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Creativit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선박소음이 인간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SHIP NOISE ON THE INTELLIGENCE ABILITY OF MAN)

  • 박중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7-132
    • /
    • 1975
  • 1. 승선후 즉시 실험한 결과는 교실, 갑판, 기관실 순서로 음압이 높음에 따라 일반적으로 성적은 반비례 현상으로 떨어져 지능력에 장애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계산 능력 실험과 간편지능 검사는 송선 직후의 교실, 갑판, 기관실의 음압에 따른 장애 격차가 계속 20일 승선후에도 거이 같은 격차를 유지하고 있었다. 3. 지능검사에서는 정상적인 사람의 지능력은 승선후 3일이 경과한후 부터는 어느정도 선상 생활에 적응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으나 3일후 부터 35일 사이에는 약간의 회복은 하였으나 급격한 차이는 없는것 같다. 4. 이 실험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대화가 안될 소음(103dB)속에서는 많은 사고력을 필요로 하지않고 시각적으로 분류 판별이 쉽게 되는 문제는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소음(67dB)속에서 보다 능력이 월등하게 ($15\%$정도) 좋은 것을 알아낸 것은 예기치 못했던 결과였다.

  • PDF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 김현우;이두헌;임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9-49
    • /
    • 2017
  •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또는 그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해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의인력은 '장소의 질', 대표적으로 어메니티를 거주지역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 도시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2014년 기준, 전체 창의인력의 수는 573만명(전체 종사자의 23.2%)이며, 절반 이상인 58.6%가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창의인력의 초과거주비율(거주자수/일자리수)은 인구규모가 큰 대도시 지역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은 생산직과 비교하여 교육과 같은 특정 도시 어메니티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창의인력 확대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D 미디어파사드에 있어 남녀에 따른 인지정도의 실증분석 (The Empirical Analysis of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Genders in the Media Facade)

  • 이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6-105
    • /
    • 2015
  • 최근 백화점에서는 고객 유치와 홍보적 수단으로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대형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을 살펴보면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4.6배나 많다. 이는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미디어파사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녀에 의한 미디어파사드의 인지정도에 따른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심미성, 예술성, 쾌적성, 조화성 총4개의 인지요인을 도출하고 "각 인지요인이 성별에 따라 지각하는 데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미디어파사드가 설치되어 있는 국내 대형 백화점을 선정하고 실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심미성, 예술성, 조화성은 채택되었고 쾌적성은 기각되었다. 이는 백화점에서 더 많은 여성고객 유치를 위해서는 공간과 미디어파사드의 조화, 형태, 색, 배치 등의 아름다움, 그리고 콘텐츠의 연출방식 등에 대해 여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방사형 격자패턴 무아레무늬 표현을 위한 직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utilizing Radial Grating for $Moir{\acute{e}}$ Patterns)

  • 김병미;이미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123
    • /
    • 2008
  • When it comes to clothing design, after the mid 20th century some internationally renowned designers began to recognize the pivotal role clothing materials play in attracting the hearts of customers. Accordingly, they started to take advantage of new clothing materials in the sector of clothing design. While the theme of fashionable clothing products shifts from style and color to clothing materials, fashion designers place the quality of materials at the center of clothing designs. Fashion designers also realize that good quality of materials should be used to boost the value of products as well as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practicality and aesthetics. In particular, as the non-apparel industry in which clothing materials are the most important aspect between fashionable color, silhouette and details is enhancing their attention to develop various material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the fashion industry places a high premium on textile design which is the pinnacle of expressing emotion on cloth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industry raises awareness of developing more sophisticated and differentiated materials. Our thesis covers the way how to apply $moir{\acute{e}}$ pattern to clothing design on the basis of research. In order to put that research into practical use, we produced textiles which effectively display $moir{\acute{e}}$ pattern. Before this process, we tried to ensure that radial grating created $moir{\acute{e}}$ pattern effects. To this end, the weaving process was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light can penetrate textiles or not. Then, we manufactured test-products using $moir{\acute{e}}$ pattern.

  • PDF

네트워크도시의 이론적 검토와 동남권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Theoretical Examination of Network cities an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South-East Region in Korea)

  • 권오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7-290
    • /
    • 2009
  • 이 연구는 네트워크도시 모델의 관점에서 동남권 도시들의 연계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는 네트워크도시의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동남권 지역 도시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사례지역 연구 결과, 동남권의 광역적 산업클러스터는 형태상으로 뿐 아니라 여타의 측면에서도 전형적인 네트워크도시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도시들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 성장 특성은 네트워크도시의 특징을 명확히 보여준다. 동남권 도시들은 상호 독립성을 유지한 채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기능적으로도 분화되어 있다. 더하여 네트워크도시의 성장성과 함께 네트워크도시 내 중소 도시들의 성장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도시간 연계는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남권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산업 및 도시연계 구조에 부합하는 광역적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에서 PBL 기반 영어과학수업을 위한 문제 개발 연구 (Problem Development for PBL-based English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38
    • /
    • 2020
  •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문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초등학교 영어과학 수업에 적합한 PBL학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 개발을 위해 교육 내용 파악 단계, 학습자 특성 파악 단계, 문제 발견 단계, 역할과 상황 설정 단계, 문제 작성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개발 단계를 바탕으로 Y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어 교과 과정 중 하나인 영어과학 수업에서 PBL 학습법이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5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 여전히 많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업, 모범 답안을 위한 지식 습득, 획일적인 평가가 아닌 21세기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반드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발표력,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PBL 학습법에 적합한 문제 개발은 지속해서 연구되어야 한다.

의상디자인 교육용 하이퍼미디어 코스웨어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ypermedia Couseware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 조진숙;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5호
    • /
    • pp.629-637
    • /
    • 2000
  •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fashion design educational program that will foster the talen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fashion design students. The goal of progressive educational methods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is to elevate educational efficiency, and ultimately rear creative designers. To fulfill its objective, this paper presents a courseware program on fashion design education utilizing hyper media that include animation, photographs, pictures, sounds and characters. By the utilization of such comprehensive source of information media, a hypermedia courseware was developed for elementary education in fashion design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program enables the students to customize their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student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s are able to choose and adjust their own programs to suit their requirements and intellectual level. 2. The program effectively motivates. Much like a constant sequence of various images on a screen that can provoke profound heart-felt emotions and inspire creativity, the program can stimulate and motivate the students. 3. The program provides a consistent education. To advance the overall quality of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problem of dissonance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resolved and possible individual errors in delivery rectified. The present program will solve such problems, and establish coherent standards that will withstand the test of tim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4. The program is cost effective. Since the present program frees the teacher from the time consuming drudgery of preparing various texts and lesson plans, have the materials delivered and handled, it reduces the time and cost previously required. 5. The program has the capability to be upgraded. The accumulated know-how of teachers and the total experience of the program can be linked with other programs for limitless expansion.

  • PDF

스마트폰을 활용한 로봇 교육 콘텐츠 게임 활용 연구 (Educational Insect Robot Content use of play(Game) for the Nuri Process Education of Creative in Smartphone)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13
  • 2012년부터 만5세 유아를 위한 교육과 보육의 공통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 되고 있다. 누리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교육 로봇은 교사가 현장에서 활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유아의 심리적 안정, 신체적 안정, 연령에 따른 발달적 적합성,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사고력, 창의력, 과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로봇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연구한다. 영유아들이 환경 친화적인 교육 환경을 가지는 교육용 곤충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의 개발하는 연구를 한다. 스마트폰으로 게임 활용은 15단계로 진전되며, 도중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질문과 답변을 배치하여 교육과 로봇의 창의적 효과를 높인다. 본 논문을 통해 창의적 누리교육을 위한 콘텐츠 발달에 기여할 것 이다.

  • PDF

기술.가정교과 내의 '옷 만들기와 재활용' 단원에 대한 수업운영실태 및 교과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Operations and Adequacy of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Targeting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s -)

  • 김주경;오경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5-3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hat would enable students who take courses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o take the knowledge and technological skills they learn in the classroom and apply them to real life situations and to nurture their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7 home economics teachers at 129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assess their classroom operations and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chools surveyed have only one classroom for home economics and that a majority of them are cooking rooms. The most preferred place to practice making clothes was found to be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use of teaching aids pertaining to clothes-making are lacking or in poor shape. Furthermore, analysis of the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reuse"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use kits that contain materials for making clothes, due to a lack of practice hours. Most teachers thought that this section was appropriate for the school curriculum. In the more detailed categories,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ewing machines was the lowest, while the ability to sew by hand was selected as the most useful and most appropriate for real life situations.

지역자산기반형 도심재생 전략에 따른 공간환경 개선방안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Spacial Environment through the Strategies of Urban-Core Regeneration based on the Regional Resources -Focused on the Cheongju City-)

  • 반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91-204
    • /
    • 2018
  • 다양성과 창의성의 시대에 지방이 스스로 생각하고 실행하는 지역발전 전략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역의 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차원의 재생효과와 지역자산으로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상승하고 있다. 상당기간 낙후 소외되어 온 지역의 시설과 공간을 기회자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도시재생방안 모색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산업유산의 지역자원화를 통해 내생적인 발전체계 구축하여 지역의 자립적인 발전을 추구할 가능성 모색에 있다. 사례분석과 계획적용 등을 통해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이 대형, 전문예술공간보다 지역주민의 삶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의 비교우위보다는 지역자산의 경쟁우위 전략이 더욱 중요하며, 장래의 도심재생에서 한층 더 관심을 두어야 하는 요소는 도시의 역사와 전통, 철학 등 무형적인 가치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사람이 중심이 되어 예술적인 생태성과 전통의 복원, 공동체성 창출, 미학성 추구 등을 통해 문화정체성을 가진 장소로 창조되는 것이 진정한 도시재생이 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