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rigida Mil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간의 수간 내 목재셀룰로오스의 미세구조 변이 (Variation of Fine Structure of Wood Cellulose within Stems of 3 Commercial Softwood Species Grown in Korea)

  • 은동진;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2-20
    • /
    • 2008
  • 국내에서 성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에 대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이를 X선 회절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상대결정화도 평균값은 소나무 60.6%, 잣나무 61.7%, 리기다소나무 49.4%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상대결정화도는 약 10~15연륜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상대결정화도가 조재부의 상대결정화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 상대결정화도는 수관부보다 기부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는 수고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각 수종의 셀룰로오스 결정폭은 3수종 모두 2.8~3 nm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조만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 중 상대결정화도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리기다소나무의 잎 抽出液이 무우 種子의 發芽에 미치는 Allelopathy 效果 (Allelopathic Effects of Leaf Extract of Pinus rigida Mill. on the Seeds Ger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 Kim, Young-Ok;Kim, Seon-Ho;Lee, Ho-Joon;Eun, Moo-Yo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75-82
    • /
    • 1990
  • Toxic effert of water extract from leaves of Pinus rigida and some phenolic compounds on the seeds ger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has been studi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germination percentage among the pH value of leaf extract (pH3~9). The germination percentage drastically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level of leaf extract at about 60 percent. Seeds ge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inhibited severely by caffeic acid, ferulic acid and p-coumaric acid at M, but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vanillic acid. In electrophoresis, there was no differences at earlier seedling stage of protein band between allelochemical treated and non-treated group, but in late stage, two protein band near 58kd and 27kd did not appeared in the toxic affected group. In case of caffeic acid treatment, two protein band near 58kd and 27kd did not found at late stage too.

  • PDF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항염 및 항균효과 (Study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as a Cosmetic Material)

  • 장민정;김영훈;안봉전;이창언;이진태;김세현;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15-220
    • /
    • 2008
  • 최근 식물을 이용한 추출물이 화장품과 의약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미활용 부위인 리기다소나무 내수피의 화장품소재로써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항염효과, 항균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결과 100ppm에서 물가용부는 88.7%, EtOAc가용부는 99%로 대조군인 vitamin C와 유사한 소거작용을 나타내어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의 뛰어난 아질산염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의 NO 저해활성이 세포독성으로 인한 cell population의 저하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관찰하기위해 MTT assay를 통해 cell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이것을 토대로 NO 저해활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의 배양액 중에 생성된 nitrite양을 griess시약을 사용하여 NO생성 저해를 측정하였다. 물가용부와 EtOAc가용부 모든 농도에서 12시간부터 24시간까지 NO생성을 저해하였으며, 물가용부는 100ppm의 낮은 농도에서 뛰어난 NO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항균효과 측정 실험에서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하여 물가용부 3mg/disc에서 14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OAc가용부는 3mg/disc에서 15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효모인 C. albicans에 대해서는 EtOAc가용부 3mg/disc에서 15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S. epidermidi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에서는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리기다소나무 내수피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효과와 천연 소재로서 화장품 산업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기다 소나무림(林)의 직경연년성장량(直徑連年成長量) 추정(推定) (A Estimation on the Annual Growth in Diameter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Stand)

  • 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1973
  • 본시험(本試驗)은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의 재적성장량(材積成長量)을 추정(推定)하기 위(爲)하여 예비적(豫備的)으로 직경성장량(直徑成長量)을 추정(推定)한 것이다. 표준목(標準木) 223본(本)중 기각목(棄却木)은 전체(全體) 본수(本數)의 약(約) 5%인 12본(本)으로 대체적으로 일률적(一律的)인 성장(成長)을 하고있으며 기각목(棄却木)은 병충해목(病蟲害木)이 이에 속(屬)하고 있으며 임상별(林相別)로 기(旣) 조사발표(調査發表)된 것과 비교(比較)할 때에 단일수종(單一樹種)인 리기다소나무 임분(林分)의 성장(成長)이 가장 좋았다. 직경(x)과 직경성장량(y)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다음과 같다. y=0.1618+0.0298x 단(但) r=0.9886이다. 리기다소나무 16년생임분(年生林分)의 D.B.H와 평균연년(平均連年) 직경성장량(直徑成長量)의 최소(最少), 평균(平均) 및 최대치(最大値)는 다음과 같다.

  • PDF

수본(數本)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전파증식(傳播増殖)중에 있는 리기다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Genetic Structure of Pinus rigida Mill. in an Expanding Population Originating from a Few Founder Trees)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6-26
    • /
    • 1986
  • 처음 8본의 리기다소나무 양친수로부터 전파 증식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AAT, GDH, LAP 등의 Allozyme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표본으로 선정된 리기다소나무 집단은 산의 남쪽 낮은 지대에 처음 식재되었던 8본의 양친수로부터 종자가 무더기 무더기로 군데군데 colony를 형성하면서 동쪽, 서쪽, 북쪽으로 전파 증식되어 산지의 각 부분 부분마다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가계군(家系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이주(移柱)와 colony 형성과정에서 부분적으로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결과 처음 리기다소나무 colony가 형성되었던 산의 남쪽지역과 나중에 colony가 형성되었던 북쪽 지역의 소집단 사이에 상당량의 유전자 빈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Inbreeding과 Genetic Drift 현상에 의해 소수 유전자좌(座)에 유전자 고정 현상이 나타났으나 기타의 유전자좌(座)에서는 유전자 Recombination이 일어났다. Gene Recombination에 의한 이형접합체(異型接合體)의 형성과 이들의 자연도태 현상에 의해 유전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소수의 리기다소나무 집단에 있어서도 상당량의 유전적 다양성과 이형접합성(異型接合性)이 유지되고 있었다.

  • PDF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고온건조(高溫乾燥) (High-temperature drying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dimension lumber)

  • 박문재;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53-66
    • /
    • 1987
  •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and pitch pine(Pinus rigida Mill) $5{\times}10cm$ dimension lumber were dried in a kiln providing a cross-circulation velocity of 5 m/sec at dry-and wet-bulb temperatures of 116 and $71^{\circ}C$, followed by 3 hours at 91 and $85^{\circ}C$. Compared to dimension lumber dried lumber were as follows. 1. To dry to 10 percent moisture content, the high-temperatures schedule of Korean red pine and pitch pine lumber took less than one seventh the time required by the conventional kiln drying schedule. 2. High-temperature drying rate and conventional drying rate to 10 percent moisture content of Korean red pine lumber were 2.75 and 0.35%/hr, and those of pitch pine lumber were 3.38 and 0.46%/hr respectively. 3. Compared to lumber of both species on conventional schedule, moisture gradient of high-temperature lumber was greater. 4. Compared to lumber on conventional schedule, maximum surface checking of high-temperature lumber of both species was severer, and maximum end checking of high-temperature lumber of both species was similar to that of lumber on conventional schedule. 5. Compard to lumber on conventional schedule, Korean red pine lumber dried at high temperature showed more honeycombing, but pitch pine lumber dried at high-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ly slighter honeycombing. 6. Compared to lumber on conventional schedule, the high-temperature lumber showed less warping lumber of both species. 7. Collapse and casehardening of Korean red pine and pitch pine lumber on both scheules were slight.

  • PDF

Nail Withdrawal Behavior for Domestic Small Diameter Logs

  • Cha,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04-108
    • /
    • 2002
  • Nail withdrawal tests were conducted on clear wood of domestic small diameter logs. Nails were driven into the cross and longitudinal sections of each specimen, then nail withdrawal tests were performed. Nail withdrawal load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direction of nail positions. The average load values for the nail withdrawal both in cross section and longitudinal section are higher in high specific gravity (SG) wood of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Carr.) than those in low SG wood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The average ratio of the nail withdrawal loads for side-grain and end-grain are higher in the low SG wood than that in the high SG of wood. Both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nail withdrawal load with SG, good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nail withdrawal load and SG.

사방시공지(砂防施工地)에 있어서 리기다소나무의 수근(樹根)의 분포(分布)에 미치는 토양견밀도(土壤堅密度)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Hardness on the Root Distribution of Pinus rigida Mill. Planted in Association with Sodding Works on the Denuded Land)

  • 조희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6-76
    • /
    • 1982
  • 사방시공지(砂防施工地)에 널리 조림(造林)되는 리기다소나무의 근계분포(根系分布)와 토양(土壤)의 견밀도(堅密度)의 관계(関係)를 구명(究明)하고자 표본지(標本地)를 선정(選定) 대표목(代表木)의 경사하측(傾斜下側)에 환상(環状)의 토양단면(土壤斷面)을 만들어 각토층별(各土層別)로 토양경도(土壤硬度)를 산중식(山中式) Soil hardness tester로 측정(測定)하고 수근(樹根) (중세근(中細根))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분포(分布)한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토양(土壤)의 견밀도(堅密度)는 토심(土深)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평균(平均) 지표경도(指標硬度)는 I층(層)에서 14.6mm II층(層)에서 16.2mm, III층(層) 17.2mm, IV층(層)에서는 18.3mm, V층(層)에서는 19.8mm였다. 2) 수근(樹根) (중세근(中細根))은 표층(表層)에 이를수록 많이 분포(分布)하여 토층(土層)이 깊어짐에 따라 그 수(數)가 감소(減少)하여 I층(層) 수근(樹根)의 수(數)를 1(31%)로 할때 II층(層)은 0.84(26%), III층(層)은 0.6(18%), IV층(層)은 0.4(12%), V층(層)도 0.4(13%)이다. 3) 토양(土壤)의 견밀도(堅密度)와 수근(樹根)의 분포(分布)는 음(陰)의 상관관계(相関関係)에 있어 견밀도(堅密度)가 높아지면 이에따라 수근(樹根) 수(數)는 감소(減少)한다. 각(各) 토층별(土層別) 토양(土壤)의 견밀도(堅密度)와 수근분포(樹根分布)의 상관계수(相関係数)는 I층(層)은 -0.3875, II층(層)은 -0.5299, III층(層)은 -0.5573, IV층(層)은 -0.6922, V층(層)은 -0.7325, 전체평균(全体平均)은 -0.9469로서 모두 유의적(有意的)이었다. 4) 리기다소나무의 수근(樹根) (중세근(中細根))의 성장(成長)에 최적합(最適合)한 토양(土壤)의 견밀도(堅密度)는 지표경도(指標硬度)는 12.0~14.9mm로서 이 계급(階級)에 속(屬)하는 지표경도(指標硬度)는 33%이고 수근(樹根)의 분포(分布)는 41.8%이다. 또 지표경도(指標硬度) 20.9mm까지는 82%이나 수근(樹根) 93.2%가 분포(分布)하고 있어 지표경도(指標硬度) 20.9mm이하(以下)까지가 리기다소나무의 수근(樹根)의 생장(生長)에 적합(適合)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국산(國産) 주요(主要) 침엽수종(針葉樹種)의 복합집성재개발(複合集成材開發) 및 휨가공성(加工性) 분석(分析)(I) -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송의 증자(蒸煮)에 의한 소재(素材)휨가공(加工) - (Development of Compound Laminated Wood and Analysis of Bending Processing Properties with Major Softwoods Grown in Korea (I) - Solid wood-bending of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by steaming -)

  • 소원택;임기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8-19
    • /
    • 1989
  • 본 연구(硏究)는 장기간 조림장려수종(造林奬勵樹種)으로서 전국에 식재되어 이미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하고 있으나 품질이 불량해서 외면당하고 있는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송과 우리나라 천연자생수종(天然自生樹種)이며 임목축적량이 많은 소나무를 공시목(供試木)으로 선정하여 곡목가공분야(曲木加工分野)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증자법(蒸煮法)에 의한 소재(素材)휨가공성(加工性)을 조사하였다. 이 때 사용된 휨가공시편(加工試片)의 일반크기는 두께와 폭 15mm, 길이 350mm로 제작하였으며 시편(試片)의 함수율(含水率)은 15+1%로 조습(調濕)된 기건시편(氣乾試片)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변재와 심재별 최소곡률반경(最小曲率半徑)은 각각 소나무 300-260mm 및 320-260mm, 리기다소나무 280-240mm 및 240-220mm, 낙엽송 340-300mm 및 320-300mm로서 소나무는 변재,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은 심재의 휨가공성(加工性)이 다소 양호(良好)하였다. (2) 판목재(板目材), 추정목재(追柾目材) 및 정목재별(柾目材別) 최소곡률반경(最小曲率半徑)은 각각 소나무 300-260mm, 320-260mm 및 280-240mm, 리기다소나무 280-240mm, 280-240mm 및 260-220mm, 낙엽송 320-300mm, 360-340mm 및 300-320mm로서 대체로 정목재(柾目材)의 휨가공성(加工性)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휨가공(加工)을 위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송의 최소연화처리시간(最小軟化處理時間)은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각각 15분, 15분 및 30분 이었다. (4) 휨가공(加工)을 위한 적정함수율(適正含水率)은 3수종(樹種) 모두 섬유포화점(鐵維飽和点) 30%에서 최대 휨가공성(加工性)을 나타냈으며 그 이상 건조(乾燥)시켜도 휨가공성(加工性)의 향상(向上)은 얻을 수 없었다. (5) 본 시험(試驗)에서 얻은 최적조건 (Table 6) 으로 휨가공(加工)을 실시한 결과(結果)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송의 최소곡률반경(最小曲率半徑)은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각각 260mm, 240mm 및 300mm이었다.

  • PDF

소나무속 잎의 성분 분석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 황병호;조재현;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
    • /
    • 2000
  • 침엽수 속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류 4수종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는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비교적 많은 1534 IU로 나타났으며, 비타민 C는 해송에서 158 mg%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4수종에서 19종이 분석되었으며,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icd는 4수종에서 다량 분석되었고, 특히 리기다에서 23.86%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glutanic acid, leueine, arginine, aspartic acid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분석되었고, 이들 중에는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Rut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헤송 잎이 10.34%로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 5.61%, 소나무 3.76% 그리고 리기다 1.3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고 침엽수 4수종중 소나무에서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A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방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해송과 잣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수종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나무잎의 일반 및 특수성분들이 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건강식품개발을 위해서는 풍부한 원료자원면이나 식품영양학측면에서 소나무 잎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자료는 우선 솔잎가공식품 분야와 임산화학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