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Finding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6초

장소지시단서로서의 지하철역 환경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 동경, 타이페이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Treatments of Subway Stations in Terms of Visual Cues for Place Indi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Seoul, Tokyo and Taipei -)

  • 박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351-362
    • /
    • 2006
  • 현대 대도심 지하철은 밀폐된 공간으로 노선에 따라 다수의 역이 연결되어 있어 길찾기의 문제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장소적 정보를 최대한 표현하는 시각적 장소지시단서(visual cue)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지하철 사용이 늘어감에 따라 길찾기 관련 문제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서울, 동경, 타이페이 주요 지하철역의 장소지시적 단서로서 역할하는 환경디자인 사례 및 사용된 디자인 기법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용자를 위한 길찾기 지원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에 기여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론연구 결과, 시각적 장소지시단서의 유형으로 유도표식, 구역차별화, 랜드마크의 방법이 도출되었고 사례조사를 통하여 유도표식에서 노선색선의 상하배열, 양면배열, 변형 그래픽 기법이, 구역차별화에서는 벽면과 바닥패턴, 기둥과, 벽면의 강조색, 마감 재료 사용에 의한 차별화 기법이, 그리고 랜드마크에서는 수퍼그래픽, 상징물, 예술장식, 장식조명 등에 의한 기법들이 도출되었다. 서울 조사대상역의 경우, 연결노선의 색을 이용한 유도 표식이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바닥패턴이나 강조색을 이용한 벽면과 기둥에 의한 구역차별화도 적극 도입하고 있었다. 또한 호돌이, 훈민정음과 같은 장소의 이해를 돕는 랜드마크적 요소도 적극 활용되고 있었다. 동경 조사대상역의 경우, 유도표식에 의존하기 보다는 구역 차별화의 방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간구조와 지시내용의 복잡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타이페이시 조사대상역의 경우, 전반적으로 단순하며 통일된 이미지로서 장소지시는 최소한의 표식선이나 랜드마크에 의존하고 있었다. 특히 구역차별화의 사례가 미약하였는데 이는 대부분 역이 광장형의 오픈 스페이스로서 개방된 시야가 확보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양한 검증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길찾기 지원적 측면의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시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효 의식과 효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yo Consciousness and Filial P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숙희;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9-170
    • /
    • 2005
  • 본 연구는 관련 변인에 따른 중학생의 효 의식과 효행의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효 의식 정립과 효의 실천을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광역시과 전남 읍${\cdot} $면 지역 중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효 의식과 효행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련변인에 따른 효 의식과 효행에 있어서 효 의식은 성별, 학교 소재지, 모직업, 부교육정도, 월평균 수입, 종교, 가족구성, 효 교육 매체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인 경우, 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모직업이 사무종사자인 경우, 부의 교육정도가 대졸 이상인 경우,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경우, 종교가 천주교인 경우, 핵가족인 경우, 부모와 교사에게서 효 교육을 받은 경우에 효 의식이 높았다. 또한 효행은 성별, 모직업, 부교육정도, 종교 효 교육 매체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인 경우, 모직업이 전문가인 경우, 부의 교육정도가 대졸 이상인 경우, 유교 등 기타 종교를 가진 경우에 효행이 높았고 메스컴을 통해 주로 효교육을 받은 경우가 부모와 교사에게서 교육을 받은 경우보다 낮은 효행을 보였다. 셋째, 효 의식이 높은 집단의 효행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효행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은 효 의식.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즉 효 의식이 높을수록 효행 실천이 높았고 성별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효행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옛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Old Stone Wall'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Focused on an Old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 이민석;정성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50-73
    • /
    • 2009
  • 최근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옛 담장의 사례는 기존의 '점' 단위의 개별 건축물에서 '면' 단위의 마을까지 문화재의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사회변동에 따라 주거양식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농 어촌의 전통적 경관의 훼손과 멸실을 방지하고자 추진된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옛 담장이 갖고 있는 문화적 요소를 도출하고 구술조사를 통하여 그 의미와 상징체계를 분석하였다. 전통문화의 문화적 자원을 문화콘텐츠화 하려는 노력이 요즘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너무 미학적인 측면만 강조하거나 건축적인 해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본고의 연구대상인 옛 담장의 경우는 단순히 관광코스로 소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구술조사를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관광객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창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문화콘텐츠란 문화의 원형과 문화적 요소를 발굴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어 그것의 원형성, 잠재성, 활용성 등을 매체에 결합하는 새로운 문화의 창조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근현대 생활문화 공간복원과 문화콘텐츠의 발굴과 관련하여 상학리 돌담장을 조사하여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고찰하여 보다 독창적인 관광자원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간의 개념과 구궁의 공간모델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Concept of Space and Modeled Space of the Jiu-Gong)

  • 김용찬;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51-856
    • /
    • 2002
  • All creatures are living in the space and time. As the space and time are prior to experience, they are preconditions for an incident to happen and preconditions for each other to coexist as well. Therefore, time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change of space and the space can be understood by the passage of time. In western philosophy, the space was understood as an object, place, interval, mind and etc. In oriental philosophy, even though one space is just a part of bigger space, the space may represent the universal space, and the various spaces are no more than a space. The space itself doesn't have any color, form, beginning and end, or liu-he(六合). However, it is the biggest concept that we can find everywhe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ce, we need to find our position by expressing subjective positions like above and below, left and right, before and after, and objective positions like high and low, east and west, south and north. In oriental philosophy, the sun is the standard point in finding position; its front side is south, the backside is north, the left side is east, the right side is west, the upper side is south and the lower side north. Based on the finding position which is stated above and by taking each characteristics of he-luo-xi-wen(河洛羲文) and interrelations among them, the space can be model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ian doesn't fill in west and north. Di doesn't fill in east and south. Tian-dao(天道) turns to left, and Di-dao(地道) turns to right. There is no direct way to get to Dui-chong-fang without passing by Zhong-gong(中宮). The solid figure of eighty-one Bian-ju(變局) and sixty-four Gua-tu(卦圖).

여성 베이비부머세대의 직업훈련학습과 취업동아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Narrative Study on Job Training Education and Job Club Experience of Female Baby-Boomer Generation)

  • 이병준;김지현;한현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878-887
    • /
    • 2017
  • This study performed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cases in vocational education for female baby-boom generation. The baby-boom generation that recently starts retirement i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for their re-employment. Even though their first goal of education was to find a job, they experienced in finding themselves through the actual education. Especially, female baby-boom generation learners were finding their own identity as an entity of social participation, getting out of the existing identity as wife, mother, and housewife. Such a learning experience was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mselves, and in this process, new meanings of life were form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learning experience in vocational education was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o find themselves. They newly created themselves by critically introspecting their negativ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then rearranging/cognizing the accumulated experiences. Second, the immersion in the transitional process to learner increase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lso drew learning about learning. Especially, they reinterpreted their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based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 vocational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they learnt their past learning experience again. Third,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hrough learning club was a place for study to practice learning. Through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ories could not be separated from practice.

공간구조론을 적용한 종합병원 외래부 유도사인 배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G.D.Weisman의 길찾기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uidance Signage System of Outpatient in General Hospital using Spatial Configuration Theory - View from G.D.Weisman's Way-finding Influence Factors)

  • 김석태;백진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35
    • /
    • 2015
  • Purpose: Signs that are installed at unnoticeable places or that disconnect before the destination can bring errors of location information delive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patial relation between structure of space and signs in the perspective of visual exposure possibility, operating arrangement and assesment by applying spatial structure theory. Methods: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of guidance signs was evaluated after the four way-finding factors(Plan Configuration, Sign System, Perceptual Access, Architectural Difference) that G.D.Weisman suggested were interpreted by spatial structure theory(J-Graph analysis, Space Syntax, Visual Graph Analysis)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space. Results: 1) Because the south corridor that connects each department of outpatient division is located in the hierarchy center of the space, and walking density is expected to be high, guidance signs need to be organized at the place with high integration value. 2) The depth to the destination space can be estimated through J-Graph analysis. The depth means a switch of direction, and the guidance signs are needed according to the number. 3) According to visibility graph analysis, visual exposure can be different in the same hierarchy unit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at surface. Based on these data, location adjustment of signs is possible, and the improvement effect can be estimated quantitatively. Implications: Spatial structure theory can be utilized to design and evaluate sign systems, and it helps to clearly understand the improvement effect. It is desirable to specify design and estimation of sign systems in the order of J-Graph analysis${\rightarrow}$Space Syntax Theory${\rightarrow}$visibility graph analysis.

NATMS를 이용한 온톨로지 추론의 non-deterministic 문제 해결 및 일관성 오류 탐지 기법 (Solving Non-deterministic Problem of Ontology Reasoning and Identifying Causes of Inconsistent Ontology using Negated Assumption-based Truth Maintenance System)

  • 김제민;박영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5호
    • /
    • pp.401-410
    • /
    • 2009
  • 온톨로지의 논리적 오류와 개념들 간의 포함 관계를 탐지하는 추론 엔진들이 소개되고 있다. 발표된 온톨로지 추론 엔진의 대부분은 태블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추론 엔진들은 논리적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은 밝히지 않고, 논리적 오류를 갖는 개념만을 탐지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태블로 알고리즘 전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non-deterministic 상황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논리적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논리적 부정 가정기반 진리 유지 시스템(NATMS)을 사용하여 non-deterministic 문제를 해결하고 논리적 오류 원인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발표되었던 종속 부호 기반 백트랙킹 기법과 Swoop 프로젝트에 적용된 논리적 오류 원인을 탐지하는 기법을 소개하고, 제안하고자 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KANO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폰의 만족 및 불만족 요인 분석 (Finding Smartphone's Factors which Aff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based on KANO Model)

  • 이상근;이신석;강주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7-277
    • /
    • 2011
  • The current study categorizes factors of smartphone into three, using KANO model: attractive factors which cause only product satisfaction, must-be factors for dissatisfaction, and one-dimensional factors for both. Based on it, it presents a new model for the effects that smartphone factors have on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The purpose is to theoretically explain that smartphone factors on which companies and users place a high value can actually affect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After choosing 15 factors out of 25 which had been select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se were divided into attractive, must-be, and one-dimensional ones. 93 out of 109 questionnaires returned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s, the factors were grouped, based on KANO table. The grouping results are as follows. Attractive factors include 'expansion slots for external memory, battery desorption, brand awareness, mobile banking and internet telephony'. Must-be ones include 'multi-touch, information security, entertainment, information retrieval, location based service and SNS. Finally, 'screen visibility, size of internal memory, the amount of internal memory, battery life, and response to after-sales service' are classified as one-dimensional factors. A critical finding of this paper is that since the resul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em of smartphones, i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studies on smartphones. The wide and rapid spread of smartphones has changed people's lifestyle as well as business environment, which forces companies to compete with each other to adapt to the changed circumstances. In this competitive system, studies on smartphone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re essential for firms to establish a new strateg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esent paper is expected to be a basic material for enterprises not only to develop goods and services that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 and minimize dissatisfaction, but also to establish the future business strategy.

도시문화와 공동체 의식의 영향 관계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rban Culture and Community Spirit)

  • 김동윤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1-60
    • /
    • 2013
  • With regard to urban culture this study aims to essential understanding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culture. The "2012 Seoul Survey" report has been used to find out causality among the related variables. In the first place 'satisfaction of cultural condition' was operationally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regressio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third factors for ceteris paribus effect correlation analysis was previously don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all other variables respectively, which resulted in two groups of variables: group (1) - 2 variables of very significant correlations(p-value<0.01) and (2) - the other 6 variables of significant correlations(p-value<0.05).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adopted to these 2 groups to analys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multicollinearity(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Additionally to OLS robust and bootstrapping regressions were don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is model specification. At last a regression model specified by group (1) as independent variables(they are 'community spirit caring for women, the disabled, the poor and the old,' 'satisfaction of bicycle riding condition' shows that th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ly strong effect on 'satisfaction of cultural condition.' This finding implies the following understanding; (1) urban festivals are regarded as the main of the urban culture as of now and this results from the low level of today's culture, (2) culture is telling and hearing stories b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urban culture and community spirit on the weak is negative, which says that the cultural perception among citizen is somewhat selfish and far from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urban culture. In spite of restrictive external validity this finding can be used as a direction for promoting culture and a basis for related policy choice in cities.

중계 공격을 예방하는 효율적인 RFID Distance-Bounding 프로토콜 (An Efficient RFID Distance-Bounding Protocol to Prevent Relay Attacks)

  • 부창희;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B호
    • /
    • pp.610-619
    • /
    • 2010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RFID 시스템은 악의적인 공격자로부터의 중계공격에서 취약함을 갖고있다. 따라서 Brands등은 Distance-Bounding 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증명자와 검증자 간의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고, 여기에 Hancke등은 RFID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RFID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태그 아이디의 전달이 없다는 점과, Kim이 제안한 태그 아이디 전달에서의 익명성 및 리더 태그 간에 데이터 교환 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에러 체크 방법에서 태그 아이디 검색의 비효율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태그의 익명성 및 위치 추적 불가능성을 만족하고, 태그의 정보 교환 단계에서 발생 가능 에러에 대한 저항성과, 태그 아이디의 검색에서 보다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