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Con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7초

건축용 목재의 열 유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 우태영;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14
    • /
    • 2018
  • 본 연구는 건축용 목재의 화재위험성에대하여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열방출 성질은 cone calorimeter (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4종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외부 열유속 $25kW/m^2$에서 연소시킨 후 측정된 착화시간은 35 s부터 55 s까지였다. 나왕(lauan)과 적송의 착화 시간은 각각 54 s, 55 s로 가장 지연된 값으로 얻어졌다. 최대열방출율은 $156.87{\sim}235.1kW/m^2$ 였고 화재초기의 위험성은 가문비나무가 가장 높았다. 삼나무의 평균유효연소열은 19.1 MJ/kg였고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FP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2468s{\cdot}m^2/kW$) < 적송($0.2339s{\cdot}m^2/kW$) < 가문비나무($0.2308s{\cdot}m^2/kW$) < 삼나무($0.2231s{\cdot}m^2/kW$) 순으로 높았고 화재성장지수(FG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5088kW/m^2{\cdot}s$) < 적송($0.511kW/m^2{\cdot}s$) < 삼나무 ($2.8522kW/m^2{\cdot}s$) < 가문비나무($3.0662kW/m^2{\cdot}s$) 순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목재의 열방출 특성에 대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와 삼나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Mice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Pine Cone (Pinus koraiensis) Supercritical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다솜;이민희;김혜숙;정특래;양현필;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1-17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를 통한 비만을 유도시키며 동시에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8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20 mg/kg b.w.(HFD+PC low),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100 mg/kg b.w. (HFD+PC high) 섭취군의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대조군(HFD)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백색 지방, 총 지방 무게의 변화량 역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V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이 HFD군에 비해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LDL 비율을 계산한 결과에서는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 조직에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PPAR-{\gamma}$, SREBP, C/EBP)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adipogenic enzyme(FAS, LPL)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이용한 잣나무 채종원의 구과해충 방제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Cone Insects o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 Orchard)

  • 송병민;권건형;정상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96
    • /
    • 2006
  • In order to prevent cones from being damaged by cone insects, Gravitarmata margarotana and Dioryctria abietella, sprinkler system was installed on the Pinus koraiensis Seed Orchard. Such a test was conducted at Chung-ju, Chungcheong buk-do, Korea in 2002. Insectides of Diflubenzuron 25% WP ${\times}2,500$ and Cyfluthrin 2%EC ${\times}\;1,000$ were sprayed at fifteen-day and twenty-day intervals during the period of insects adult occurrence by sprinkler system. The Gravitarmata margarotana generally emerged for about 53 days from middle April to early June, and peak emergence was 10 days from April 20 to April 30. Dioryctria abietella generally emerged for about 108 days from late April to early August, and peak emergence was 10 days from May 20 to May 30. Damage rate of cones were $8.7{\sim}9.7%$ and $10.9{\sim}12.7%$ on average with crown insecticide spraying with Cyfluthrin and Diflubenzuron, while 67.5% when not treated. Control effectiveness of this insecticide spraying was $85.6{\sim}87.1%$ and 83.9%와 81.2%, respectively. When it considers the forest environment, it is recommended diflubenzuron which is low toxic pesticide. In conclusion, effectual times and number of diflubenzuron 25% WP application with sprinkler system against cone insects were from early May through late August and six times at twenty-day interval.

잣나무넓적잎벌 피해(被害)가 잣나무구과형성(毬果形成)과 구과(毬果) 및 종자생산량(種字生產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Black-tipped Sawfly, 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 Matsumura, on Cone Formation and Cone and Seed Production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arini)

  • 정상배;신상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98-504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최근(最近) 잣나무넓적잎벌이 국부적(局部的)으로 대발생(大發生)하여 잣나무에 치명적(致命的) 피해(被害)를 가(加)하고, 또한 급진적(急進的)으로 확산(擴散)되고 있는 중부지방(中部地方)의 잣나무임분(林分)에 대(對)하여 해충(害蟲)에 의(依)한 피해(被害)가 잣구과(毬果)의 화아형성(花芽形成)과 구과(毬果) 및 종자생산량(種字生產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여 경제적(經濟的) 피해수준(被害水準)을 결정(決定)하고 방제전략(防除戰略)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爲)하여 경기도(京畿道) 가평군(加平郡)의 임분(林分)을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나무넓적잎벌 피해(被害)로 인(因)한 잣나무구과(毬果)의 화아형성(花芽形成) 저해(沮害)는 엽손실율(葉損失率) 30-40% 범위(範圍)에서부터 나타나며 70% 이상(以上)에서는 착과현상(着果現象)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2. 2년생(年生) 구과(毬果)에서의 착과율(着果率)과 현존량(現存量)의 감소(減少)는 엽손실율(葉損失率) 61-70% 범위(範圍)에서 부터 나타나며 잣종실생산(種實生產)에 미치는 엽손실율(葉損失率)의 허용한계수준(許容限界水準)은 51% 범위(範圍)였다. 3. 잣나무넓적잎벌 피해(被害)로 인(因)한 잣나무의 생장저해(生長沮害)는 엽손실율(葉損失率) 50% 범위(範圍)에서, 그리고 구과(毬果)의 생산량(生產量)을 저해(沮害)하는 엽손실율(葉損失率)의 범위(範圍)는 30~40%이다. 따라서 본해충(本害蟲)의 구제(驅除)를 대상(對象)으로 하는 피해허용한계(被害許容限界)는 목재생산(木材生產)과 구과생산(毬果生產)의 두 경우(境遇)로서 엽손실율(葉損失率) 각각(各各) 50%와 30% 수준(水準)인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건축용 난연 목재 개발에 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for Construction)

  • 서현정;김남균;조정민;이민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49-15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fire-retardant performances and combustion/thermal characteristics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fire-retardant untreated wood from the expreimental resutls of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ic(TG) analyzer. Hazardousness of combustion product gases for fire-retardant treated wood and untreasted wood were also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internal finish material incombustibility test according to the Korea standard code of KS F 2271. In this study, we also tried to improv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wood by applying fire-retardant chemical composites, and to secure the fire safety performance in buildings. Red pine (Pinus densiflora) was selected as a test specimen because it is most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in Korea. Fire retardant chemical composites (FRCs) were prepared by mixing boron, phosphorous, and nitrogen species and treated by press-impregnation method. Water-based FRCs were composed of 3% boric acid($H_3BO_3$), 3% borax decahydrate($Na_2B_4O_7$), 8% ammonium carbonate($(NH_4)_2CO_3$), diammonium phosphate ($(NH_4)_2HPO_4$) varied from 10-30% and potassium carbonate($K_2CO_3$) varied from 10-30%. From the test results of cone calorimeter, TG analysis and gas hazard assessments, newly proposed were the optim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s of FRCs which can sufficiently meet fire-retardant level 3 based on Korea law of construction. Thus, the FRC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and widespread of usage in wood as building materials.

잣나무 구과(毬果)의 광합성(光合成)과 호흡(呼吸)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Rates in Strobili of Pinus koraiensis S. et Z.)

  • 한상섭;김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92-99
    • /
    • 1988
  • 잣나무 구과(毬果)의 생장(生長)에 따른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CO_2$ 재고정속도(再固定速度)), 암호흡속도(暗呼吸速度), $CO_2$, 수지(收支), 크로로필함량(含量) 등을 측정고찰(測定考察)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과(毬果)는 당년(當年)에 길이 3.6cm 직경(直徑) 2.4cm, 건중(乾重) 3.05g까지 자랐으며 2년(年)째에 길이 13.5cm, 직경(直徑) 9.3cm, 건중(乾重) 141.0g까지 자랐다. 2. 구과(毬果)의 암호흡(暗呼吸)에 대한 $CO_2$재고정율(再固定率)(광합성율(光合成率))은 전생장기간(全生長期間)동안 광포화(光飽和)에서 50%이하였다. 년간(年間)의 $CO_2$재고정율(再固定率)은 당년생구과(當年生毬果)가 7.3%, 2년(年)째 구과(毬果)가 8.7%였다. 3. 온도상승(溫度上昇)에 따른 구과(毬果)의 암호흡속도(暗呼吸速度)는 $25^{\circ}C$이하에서는 급격한 상승(上昇)을 보이나 $25^{\circ}C$이상에서는 느린 상승(上昇)을 나타냈다. 같은 온도(溫度)에서는 비생장기(非生長期)의 암호흡속도(暗呼吸速度)가 생장왕성기(生長旺盛期)보다 높았다. 4. 구과(毬果)의 암호흡속도(暗呼吸速度)와 $CO_2$재고정속도(再固定速度)는 당년생구과(當年生毬果)가 2년(年)째 구과(毬果)보다 현저히 높았다. 5. 수분후(受粉後) 완숙(完熟)될 때까지 구과(毬果)의 $CO_2$ 수지(收支)는 마이너스 값을 나타냈다. 년간(年間) 순호흡소비량(純呼吸消費量)은 당년생구과(當年生毬果)가 7.23 $CO_2g/cone$, 2년(年)째 구과(毬果)가 164.8 $CO_2g/cone$이었다. 6. 년간호흡소비효율(年間呼吸消費效率)(=순호흡소비량(純呼吸消費量)/건물중생산량(乾物重生産量))은 당년생구과(當年生毬果)가 1.61이고, 2년째 구과(毬果)가 0.81이었다. 7. 구과(毬果)의 크로로필 a, b의 총함량(總含量)은 전생장기간(全生長期間)을 통해 2mg/g dw 이하였고, Chl. a/b값은 2~3을 나타냈다.

  • PDF

Identification of a Regulatory Region within the luxR Structural Gene in a Marine Symbiotic Bacterium, Vibrio fischeri

  • Choi,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76-182
    • /
    • 1994
  • The light-organ symbiont of pine cone fish, Vibrio fischeri, senses its presence in the host and responds to environmental changes by differentially expressing its symbiosis-related luminescence genes. The V. fischeri luminescence genes are activated by LuxR protein in the presence of an autoinducer. In an effort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regulation of luxR, a plasmid containing luxR was mutagenized in vitro with hydroxylamine and a luxR mutant plasmid was isolated by its ability to activate luminescence genes cloned in E. coli in the absence of the autoinducer. The specific base change identified by DNA sequencing was only single base transition at +78 from the transcriptional start of luxR. Based on a Western immunoblot analysis, the nucleotide change directed the synthesis of much higher level of LuxR protein without any amino acid substitu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 including the +78th base is presumably internal operator required for autorepression of luxR, and the increased cellular level of LuxR results in activation of luminescence genes by autoinducer independent fashion.

  • PDF

페이즐리 숄 디자인에 관한 역사적 고찰 -카슈미르 숄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the Paisley Shawl Design -Focus on Kashmir Shawl-)

  • 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9-52
    • /
    • 2005
  •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paisley shawl and paisley motif to focus on Kashmir shawl. Kashmir shawl and paisley shawl of Europe can be identified by the use of 'pine cone' motif. Early 19th Europe textile manufactures began imitating the Kashmir shawl, the motif began to be called 'paisley', after Paisley, Scotland, one of the largest producers of imitation Karshmir shawls. This study is to analyze on origin of shawl and paisley motif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ain issues are to study on organization of the Kashmir shawl indusry, weaving technic and producing process, development of motif, change of size and border design of shawl, difference of Woven Kashmir shawl, Patchwork shawl and hml shawl, causes of decline to shawl industry, differences of between Kashmir and European shawl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to understand correct and accurate information, knowledge of paisley motif and paisley shawl.

  • PDF

바인더의 첨가가 목재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Binders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 안병준;장희선;조성택;한규성;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475-489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과 백합나무 톱밥을 이용한 펠릿의 제조 과정에서 바인더로 일정량의 유채박, 커피부산물, 수피, 솔방울, 리그닌 분말을 첨가하여 바인더의 종류 및 첨가량이 내구성을 포함한 펠릿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바인더와 함께 제조한 펠릿의 품질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고시한 목재 펠릿 품질 규격 1등급 기준을 대부분 상회하였으며, 일부 과다한 양의 바인더를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에서만 높은 회분 함량으로 2~3등급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인더 종류 및 첨가량에 따른 펠릿의 내구성은 리그닌, 유채박 그리고 커피부산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에서 우수하였으며, 백합나무 펠릿은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내구성도 향상되었다. 한편 낙엽송 펠릿의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내구성 향상 효과는 크지 않았으며, 수피와 솔방울을 바인더로 사용하였을 때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내구성이 감소하였다. 제조된 펠릿의 광학/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으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바인더의 첨가는 목재 펠릿의 품질 향상에 대부분의 항목에서 기여하였으며, 특히 커피부산물을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한 펠릿의 경우 모든 품질에서 뚜렷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저렴한 바인더의 안정적인 확보가 이루어진다면 바인더의 첨가로 인하여 연료적 품질이 향상된 목재 펠릿의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의 밀도·접착·강도성능 및 내부후성 (Density, Bonding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Decay Resistance of Radiata Pine Laminated Veneer Lumber)

  • 서진석;이동흡;황원중;오형민;박영란;강승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44-350
    • /
    • 2011
  •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LVL)를 제조함에 있어서, CuAz 및 ACQ 방부처리와 비처리,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와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의 상온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함에 따른 밀도경사, 접착 강도성능 및 내부후성(방부효력)을 살펴보았다. 결과, LVL의 밀도경사에서 접착층 주변이 원추형으로 밀도가 커지는 경사패턴을 보였다. 접착성은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전층이 박리되거나, 일부 층이 박리하고 할렬 틈새 현상이 일어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접착층의 응력이 큰데 연유한 굽음과 상하 접착층 사이의 단판의 수직할렬 현상이 있었으나, 접착층의 박리나 할렬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침지박리접착력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방부효력시험에 있어서,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로 적층한 LVL의 경우 갈색부후균에 의한 부후도가 백색부후균보다 크게 나타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로 LVL을 제조한 경우에는 갈색부후균에 의한 질량감소가 적었고, 약제를 처리하지 않더라도 그 피해가 낮았으며, 약제처리한 것은 질량감소율 0 수준을 보일 정도로 방부효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