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growth traits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인위적인 수분처리가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생장과 엽형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water treatment on the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mandshurica)

  • 정진철;최정호;박경우;유세걸;이수원;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5-141
    • /
    • 2007
  •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sim}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근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sim}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sim}30%(D)$ 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 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용 다얼·다수성 옥수수의 생육특성·생체 및 건물 수량 (Growth Characteristics·Fresh and Dry Weight of the Corn Inbred Lines with Multi-Tiller and Ear using Forage Crop)

  • 나승연;이문섭;양재현;이경은;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91-195
    • /
    • 2016
  •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 중에서 분얼이 많고 생육이 우수한 계통을 이용하여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성된 계통의 평균 간장은 174.7 cm, 개화소요일수는 61일, 주당분얼수는 2.3개, 착수고는 64.1 cm로 나타났다. 2. 평균 도복율은 2정도로 모든 계통에서 내도복성을 가졌다. 3. 주당 평균 이삭중은 135.9 g으로 CNUB14T-01에서 249.0 g으로 가장 높았다. 4. 공시계통의 주당 평균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694.4 g과 183.7 g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건조 비율은 30%로 나타났다. 5. 공시계통 중에서 CNUA14T-07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2367.8 g과 532.8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optimal balance between sexual and asexual reproduction in variable environments: a systematic review

  • Yang, Yun Young;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2호
    • /
    • pp.89-106
    • /
    • 2016
  • Many plant species have two modes of reproduction: sexual and asexual. Both modes of reproduction have often been viewed as adaptations to temporally or spatially variable environments. The plant should adjust partitioning to match changes in the estimated success of the two reproductive modes. Perennial plants showed that favorable habitats in soil nutrients or water content tend to promote clonal growth over sexual reproduction. In contrast, under high light-quantity conditions, clonal plants tend to allocate more biomass to sexual reproduction and less to clonal propagation. On the other hand, plants with chasmogamous and cleistogamous flowers provides with a greater tendency of the opportunity to ensure some seed set in any stressfu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ow light, low soil nutrients, or low soil moisture. It is considered that vegetative reproduction has high competitive ability and is the major means to expand established population of perennial plants, whereas cleistogamous reproduction is insurance to persist in stressful sites due to being strong. Chasmogamous reproduction mainly enhances established and new population. Therefore, the functions of sexual and asexual propagules of perennial or annual plants differ from each other. These traits of propagule thus determine its success at a particular region of any environmental gradients. Eventually, if environmental resources or stress levels change in either space or time, species composition will probably also change. The reason based on which the plants differ with respect to favored reproduction modes in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may be involved in their specific realized niche.

동부(Vigna unguiculata)의 종자 생산 요소에 미치는 모식물과 부식물의 영향 (Maternal and Paternal Effects on Seed Yield Components in Cowpea (Vigna unguiculata))

  • 강혜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59-170
    • /
    • 199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age, and ovule position in a pod on seed development, weight, and progeny performance, using an annual crop commonly called cowpea (Vigna unguiculata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greenhouse. Nine maternal par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3 individuals were chosen as paternal parents based on the male fitness components. Five types of hand-pollination were attempted on each flower of the maternal plant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aternal identif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arentage and ovule position affected the pattern of seed development. Ovules in the middle position of the pod exhibited a much higher probability of seed maturation than those at the stylar and basal positions, confirming the position effect.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lso appeared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seed weight, although it was not possible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due t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arents. Mixed pollination tended to yield heavier seeds than other paternal parents. Ovules in the middle and basal end positions produced heavier seeds than those at the stylar end regardles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age. Seed weight was independent of all measurements of progeny performance. At week 2 after germination significant paternal effects were found to be mediated through the ovule position in a pod. In particular, the progeny derived from self-pollination performed worse than the progeny from other paternal parentage. The progeny performance at week 4 after germination was affected by maternal parents independently of seed weight. These results show that paternal and maternal effects were quite consistent from the seed development to early growth of the progeny. Consequently, maternal and paternal effects on seed development and weight, and progeny performance may reflect, at least to some extent, genetic contribution of both parents. If so, it is possible for sexual selection on maternal and paternal function to generate the evolution of reproductive traits related to seed production.

  • PDF

양파 유기재배에서 주요 품종간 생육 및 수량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among Principal Bulb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in Organic Growing)

  • 민병규;이선영;문진성;하인종;황해준;임채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58
    • /
    • 2015
  • 본 시험은 유기재배에 적합한 양파 품종 선발을 통해 유기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가 선호도, 육성계통, 육종회사, 고정종, 교배종, 국내종, 외국종 등을 고려하여 15개 품종을 선발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품종들은 저온생장성, 동해 저항성, 추대, 분구 등 생리장해에 대한 저항성, 수확기 도복률 및 상품 수량 등 5개 영역에서 평가되었다. 교배종에서는 e-조은, 카타마루, 팝, 아트, 신기한 등이, 교배종에서는 창녕대고, 서울대고, 천주중고 등이 유기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비록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되지는 못했지만, 선파워는 구 특성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고정종, 교배종간에는 저온생장성(엽초경), 수확기 도복률(5월 24일)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국내종, 외국종 간에는 월동 후 결주율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칼륨 독성에 의한 배추의 생리적 특성과 형태적 변화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campestris) to Potassium Toxicity)

  • 이택종;루이텔 비노드;허권;최봉준;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1-319
    • /
    • 2011
  • 본 연구는 칼륨의 독성에 따른 배추의 생육과 생리적 특성 그리고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00mM의 칼륨 농도 처리구까지 전체적인 생육이 증가한 반면, 600mM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칼륨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N, P, K, 함량은 증가하였지만 Ca, Mg, Na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미량원소, Fe, Mn, Zn의 경우 100mM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당 Chl a, b와 carotenoid 함량은 600mM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증가한 엽록소 함량에 비해 광합성효율($F_v/F_m$)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CO_2$ 동화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칼륨 과다에 의한 삼투스트레스의 결과로 기공의 퇴화와 $CO_2$ 동화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형태학적 관찰로 확인되었다. Total free amino acid의 경우 100mM 처리구까지 칼륨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600mM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의 배추는100mM의 칼륨 농도까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아까시나무의 용재 특성 향상을 위한 우량개체 선발 (Plus Tree Selection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or Tree Improvement of Timber Characteristics)

  • 김태림;임혜민;이경미;오창영;이일환;황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99
    • /
    • 2023
  • 기후변화 대응 바이오매스 생산이 우수한 활엽수 경제 조림수종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까시나무는 탄소흡수능이 우수한 속성수로서 국내 적응성이 뛰어나고 경제적, 환경적 기능이 우수하다. 본 연구는 비교선발법을 이용하여 용재수로서 가치가 높은 아까시나무 우량개체 64본을 선발하였다. 경기, 강원, 충청, 경상 등 4개 지역으로 나누어서 생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선발목들은 비교목들에 비해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통직성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형질을 보였다. 특히 충청지역의 선발목들이 가장 우수한 생장특성을 나타냈으며, 임분별로는 고성, 천안, 안동 집단이 우량집단으로 나타났다. 생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토양 성분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단위 산림 조림 지역 혹은 호수와 저수지가 인접한 지역의 선발목이 수고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iderophore-producing rhizobacteria reduce heavy metal-induced oxidative stress in Panax ginseng Meyer

  • Huo, Yue;Kang, Jong Pyo;Ahn, Jong Chan;Kim, Yeon Ju;Piao, Chun Hong;Yang, Dong Uk;Yang, Deok 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218-227
    • /
    • 2021
  • Background: Panax ginse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s and is usually harvested after 5 to 6 years of cultivation in Korea. Heavy metal (HM) exposure is a type of abiotic stress that can induce oxidative stress and decrease the quality of the ginseng crop. Siderophore-producing rhizobacteria (SPR) may be capable of bioremediating HM contamination. Methods: Several isolates from ginseng rhizosphere were evaluated by in vitro screening of their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and HM resistance. Subsequently, in planta (pot tests) and in vitro (medium test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PR ability to reduce oxidative stress and enhance HM resistance in P. ginseng inoculated with the SPR candidate. Results: In vitro tests revealed that the siderophore-producing Mesorhizobium panacihumi DCY119T had higher HM resistance than the other tested isolates and was selected as the SPR candidate. In the planta experiments, 2-year-old ginseng seedlings exposed to 25 mL (500 mM) Fe solution had lower biomass and highe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 than control seedlings. In contrast, seedlings treated with 108 CFU/mL DCY119T for 10 minutes had higher biomass and higher levels of antioxidant gene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 chemicals than untreated seedlings. When Fe concentration in the medium was increased, DCY119T can produce siderophores and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to reduce Fe toxicity in addition to providing indole-3-acetic acid to promote seedling growth, thereby conferring inoculated ginseng with HM resistance.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SPR DCY119T can potentially be used for bioremediation of HM contamination.

멸종위기 야생생물 금개구리 (Pelophylax chosenicus)의 난 발생 및 먹이 종류에 따른 올챙이의 성장 및 생존율 분석 (Characterizing Development of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Pelophylax chosenicus) Focused on Egg Development and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Tadpoles with Different Feed)

  • 김근식;송예빈;박창득;강동원;윤주덕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21-228
    • /
    • 2020
  • 멸종위기 양서류 금개구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난 발생 및 올챙이 초기 먹이 종류에 따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육수조 내에서 자연산란한 금개구리의 수정란을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교질층에 둘러싸인 구형으로, 동물극과 식물극이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수온 27.0±1.0℃에서 수정 후 31시간 뒤에 부화하였으며, 수정 후 175시간 뒤에 아가미 뚜껑을 완성하였다. 개구 이후 단계부터 35일간 먹이종류별 성장 및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증체율(각각 5843.9%, 5736.3%), 평균 일일성장률 (각각 11.67%, 11.62%)이 다른 공급군들 (증체율: 641.8~4625.2%, 일일성장률: 5.72~11.01%)에 비해 가장 높았고(P<0.05), 야채 공급군이 가장 낮았다(P<0.05). 평균 사료 효율은 식물성 사료공급군이 177.83%로 야채 공급군 10.29%에 비해 약 17배 높았다. 또한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생존율은 각각 97.5%, 100%로 가장 높았으며, 야채 공급군은 32.5%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금개구리의 성공적인 증식을 위한 올챙이 먹이는 식물성 사료 또는 테트라민을 단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