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xel

검색결과 3,963건 처리시간 0.03초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를 위한 4-레벨 오류정정 변조부호 (4-level Error Correcting Modulation Codes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

  • 이재훈;이재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10호
    • /
    • pp.610-612
    • /
    • 2014
  • 멀티레벨 홀로그래픽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은 픽셀당 1비트 이상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에서 큰 이점을 갖는다. 만약 부호율이 2/3인 변조부호라면 2/3(symbol/pixel)은 4/3(bit/pixel)이고, 이것은 1pixel에 약 1.3개 bit를 담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레벨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한 픽셀이 4-레벨을 가지는 경우, 최소 유클리디안 거리가 3과 4인 변조부호를 각각 제안하였다. 제안한 변조부호는 랜덤한 경우보다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보였고, 거리가 클수록, 성능이 더 좋아지는 것을 보였다.

Sub-Pixel Analysis of Hyperspectral Image Using Linear Spectral Mixing Model and Convex Geometry Concept

  • Kim, Dae-Sung;Kim, Yong-Il;Lim, Young-Jae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4권1호
    • /
    • pp.1-8
    • /
    • 2004
  • In the middle-resolution remote sensing, the Ground Sampled Distance (GSD) that the detector senses and samples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actual size of the objects (or materials) of interest, and so several objects are embedded in a single pixel. In this case, as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se objects by the conventional spatial-base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t has to be carried out at sub-pixel level through spectral propertie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sub-pixel analysis algorithm, also known as the Linear Spectral Mixing (LSM) model, which has been experimented using the Hyperion data. To find Endmembers used as the prior knowledge for LSM model, we applied the concept of the convex geometry on the two-dimensional scatter plot. The Atmospheric Correction and Minimum Noise Fraction techniques are presented for the pre-processing of Hyperion data. As LSM model is the simplest approach in sub-pixel analysis,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 is not good. But we intend to say that the sub-pixel analysis shows much more information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classification.

  • PDF

Single Pixel Compressive Camera for Fast Video Acquisition using Spatial Cluster Regularization

  • Peng, Yang;Liu, Yu;Lu, Kuiyan;Zhang, Mao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1호
    • /
    • pp.5481-5495
    • /
    • 2018
  • Single pixel imaging technology has developed for years, however the video acquisition on the single pixel camera is not a well-studied problem in computer vision. This work proposes a new scheme for single pixel camera to acquire video data and a new regularization for robust signal recovery algorithm. The method establishes a single pixel video compressive sensing scheme to reconstruct the video clips in spatial domain by recovering the difference of the consecutive fram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data acquisition method works in transform domain, the proposed scheme reconstructs the video frames directly in spatial domain. At the same time, a new regularization called spatial cluster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ignal reconstruction. The regularization derives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nonzero coefficients often tend to be clustered in the difference of the consecutive video frames. We implement an experiment platform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Numerous experiments show the well performance of video acquisition and frame reconstruction on single pixel camera.

영상내에서 영역 구분을 위한 효율적인 경계검출 기법 (An Efficient Edge Detection Technique for Separating Regions in an Image)

  • 신광성;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9-360
    • /
    • 2021
  • 영상의 픽셀기반처리는 한 픽셀의 값을 변환하는데 다른 픽셀의 값에 관계없이 단지 현재의 픽셀의 값에만 의존하여 변환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픽셀기반 처리는 영상 변환, 영상 개선, 영상 합성 등의 많은 분야에서 가장 기초적인 연산으로 사용된다. 산술연산, 히스토그램 평활화, 명암대비 스트레칭 등의 처리 방법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으로 촬영된 서해안 갯벌 영상에서 갯벌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 중 경계검출부분에서 픽셀기반처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윤곽선을 찾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 PDF

염색체 영상에서 한 픽셀 두께로 연결된 경계선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Extracting Connected Boundary with One-pixel Thickness from Chromosome Image)

  • 김주병;송준영;이윤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51
    • /
    • 199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extract connected boundary with one-pixel thickness of chromosome, which has advantages as follows: easy to implement, low computational complexities, and ability to extract the boundary with either 4-pixel connectivity or 8-pixel connectivity

  • PDF

A Pixel Structure for Reflective Color TFT-LCDs with 27-color in Still-Image

  • Jang, Dae-Jung;Sung, Yoo-Chang;Kwon, Oh-Kyong;Kim, Hyun-Ja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3-156
    • /
    • 2002
  • We have developed a pixel structure for reflective color TFT-LCD which can display 27-color in still-image. The proposed pixel can display 3 gray scale in still image; white, black and median gray. This paper shows the concept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proposed pixel. Finally this paper compares power consumption and area with the Toshiba's DMOG technology.

  • PDF

모바일 카메라 화질 개선을 위한 실시간 불량 화소 검출 및 보정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Real-Time Dead Pixel Detection and Compensation System for Image Quality Enhancement in Mobile Camera)

  • 송진근;하주영;박정환;최원태;강봉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37-243
    • /
    • 2007
  • 본 논문은 모바일 카메라 화질 개선을 위한 실시간 불량 화소(Dead pixel) 검출 및 보정 시스템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영상 입력장치인 CIS(CMOS Image Sensor)는 소형화, 저전력, 비용절감의 효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 센서와 결합된 불량 화소 보정 장치에 관한 기존 방법에 있어서, 연속된 불량 화소들을 검출하지 못 하거나, 정상화소임에도 불구하고 불량 화소로 분류하여 영상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불량 화소를 핫 픽셀(Hot pixel)과 콜드 픽셀(Cold pixel)로 분류하여, 라인 검출방법과 $5{\times}5$ 창 검출 방법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불량화소의 특성에 따라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인 검출 알고리즘은 수평 저주파 영역의 불량화소를 검출한다. 그리고 $5{\times}5$창 검출 알고리즘은 수직, 대각 저주파 영역과 고주파 영역에 대한 불량 화소를 검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결과, 99%의 높은 검출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Verilog-HDL를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Synopsys의 Design Analyzer와 TSMC 0.25um ASIC library로 합성하였으며, 총 Gate counts는 23K로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진다.

  • PDF

적응적 배경영상과 그물형 픽셀 간격의 윤곽점 검출을 이용한 객체의 움직임 검출 (Motion Detection using Adaptive Background Image and A Net Model Pixel Space of Boundary Detection)

  • 이창수;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C호
    • /
    • pp.92-101
    • /
    • 2005
  • 카메라를 통한 객체의 움직임검출은 불필요한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따라 정확한 움직임검출 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객체의 유입 후 일정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을 경우에는 배경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의 배경영상을 기준으로 입력영상과의 차를 구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배경영상을 N×M 픽셀 마스크만큼 교체하여 갱신한다. 이미지 픽셀 검사는 모든 픽셀을 연산에 참여시키지 알고 일정한 간격의 그물형으로 이미지의 픽셀을 검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움직임을 검출한다. 또한 픽셀검사를 통하여 검출된 객체의 윤곽점을 이용하여 객체의 최소영역을 설정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므로, 매 프레임마다 이미지 검사를 하지 않고도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임 검출이 가능하다. 설계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실험을 통한 성능평가에서 90%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한 얼굴 잡티 제거 기법 (The Reduction Method of Facial Blemishes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

  • 구은진;허우형;김미경;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367
    • /
    • 2013
  • 본 논문은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하여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받은 RGB 3채널 영상에서 각 채널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피부 영역을 검출한다. 피부 영역의 R, G, B 각 채널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만들어 각 채널 당 빈도수가 많은 픽셀 값 3개를 저장한다. 그 후, 피부 영역에 블랙햇 연산을 하여 잡티를 찾아낸다. 잡티로 검출된 픽셀은 자신의 픽셀 값과 8방향 이웃 픽셀 값, 앞에서 선택된 픽셀 3개의 평균으로 그 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잡티 부분의 픽셀에 중간값 필터를 이용하여 블러링을 한다. 잡티가 있는 얼굴 사진을 테스트 영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얼굴의 잡티를 제거하여 얼굴 피부를 보정하는 방법은 단순히 영상을 밝게 하여 얼굴 피부를 보정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이다.

  • PDF

전자식 셔터와 A/D 변환기가 내장된 CMOS 능동 픽셀 센서 (A CMOS active pixel sensor with embedded electronic shutter and A/D converter)

  • 윤형준;박재현;서상호;이성호;도미영;최평;신장규
    • 센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2-277
    • /
    • 2005
  • A CMOS active pixel sensor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standard 2-poly and 4-metal $0.35{\mu}m$ CMOS processing technology. The CMOS active pixel sensor has been made up of a unit pixel having a highly sensitive PMOSFET photo-detector and electronic shutters that can control the light exposure time to the PMOSFET photo-detector, correlated-double sampling (CDS) circuits, and an 8-bit two-step flash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for digital output. This sensor can obtain a stable photo signal in a wide range of light intensity. It can be realized with a special function of an electronic shutter which controls the light exposure-time in the pixel. Moreover, this sensor had obtained the digital output using an embedded ADC for the system integration. The designed and fabricated image sensor has been implemented as a $128{\times}128$ pixel array. The area of the unit pixel is $7.60{\mu}m{\times}7.85{\mu}m$ and its fill factor is about 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