시비하면 잔디의 생육과 체내 양분 축적 면에서 화학비료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었다. 그리고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고 토양의 유효미생물증식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잔디 재배 시 가축분뇨액비의 살포는 화학비료 사용량을 대부분 줄일 수 있으며 잔디재배농가의 생산비 절감에도 효과적이고 가축분뇨의 처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가축분뇨액비 시비에 따른 주변 수계 오염이 높아졌다. 향후, 가축분뇨액비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시비방법의 개선방안 강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