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est

검색결과 1,243건 처리시간 0.027초

Carbon Storage in Aboveground, Root, and Soil of Pinus densiflora Stand in Six Different Sites, Korea

  • Park, Gwan-Soo;Choi, Jaeyong;Lee, Kyung-Hak;Son, Young-Mo;Kim, Rae-Hyun;Lee, Hang-Goo;Lee, Sang-Ji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
    • /
    • 2009
  • Due to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and global warming, the importance of forest ecosystems, as a place of carbon accumulation and emission, has received a great amount of recognition late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understand and provide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cycle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Korea.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verage 35-years-old Pinus densifiora rands in Gongju, Youngdong, Chungsan, Muju, Mupung, and Jangsu regions. Total thirty aboveground sample trees were cut, and ten roots were sampled,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verage carbon concentrations in foliage, branch, stem bark, stem wood, and root were 55.7%, 56.0%, 56.0%, 57.3%, and 56.5%, respectively. Carbon content was estimated by the model $Wt=aD^b$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 (aboveground and root) was 42.39tonC/ha in the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mwood, root, branch, stem bark, and foliage. Total net primary production (aboveground and root) was estimated at 6.51tonC/ha/yr in Pinus densiflora stand. The proportion of each tree component to total net primary carbon content was high in order of sternwood, root, branch, foliage and stembark. Soil carbon contents in the study sites was 43.51tonC/ha at 0-50cm soil depth.

기후인자가 Pinus densiflora의 연륜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 이상태;박문섭;전향미;박진영;조현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7-186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의 지역별 연륜생장의 특성 및 기후권역 분류에 의한 온도 및 강수량이 임목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륜생태학적 측면에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전국 28개 시군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 권역별 군집분석에 의하여 구분된 5개 기후권역은 거창, 보은, 봉화, 영주, 영동, 영월, 원주, 제천, 태백 등의 백두대간지방과 구미, 대구, 문경, 안동, 영천, 의성 등의 경북내륙지방, 금산, 남원, 임실, 장수 등의 호남내륙지방, 밀양, 산청, 진주, 합천 등의 경남내륙지방과 그리고 김해, 영덕, 울산, 울진, 포항 등의 동부해안지방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른 각 지역별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월별평균 온도, 월별강수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3월, 경북내륙지방과 동부해안지방은 당해연도의 2~3월 그리고 호남내륙지방은 생장기 전년도 10월에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지방은 당해연도 4월, 경북내륙지방은 전년도 8월과 9월 그리고 당해연도 3월에서 정의 상관을, 호남내륙과 경남내륙지방에서는 생장기 당해연도 6월, 동부해안지역에서 6월과 9월의 강수가 정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 고성윤;성주한;천정화;이영근;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2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5~7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2~0.4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가야산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roest Begetation of Mt. Kaya)

  • Lee, Ho-Joon;Byun, Doo-Weon;Kim, Won-Sik;Lee, Hae-Seok;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3호
    • /
    • pp.287-303
    • /
    • 1993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988 to September 1992.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was classified into 3 communities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3 subunits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unit, Platycarya strobilacea subunit, typical subunit of Pinusdensiflor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lower altitudes (100~300m) than those of other communities. The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was located at the upper altitude (500m). Most of the inverstigated area were occupied by the secondary forest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 profile diagram, suggesting that it was frequently destroyed by human interference

  • PDF

국내산 주요 수종의 가구 및 목공예재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I) - 금강송과 소나무를 중심으로 - (Domestic Use of Wood for Furniture and Woodcraft Materials Characteristics Evaluation (I) - Focusing on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

  • 박병호;조원희;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4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nsible characterist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 to estimate value of the craft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wood are evaluated by wood figure, wood grain, odor,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by weathering, abrasion,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The wood figure of these species were observed at flat grain in the radial section and edge grain in the tangential section. Also, burl's figure was observed in Burl of Pinus densiflora woo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Camphene, Thymyl ether, ${\alpha}$-Longipinene, etc. Pinus densiflora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alpha}$-Longipinene, (+)-Cedrol, etc. The moisture soption, abrasion, hardness and roughnes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 PDF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류 다양성 및 서식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Amphibia Biodiversity and Habitat in the Moak Provincial Park)

  • 정규회;심재한;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78-281
    • /
    • 2001
  •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 ${\cdot}$ 파충류에 대한 생태측정 및 서식환경 분석을 하였다. 이 중 서식환경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식재림, 그리고 기타지역(웅덩이, 호수, 논, 하천 및 강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서류는 총 1목 4과 8종이 관찰 및 채집되었다. 양서류의 생물다양성 지수 조사는 종 풍부도가 1.270, 다양도는 1.77, 그리고 균등도가 0.853으로 나타났으며 서식환경을 살펴보면, 활엽수에서 42.1.%rk 관찰되었으며, 침엽수에서 11.3% 식재림에서 1.6%, 그리고 기타지역에서 45.0%가 관찰되었다.

  • PDF

대전 장태산 자연휴양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s and Management Plan for J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Daejeon City)

  • 권혜진;이지혜;신창환;최재용;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6-128
    • /
    • 2008
  • Vegetation structure of Jangtae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Daejeon City was investigated to suggest a preferable management plan.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with thirty plots. Adopting phytosociological method,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winfolds of natural and afforested area. A natural forest were composed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fforested area were with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errata in natural forest were 59.69%, 48.32%, 39.10%, 21.53%, respectively. According to diameter of breast hieght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occupancy of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ould be continuously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nagement plan for natural forest and afforested area was recommended in line with the progress of natural ecology.

전라북도 부안 지역 소나무와 진안 지역 낙엽송 생장 모형의 실용성 평가 (Evaluation of Practicality of Growth Models for Pinus densiflora in Buan and Larix leptolepis in Jinan, Jeollabukdo)

  • 서병수;임호섭;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68-373
    • /
    • 2008
  • 본 연구는 전북부안 지역의 소나무와 진안 지역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개발된 생장모형을 지역적으로 독립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기존에 개발된 생장모형이 다른 지역에도 적용 할 수 있는지의 효율성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에 개발된 소나무의 직경생장 모형은 새로운 데이터에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으나,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적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낙엽송의 직경,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지역적으로 독립된 데이터에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에 개발된 소나무의 직경생장 모형을 제외한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의 적용은 개발된 지역에서만 사용 할 수 있는 효율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낙엽송의 직경,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다른 지역에도 적용 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성을 보여 산림 자원이 풍부한 전라북도 동부 산악권 지역의 낙엽송 생장 모형으로 이용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경신(天然更新)에 의한 소나무 유령임분(幼齡林分)의 구조와 무육방법(撫育方法) (Structure and Tending Method for Naturally Regenerated Young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Stands)

  • 배상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50-62
    • /
    • 1994
  • 본 연구는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에 있는 9개의 소나무 천연경신(天然更新) 임분(林分)을 대상으로 임분(林分) 구조(構造)와 경신(更新) 상태(狀態)를 파악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는 천연경신(天然更新) 방법(方法)의 적합성(適合性) 그리고 무육(撫育) 방법(方法)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소나무와 활엽수(신갈나무) 간의 경쟁(競爭) 상황(狀況)에 따른 치수(稚樹) 무육(撫育) 방안(方案)을 고려하였다. 소나무의 생육본수(生育本數), 생장력(生長力) 그리고 임분(林分) 구조(構造) 분석(分析) 결과에 의하면 소나무의 집중적인 무육(撫育)이 없이는 임분(林分)을 구성하는 주수종(主樹種)이 되기가 힘든 상태이며 활엽수와의 경쟁(競爭)에서 열세(劣勢)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벌작업(皆伐作業)이나 모수작업(母樹作業)에 의한 소나무 천연경신(天然更新)은 지피식생(地被植生)의 번성(繁盛)으로 인하여 성공하기가 힘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기(短期) 산벌(傘伐) 작업(作業)이나 상태벌(狀態伐)이 가능성있는 방법으로 제안할 수가 있다. 치수(稚樹) 무육(撫育) 방법(方法)은 소나무 위주의 무육(撫育) 방법(方法)보다는 생장력(生長力)과 분포(分布)에 따라 소나무, 신갈나무의 군상(群狀) 혼효림(混淆林)을 유도하는 무육책(撫育策)이 유리하게 판단되었다.

  • PDF

Geographic Variation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 Kim, In-Sik;Ryu, Keun-Ok;Song, Jeong-Ho;Kim, Tae-S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73-8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ographic variation among provenances of Pinus densiflora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at four test plantations (Jungsun, Chungju, Naju, and Jeju). The plantations were parts of the eleven provenance trials of Pinus densiflora establish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1996. The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st plantations at $p{\leq}0.01$. Latitude and longitude of test plant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n the other hand, annual mean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Nov.~Feb.), extremely low temperature (Dec.~Feb.), and annual mean growing days of test plant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se two.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variables and geographic variables were analysed with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 considerable amount of variation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explained by latitude, annual mean growing days, extremely low temperature (Dec.~Feb.) and extremely high temperature (Nov.~Feb.) of provenances. It is estimated that up to 47.1% and 67.4% of the genetic variability in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attributable to the environmental variability of the provenances, respectively. The response surface curve of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was plotted against latitude and longitude to examine growth performance of provenances for each test site. Generally, the local provenances showed better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