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1

검색결과 579건 처리시간 0.027초

Surfactant washing에 의한 토양 내의 유기물 제거에 관한 연구 I. 탄화수소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Surfactant Washing of Organics from a Contaminated Site I. Clean Up of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 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8권3호
    • /
    • pp.357-36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오염 토양 내의 탄화수소 유기물을 정화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최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물,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3성분계에 대하여 특정 탄화수소 유기물이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최대로 가용화될 수 있는 조건을 계면활성제 친수성 기의 변화에 따라 측정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과 탄화수소 사이의 계면장력을 측정하였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제 회분식 sur-factant washing 실험을 수행한 결과 탄화수소의 유기물은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에서 생성되는 middle-phase microemulsion에 최대로 가용화될 수 있었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_{12}E_5(C_{12}H_{25}O(CH_2CH_2O)_5H)$를 사용했을 경우 $C_{12}E_5$, 물, n-hexadecane으로 이루어진 3성분 계의 PIT에 해당하는 $52^{\circ}C$에서 n-hexadecane이 73.4% 제거되었으며, 반면에 PIT보다 낮은 $25^{\circ}C$와 PIT보다 높은 $60^{\circ}C$에서의 n-hexadecane 제거율은 각각 57.1%, 57.0%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PIT조건에서 n-hexadecane이 최대로 가용화되는 것은 계의 소수성-친수성이 균형을 이룸으로 인하여 유기물이 가용화되는 속도가 매우 빠를 뿐 아니라 middle-phase microemulsion과 excess oil phase 사이에 존재하는 $10^{-2}{\sim}10^{-3}dyne/cm$의 매우 낮은 계면장력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oint Inject Technique을 이용한 치과 국소마취의 통증 조절 및 진료 효율의 극대화 (Pain control using the Point-Inject Technique in dental local anesthesia)

  • 이재윤;최성아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2-37
    • /
    • 2021
  • Many approaches to local anesthesia have been studied in dentistry.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local anesthetic method, "Point-Inject Technique (PIT)", and compare it with traditional injection techniques. The PIT method utilizes both the vasoconstrictive and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local anesthetic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controlled pressure during injection, reducing the time to complete anesthesia. Fifty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anesthetized using PIT, and the other 50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using the direct injection method with a carpool syringe. The PIT group received 0.25 cartridges of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The control group received 1.5~2 cartridges of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Both groups were asked to mark the intensity of the pain caused by anesthesia us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The average time to recover from anesthesia was 40 minu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0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96% of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feeling no pain, while 78% of the control group reported having some form of pain during injection. The PIT method reduced both the reported pain scores of patients as well as time to recover from local anesthesia than the widely-used syringe injection method.

α-Bisabolol을 함유한 PIT Nanoemulsion의 최적화 및 피부흡수연구 (Study on Optimization and Skin Permeation of PIT Nanoemulsion Containing α-Bisabolol)

  • 김희주;윤경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38-1751
    • /
    • 2020
  •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표피의 가장 윗부분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약물의 피부 전달을 방해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나노에멀젼은 특유의 작은 입자크기 때문에 세포간 지질을 통과하여 약물의 피부전달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α-bisabolol의 효과적인 피부흡수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상반전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유화법으로 제조한 α-bisabolol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였다. 예비실험으로 25-2 일부요인배치법과 23 요인배치법이 수행되었다. 요인배치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계면활성제(6.3~12.6%), 보조계면활성제(5.2~7.8%) 및 α-bisabolol (0.5~5.0%) 함량을 인자로 하고 반응 변수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로 하는 Box-Behnken design을 수행하였다. RSM 결과에 따라 PIT 나노에멀젼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최적의 나노에멀젼 처방 조건은 계면활성제 함량 10.4%, 보조계면활성제 함량 6.3%, α-bisabolol 함량 5.0%로 예측되었다. 피부흡수시험 결과 PIT 나노에멀젼의 최종 피부흡수율은 35.11±1.01%, 대조군인 일반에멀젼의 최종 피부흡수율은 28.25±1.69%로 PIT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율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오픈 소스 환경의 노천광산 모니터링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고도화 방안 (Database Enhancement for Development of Open-pit Mine Monitoring System in Open Source Environments)

  • 김세열;유지호;유영걸;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32
    • /
    • 2016
  • 노천광산(open-pit mine)은 자원의 확보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기반시설이지만 운영과정에서 지형 및 환경변화나 안전 문제 등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노천광산에서 개발 및 복원에 따른 지형 변화에 대한 현황 자료는 수치지형도와 현장측량 성과에 의존하여 전문가 이외에는 노천광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노천광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일반인의 접근이 원활하게 노천광산을 대상으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웹기반 3차원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광산의 운영에 따른 지형 및 환경변화 등을 모니터링하고 친환경 생태학적 개발 및 복원을 지원하는 노천광산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Roughness and micro pit defects on surface of SUS 430 stainless steel strip in cold rolling process

  • Li, Changsheng;Zhu, Tao;Fu, Bo;Li, Youyuan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4권4호
    • /
    • pp.215-226
    • /
    • 2015
  • Experiment on roughness and micro pit defects of SUS 430 ferrite stainless steel was investigated in laboratory. The relation between roughness and glossiness with reduction in height, roll surface roughness, emulsion parameters was analyzed. The surface morphology of micro pit defects was observed by SEM, and the effects of micro pit defects on rolling reduction, roll surface roughness, emulsion parameters, lubrication oil in deformation zone and work roll diameter were discussed. With the increasing of reduction ratio strip surface roughness Ra(s), Rp(s) and Rv(s) were decreasing along rolling and width direction, the drop value in rolling direction was faster than that in width direction. The roughness and glossiness were obtained under emulsion concentration 3% and 6%, temperature $55^{\circ}C$ and $63^{\circ}C$, roll surface roughness $Ra(r)=0.5{\mu}m$, $Ra(r)=0.7{\mu}m$ and $Ra(r)=1.0{\mu}m$. The glossiness was declined rapidly when the micro defects ratio was above 23%. With the pass number increasing, the micro pit defects were reduced, uneven peak was decreased and gently along rolling direction. The micro pit defects were increased with the roll surface roughness increase. The defects ratio was declined with larger gradient at pass number 1 to 3, but gentle slope at pass number 4 to 5. When work roll diameter was small, bite angle was increasing, lubrication oil in micro pit of deformation zone was decreased, micro defects were decreased, and glossiness value on the surface of strip was increased.

공초점반사현미경을 이용한 소나무 유연벽공의 초미세구조 연구 (Investigation of Bordered Pit Ultrastructure in Tracheid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by Confocal Reflection Microscopy)

  • 권오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346-355
    • /
    • 2014
  • 소나무의 가도관과 유연벽공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데 공초점반사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획득한 3차원 화상을 사용하였다. 가도관 유연벽공의 토러스, 마르고, 벽공연의 미세구조가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교분야벽공의 미세구조로 가도관과 방사유세포 사이의 연결구조 및 방사유세포 내의 역학적 지지구조도 관찰할 수 있었다. 가도관 세포벽의 3차원 화상에서는 S1, S2, S3층과 이 층들의 사이에 있는 이행층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3층과 S2층의 마이크로 피브릴 배향의 관찰이 가능하였고, 유연벽공 주변의 복잡한 마이크로피브릴 배향 특성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공초점반사현미경법은 소나무 가도관의 세포벽, 유연벽공, 교분야벽공의 미세구조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현미경 기법으로 여겨졌다.

노천채굴적 내 광미 적치 시나리오 구축 및 천반 수평필러 안정성 분석 (Establishment of Tailing Disposal Scenario in Open-Pit and Surface Pillar Stability Analysis)

  • 강일석;송재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1호
    • /
    • pp.54-70
    • /
    • 2024
  • 생산이 완료된 노천광산 채굴적을 광미(광물찌꺼기) 적치 장소로 활용하는 방안은 기존 광미 적치 시설(TSF, Tailing storage facility)의 설치 공간 및 운영비용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적치된 광미는 주변 암반에 추가적인 하중으로 작용하여 광산의 역학적 안정성을 저해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Marymia 광산의 사례를 참고하여 약 60,400 시간에 걸친 광미 적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다양한 지하 채광장 형태 및 암반 조건에 따른 천반 수평필러의 역학적 안정성을 Sigma/W 해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광미 적치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천반 수평필러의 파괴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는 노천채굴적 내 광미 적치 시 광산 구조에 대한 역학적 안정성 고려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불소방출 치면열구전색제의 항우식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RELEASING PIT AND FISSURE SEALANT)

  • 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49-85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luoride-releasing pit and fissure sealant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aries than conventional non-fluoride-releasing sealant. Specimens 8mm in diameter were made from sound bovine enamel. Fluoride-releasing pit and fissure sealant(Helioseal F,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and non-fluoride-releasing sealant(Helioseal,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were applied to the specimens and artificial caries was induced. Microhardness and the depth of the carious lesion was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group 2, sealed with fluoride-releasing sealant, there was a 58.4% decrease in microhardness. Thi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84.4% decrease observed in group 1, sealed with non-fluoride-releasing sealant(p<0.01). 2. The average depth of the artificial carious lesion in group 2 was $30.1{\pm}9.8{\mu}m$. In group 1, sealed with non-fluoride-releasing sealant, the lesion was significantly deeper with an average depth of $58.5{\pm}4.9{\mu}m$(p<0.01). 3. Fluoride-releasing pit and fissure sealant was more anticariogenic compared to non-fluoride-releasing sealant.

  • PDF

치면열구전색의 유지력 (RETEN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 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6-347
    • /
    • 2006
  • 치면열구전색은 잘 시행하지 못한 경우 오히려 우식발생을 가릴 수 있어 위험하다. 따라서 치면열구전색의 올바른 적용방법에 대한 이해와 재고가 필요하다. 치면열구전색 시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recall-check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치면열구전색재 시술 환자의 70%가 recall이 되었을 때 병원 경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치면열구전색재 도포시 임상가들이 가장 관심 있게 추구하는 2가지 사항은 첫째 치면열구전색재가 소와 및 열구내로 깊숙이 침투하도록 하는 것과 둘째 치면열구전색재와 치면 사이의 gap(변연누출, marginal leakage)을 최소로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치면열구전색재의 유지력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치면열구전색의 성공/실패와 직결된다. 그러나 탈락되지 않게 할 수는 없어도 더 오랫동안 붙어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치면열구전색재 유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재의 재료학적 검토, 유지력에 관계되는 요소, 교합면 소와 및 열구 세척 소와와 열구 내로의 침투도를 높이는 방법, 미세누출을 줄일 수 있는 임상 기술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치면열구전색재의 유지력에 관여되는 요소가 매우 많고 다양하므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도포 과정에서의 술자의 섬세함과 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 PDF

폐금속 광산의 유형별 오염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at Various type of Abandoned Metal Mines)

  • 이종득;김태동;김선구;김휘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93-108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prepare the effective detail survey methods(Phase II) of abandoned metal mines through the contamination assessment for mine types and facilities in the abandoned metal mine areas. The study sites of 12 abandoned mines are located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those were chosen among 310 sites that the Phase II survey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9 after considering the results of Phase I for abandoned mine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12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I sites only have pit mouth. Type II sites have pit mouth and mine-waste field. Type III sites have pit mouth and tailing sorting field. Type IV sites have pit mouth, tailing sorting field and concentrator(s). In forest land, paddy soil and farm land of Type I, As and Cd were showed average concentration, and Cu and Pb were high on the pit mouth area in one mines where the pit mouth was developed within 500 m. In the mines of Type II, Cu and Pb were showed average concentration too, but As and Cd were slightly high in pit mouth and mine-waste field. The mines of Type III which had grinding particle process through physical separation milling or hitting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ype II. However, mines of Type IV pit mouth, mine-waste field and showed various results depending on defining the contamination sources. For example, if contamination source was pit mouth, the mixed results of Type I, II, II were showed. In tailing sorting field which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and having high mobility, however, if there were no facilities or it was difficult to access directly, field sampling was missed occasionally during phase I and phase II survey. For that reason, the assessment for tailing sorting field is missed and it leads to completely different results. In the areas of Type I mine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exceeded precautionary standards of soil contamination or not within 1,000 meters of pit mouth. Nickel(Ni) was the largest factor of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is type. The heavy metals except Arsenic(As) were shown high levels of concentration in Type II areas, where pit mouth and mine-waste field were operated for making powder in upriver region; therefore, to the areas in the vicinity of midstream and downstream, the high content of heavy metals were shown. The tendency of high level of heavy metals and toxic materials contained in flotation agent used during sorting process were found in soil around sorting and tailing field. In the abandoned-pit-mouth area, drygrinding area and tailing sorting field area, the content of Cupper(Cu) and Zinc(Zn)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Also, the contaminated area were larger than mine reclamation area(2,000 m) and the location of tailing sorting field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estimate contaminated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