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Marketing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1초

유통과정 및 판매시스템을 고려한 모시유통센타의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Mosi Market Considering the Circulation Process and Merchandising System)

  • 김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4호
    • /
    • pp.78-85
    • /
    • 2002
  • This study aims at alalyzing the circulation process, merchandising system of Mosi(Korean traditional garment material), and accessing the way of interior design of Mosi market. There are three kinds of garment material of Mosi such as Pilmosi, Gootmosi, Taemosi classified by manufacturing process. At Mosi market, these three materials are sold in due sequence. Mosi market needs three space zones such as Mosi market space, inspecting space of Mosi and resting place, and these three spaces have strong interrelationship, so designer should plan not to disterb the moving flow. In the Mosi market space there should be divided by three zones such as Pilmosi marketing place, Gootmosi marketing place, and Taemosi marketing place in due sequence. The furniture of Mosi market place divided two kinds such as furniture for Pilmosi and that of Gootmosi or Taemosi. The proper form of furniture for Pilmosi is circular arc bar counter and that for Gootmosi or Taemosi is low rectangular table.

장소성에 입각한 하멜의 문화콘텐츠 자원화 (Utilization of Hamel's Cultural Contents based on Placeness)

  • 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37-146
    • /
    • 2008
  • 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개발 정책으로서 차별화된 장소 이미지 정립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이 소유하고 있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차별화된 장소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은 그 지역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역개발전략의 일환으로 매우 가치가 크다. 장소 이미지가 차별화된 브랜드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그 장소와 지역에 가장 적합한 장소이미지 포지셔닝이 수립 되여야 하고 더불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종합적인 마케팅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장소와 장소마케팅 관련 이론과 논의들을 토대로 하멜이 표류한 후 체류했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장소자산을 가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문화적 활동 공간으로서의 가능성과 보다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 조사를 통하여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찰하고 브랜드화 및 장소 이미지 판촉과 관련한 제안, 그리고 종합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모색과 자원화의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마케팅 전략 (The Adoption of Marketing Strategies for School Librari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1-174
    • /
    • 1999
  •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striving to move education and school libraries toward the information age and to create an atmosphere open education. School libraries need to be furnished with lots of useful materials for the curriculum of open education. School libraries need to be furnished with lots of useful materials for the curriculum of open education. Therefore, school libraries should adopt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mark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onprofit organizations such as school libraries should adopt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marketing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the system. 2. Marketing techniques can be adopted in the areas such as collection development, service fee, selection of the place of library, advertising, better library user organization etc. 3. School libraries should be total educational information centers to realiz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ar. 4. Procedures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school libraries are embodied in mission statement, environmental analysis, marketing audit, marketing mix, marketing segmentation, evaluation methods etc. 5. The 4 "Ps",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make up the marketing mix for school libraries.libraries.

  • PDF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상징공간 구축방안 연구 -가평 국제 재즈페스티벌 장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mbolic Places for Local Cultural Festival - Focused on the places for International Jazz Festival in Gapyeong -)

  • 이형숙
    • 농촌계획
    • /
    • 제20권2호
    • /
    • pp.151-158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proper spot to create a symbolic place for the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d to improve the connections among the place assets of Gapyeong as a place market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structure was conducted using space syntax.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pace formed in the axis of a total of 200. The value of total integration was 0.833, which is relatively low, and the local integration degree was 1.588 degrees. Gahwa Street has the highest value of full integration (1.264) among the major points related with the Festival, followed by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1.189). As a result, the former Gapeyong station area was identified as a recommendable place for symbolic place because it is highly accessible to the surrounding areas and spacious enough to function as a plaza. Developing a cultural street occupied by jazz cafes, concerts, shops and restaurants, and transforming the old railroad into a linear park will enhance the image of jazz city and help place marketing.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고찰 -부산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Public Art Project from Viewpoint of Place Marketing -Focused on Cases of Busan Public Art Project-)

  • 김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76-286
    • /
    • 2011
  • 최근 지자체 및 정부 기관에서 소외지역 생활환경 개선 및 문화 복지를 위한 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공공미술 자체의 담론에만 빠져있을 것이 아니라 도시 재개발 속에서의 그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즉, 공공미슬 프로젝트를 통해 소외지역에 문화 예술을 입히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목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과연 최근 5년간 진행된 부산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그 목적성을 달성했고,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는지, 공공미술의 성격과 전체 마을의 설립 양상이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 및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효과와 장소마케팅의 개념 및 전략에 대해 이론적 내용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도출하고 부산시의 최근 5년간 진행된 대표적인 공공 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공공미술적 차원의 요건과 장소마케팅 차원에서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의함으로써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질적이고 궁극적인 목표이어야 하는 장소마케팅 차원에서 향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쇼핑센터에서 Armature 분석을 통한 상업적 전략에 관한 연구 - 저드파트너십의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ercial strategies through armature analysis in shopping center - Reference with shopping centers the Jerde Partnership planned -)

  • 김형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86-194
    • /
    • 2012
  • One hand shopping center provides a public space for people, the other hand it is a place for commercial purpose. Although it gives an entertainment, eating and shopping places to people nowaday, owners and tenants aim to make profit from it. According to this demand designers should plan a shopping center for a comfortable place for eating, shopping and playing and they make shops and retails to increase sales by exposing those to more people at the same time. For successful shopping center architects are requested an approach with commercial strategy that shopping center raises exposure of retails and makes stay costumers longer and visit more frequently. Recently space is regarded as a mean of marketing, so-called "place marketing", because it can influence on brand image and improves the image of product. Therefore, it need to be approached with commercial consideration. Analyzing the armature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spatial strategies in shopping centers which especially the Jerde Partnership, one of influential firms on commercial space, designed. And it will examine how spatial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commercial strategies in relation to customer information process(exposure-attention-interest-comprehension-memory) which marketers are using in advertisement for marketing and what kind of role spatial strategies can be. This study is to be basic considerations when a shopping center project will be planned.

  • PDF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에 대한 고찰(제1보) -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st Fashion(Part I) - Focusing on Marketing Strategy -)

  • 김선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5호
    • /
    • pp.875-88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ashion industry in Korea with materials that could enhance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suggesting marketing strategies for fast fashion brands after taking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into consideration. The product strategy should focus on developing products that accurately reflect the general market trend and consumer demand, selecting optimal materials, and pursuing internal production. This, coupled with strategic cooperation with designers, will ensure reliable quality and enhance the brand image. The pricing strategy should place greater emphasis on reducing production costs. Diverse task outsourcing and design competition, for instance, can lower the cost of design development. The place strategy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systematic and efficient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PA, an automatic delivery system, sales or return system, speed control system, and a value chain that consists of horizontal business alliances. The promotion strategy should be run under the central control of the headquarters using various unique VMDs. Furthermore, online marketing campaigns, spectacular fashion shows, design competitions, catalogue marketing campaigns, and other new sales promotion schemes could all be introduced.

  • PDF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A Theoretical Review on Place Branding as a Major Toolkit of Soft Regional Development)

  • 이정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73-893
    • /
    • 2008
  • 본고는 연성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검토이다. 장소브랜딩은 장소마케팅의 진화된 형태로서, 도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도시 지역의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 개발 방법, 다중의 도시 지역 정체성 경영을 위한 브랜드 리더십과 브랜드 아키텍쳐 개념, 이미지를 자산으로 계량화하는 브랜드 자산 개념 등을 통하여 장소마케팅 실천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을 보완하며,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소마케팅과 브랜딩 실천의 전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연성지역개발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창조성'과 '상징'을 중시하는 오늘날 도시 지역 개발의 중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다양한 전공영역으로부터 접근이 이루어지는 이 분야는 연구의 축적이 일천하여 향후 보다 심층적인 이론과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지리학 지식과 전통은 이 학제적 연구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공공도서관을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의 설계와 브랜드이미지의 창조 (The Design of a Place Branding Model for Public Libraries and Its Application to Creating a Public Library Brand Image)

  • 강유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17-24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Cai(2002)의 장소브랜딩모형을 수정 및 확장하여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창조사례를 제시하고 본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소브랜딩모형과 브랜드마케팅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고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모형에 적합한 마케팅의 유형과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이모형을 적용하여 창조된 공공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 사례가 브랜드이미지로서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모형을 적용한 도서관의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정체성에 대한 이용자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이 두 변인의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소브랜딩을 구체화시키는 개념모형의 설계와 적용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방문활성화를 위한 장소브랜딩의 실현과 그 가능성을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사회복지 근로사업장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rketing Strategy of Social Welfare Labor Business)

  • 함재봉;윤복만;박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53-165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근로사업장의 후원사업 성과에 마케팅 요소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조사대상 사업장의 마케팅활동에 대한 일반적 현황을 살펴보면 상품, 가격, 촉진, 기존후원자 관리활동은 평균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사업장의 내적 모금환경과 유통 활동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마케팅 활동에 따른 후원사업의 성과 비교는 상품, 가격, 촉진, 기존 후원자 관리 활동이 마케팅 활동 정도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후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활동 요소는 후원자수에서는 촉진활동이, 후원금액과 세입대비 후원금액비율에서는 촉진, 가격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렇기 때문에 사회복지 근로사업장에서는 후원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은 기관 전체가 몰입할 수 있는 다양한 촉진활동의 개발과 가격협상 능력을 높이고 전반적인 마케팅 활동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