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29-L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5초

Pi29-L DNA 프로브를 이용한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 Using Pi29-L DNA Probe.)

  • 국중기;백동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5-209
    • /
    • 2003
  • Recently, we introduced a new method for rapid screening of bacterial species- or subspecies-specific DNA probes, named “inverted dot blot hybridization screening method”. We then applied this method to develop species- or strain- specific DNA probes for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In those studies, among 96 candidate DNA probes which were screened by the new method, 5 probes were confirmed as being putatively strain-specific : 3 probes for P. nigrescens 9336 (ATCC 33563), one for each p. intermedia ATCC 25611 and one for P. nigrescens G8-9K-3 (ATCC 49046).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by Southern blot analysis a DNA probe Pi29-L, one of the 96 candidate probes described above, whether it is specific for the strain ATCC 25611 off. intermedia. Our data show that the probe Pi29-L is potentially P. intermedia ATCC 25611-specific, which can be useful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train, particularly in maintenance of the strain.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3. 동지나해산 덕대의 연령과 성장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3. Age and Growth of Korean Pomfret, Pampsu echinogaster, from the East China Sea)

  • 강용주;이동우;홍병규;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1-290
    • /
    • 1989
  • 1987년 $1\~2$월에 걸쳐 동지나해에서 대형기저쌍끌이어업에 의해 어획된 덕대를 대상으로 연령,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추체로 하였으며, 추체경에 대한 연역지수에 의한 윤문의 형성은 $9\~10$월에 걸쳐 연1회 형성되었다. 추체경(R)에 대한 체장(FL)과의 관계는 암컷 : $FL=8.8262R^{0.7709}$ 수컷 ; $FL=8.9676R^{0.7976}$ 전체 ; $FL=8.7883R^{0.7681}$과 같다. 체장(FL)에 대한 체중(BW)과의 관계는 암컷 : $BW=0.0093FL^{3.3795}$ 수컷 ; $BW=0.0081FL^{3.4153}$ 전체 : $BW=0.0084FL^{3.4125}$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장($L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17(1-e xp(-0.3213(t+0.7601)))$$ 수컷 ; $$L_t= 28.21(1-e xp(-0.3L69(t+0.8284)))$$ 전체 : $$L_t=29.00(1-e xp(-0.3228(t+0.7361)))$$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중($W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W_t=829.4(1-e xp(-0.3213(t+0.7601)))^{3.3795}$$ 수컷; $$W_t=747.6(1-e xp(-0.3169(t+0.8284)))^{3.4154}$$ 전체 : $$W_t=816.8(1-e xp(-0.3228(t+ 0.7361)))^{3.4125}$$와 같다. 월별 연령별 평균체장($L_t$)에 대한 주기변동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2(1-e xp(-0.3458(t+0.8182)+(0.3458/2\pi) sin2\pi(t+0.027)))$$ 수컷 : $$L_t=28.2(1-e xp(-0.2789(t+1.5193)+(0.2789/2\pi) sin2\pi(t-0.1062)))$$와 같다.

  • PDF

ON THE MARTINGALE EXTENSION OF LIMITING DIFFUSION IN POPULATION GENETICS

  • Choi, Wo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2권1호
    • /
    • pp.29-36
    • /
    • 2014
  • The limiting diffusion of special diploid model can be defined as a discrete generator for the rescaled Markov chain. Choi([2]) defined the operator of projection $S_t$ on limiting diffusion and new measure $dQ=S_tdP$. and showed the martingale property on this operator and measure. Let $P_{\rho}$ be the unique solution of the martingale problem for $\mathcal{L}_0$ starting at ${\rho}$ and ${\pi}_1,{\pi}_2,{\cdots},{\pi}_n$ the projection of $E^n$ on $x_1,x_2,{\cdots},x_n$. In this note we define $$dQ_{\rho}=S_tdP_{\rho}$$ and show that $Q_{\rho}$ solves the martingale problem for $\mathcal{L}_{\pi}$ starting at ${\rho}$.

UNIQUENESS RESULTS FOR THE NONLINEAR HYPERBOLIC SYSTEM WITH JUMPING NONLINEARITY

  • Jung, Tack-Sung;Choi, Q-Heung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9권4호
    • /
    • pp.723-732
    • /
    • 2007
  •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solutions u(x, t) for a perturbation b[$(\xi+\eta+1)^+-1$] of the hyperbolic system with Dirichlet boundary condition (0.1) = $L\xi-{\mu}[(\xi+\eta+1)^+-1]+f$ in $(-\frac{\pi}{2},\frac{\pi}{2}\;{\times})\;\mathbb{R}$, $L\eta={\nu}[(\xi+\eta+1)^+-1]+f$ in $(-\frac{\pi}{2},\frac{\pi}{2}\;{\times})\;\mathbb{R}$ where $u^+$ = max{u,0}, ${\mu},\nu$ are nonzero constants. Here $\xi,\eta$ are periodic functions.

천년초 선인장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HT-29 대장암 세포증식 저해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Opuntia humifusa Ethanol Extract on Human Carcinoma HT-29 Cells)

  • 박수영;김영아;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27-1834
    • /
    • 2014
  •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대장암 세포 HT-29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은 천년초의 일반성분 분석과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체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세포사멸 현상을 비교 관찰하고 항암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천년초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을 진행한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과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의 함량이 높았고 Na/K의 비율과 P:Ca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천년초 70% 에탄올, 메탄올, 열수 추출물을 0.25, 0.5, 1, 2 mg/mL의 농도로 HT-29 세포에 48시간 처리하고 WST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는 모든 군에서 세포증식이 억제되었으며(P<0.05), 특히 에탄올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효능을 보였다. Hoechst 33342 & PI로 이중으로 핵을 염색해서 세포사를 관찰한 결과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apoptotic body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1 mg/mL의 농도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2 mg/mL에서는 세포사를 관찰할 수 있었다. Annexin V & PI double staining을 통하여 저농도(0.25~0.5 mg/mL) 시료 처치군에서는 전반적으로 apoptosis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고농도(1~2 mg/mL)로 처리한 군에서는 dead cell이 84.7%, 89.3% 나타나 세포가 세포 사멸과정을 거쳐 세포괴사로 진행된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comet assay를 통해 용매 대조군에 비해 1~2 mg/mL 농도에서 유의하게 DNA가 분절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따라서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은 인체 유래 대장암 세포 HT-29의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천년초의 항암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나, 확실한 효과와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로 된다.

Betulinic acid의 PI3K와 AMPK경로 활성화를 통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촉진 효과 (Betulinic Acid Stimulates Glucose Uptake through the Activation of PI3K and AMPK in 3T3-L1 Adipocytes)

  • 이정경;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62-770
    • /
    • 2022
  • 제 2형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인슐린 민감성및 저항성을 개선하여 세포속으로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서 완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triterpenoid 화합물인 betulinic acid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를 개선하여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키는지를 조사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PM-GLUT4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Betulinic acid는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에서 PI3K의 활성화 및 IRS-1tyr, Akt의 인산화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MPK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pAMPK와 AMPK 하위인자인 pACC의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Betulinic acid에 의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해, PI3K 억제제(Wortmannin)와 AMPK의 억제제(Compound C)를 사용하여 이들 처리에 의한 포도당 흡수능과 PM-GLUT4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발현이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본 연구에서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막으로 포도당 수송체인 GLUT4 전위를 촉진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betulinic acid가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고혈당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계획구매를 고려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판매촉진 비용 분담 (Cooperative Sales Promotion in Manufacturer-Retailer Channel under Unplanned Buying Potential)

  • 김현식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4호
    • /
    • pp.29-53
    • /
    • 2012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판매촉진 구사가 증가하면서 이들 사이의 바람직한 판매촉진 비용 분담 방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통업체 점포를 방문하는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요소는 유통업체에게 명시적 잉여를 제공하지만 제조업체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이를 고려한 판매촉진 비용 분담의 방향 제시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유통업체 방문 소비자의 점포내 비계획구매 요소가 있을 때 제조업체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점포내 비계획구매 요소가 있을 때 제조업체가 구체적으로 공동 판매촉진 행동을 어떻게 전개해야 하는지 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통업체 점포 방문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수준이 증가할수록 채널 전체의 판매촉진 수준은 높아지고, 제조업체의 비용 분담액도 커진다. (2) 유통업체 점포 방문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수준이 증가할수록 채널 전체 판매촉진 비용 중에서 제조업체의 판매촉진 비용 분담 비중은 낮아지고, 유통업체의 판매촉진 비용 분담 비중은 높아진다. (3) 제조업체 이익은 유통업체 점포 방문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수준인 b의 증가함수이다. (4) 유통업체가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대상 제품을 조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통업체 점포 방문 소비자의 비계획구매 수준 증가에 따른 채널 전체의 판매촉진 수준 증가 정도, 제조업체의 판매촉진 비용 분담액 증가 정도, 유통업체의 판매촉진 비용 분담 비중 증가 정도, 제조업체 이윤 증가 정도가 낮아진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Low-latitude Pi2 Pulsations Observed at Bohyun Station in Korea

  • Jun, Chae-Woo;Kim, Khan-Huk;Kwon, Hyuck-Jin;Lee, Dong-Hun;Lee, Ensang;Park, Young-Deuk;Hwang, Jung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13
  • We statisticall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low-latitude Pi2 pulsations using Bohyun (BOH, Mlat = $29.8^{\circ}$, L = 1.35) ground magnetometer data in 2008. For this 1-year interval, 582 Pi2 events were identified when BOH was in the nightside from 1800 to 0600 local times. We found the following Pi2 characteristics. (1) The occurrence distribution of Pi2s is relatively constant in local times. (2) The Pi2 frequency varies in local times. That is, Pi2 pulsations in postmidnight sector had higher frequency than in premidnight sector. (3) Pi2 power in premidnight sector is stronger than in postmidnight sector. (4) Pi2 frequenc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olar wind speed and AE index. (5) Pi2 power has not a clear correlation with solar wind parameters. This indicates that Pi2 power is not controlled by external sources. (6) It is found that the most probable-time between Pi2 onsets is ${\Delta}t$ ~ 37.5 min: This is interpreted to be the period between Pi2 pulsations when they occur cyclically. We suggest that ${\Delta}t$ ~ 37.5 min is the occurrence rate of reconnection of open field lines in the tail lobe.

Wheat phytase potentially protects HT-29 cells from inflammatory nucleotides-induced cytotoxicity

  • Jeongmin An;Jaiesoon Ch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604-1611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wheat phytase as a structural decomposer of inflammatory nucleotides, extracellular adenosine triphosphate (ATP), and uridine diphosphate (UDP) on HT-29 cells. Methods: Phosphatase activities of wheat phytase against ATP and UDP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hibitors such as L-phenylalanine and L-homoarginine using a Pi Color Lock gold phosphate detection kit. Viability of HT-29 cells exposed to intact- or dephosphorylated-nucleotides was analyzed with an EZ-CYTOX kit. Secret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IL-8) in HT-29 cells exposed to substrate treated with or without wheat phytase were measur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s. Activation of caspase-3 in HT-29 cells treated with intact ATP or dephosphorylated-ATP was investigated using a colorimetric assay kit. Results: Wheat phytase dephosphorylated both nucleotides, ATP and UDP, in a dose-dependent manner.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zyme inhibitors (L-phenylalanine and L-homoarginine), wheat phytase dephosphorylated UDP. Only L-phenylalanine inhibited the dephosphorylation of ATP by wheat phytase. However, the level of inhibition was less than 10%. Wheat phytase significantly enhanced the viability of HT-29 cells against ATP- and UDP-induced cytotoxicity. Interleukin (IL)-8 released from HT-29 cells with nucleotides dephosphorylated by wheat phytase was higher than that released from HT-29 cells with intact nucleotides. Moreover, the release of IL-6 was strongly induced from HT-29 cells with UDP dephosphorylated by wheat phytase. HT-29 cells with ATP degraded by wheat phytase showed significantly (13%) lower activity of caspase-3 than HT-29 cells with intact ATP. Conclusion: Wheat phytase can be a candidate for veterinary medicine to prevent cell death in animals. In this context, wheat phytase beyond its nutritional aspects might be a novel and promising tool for promoting growth and function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under luminal ATP and UDP surge in the gut.

In Vitro Antiproliferative and Apoptosis Inducing Activity of Bibimbap on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 Tae Eun, Guon;Ha Sook, Chung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64-472
    • /
    • 2022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s of Bibimbap in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Bibimbap extract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T-29 cells by 50% at a concentration of 10.1±0.17 mg/mL for 48 h. The population of live cells decreased slightly, and the morphology changed with a reduction in cell volume (pyknosis) with Bibimbap. Treatment with 5 mg/mL of Bibimbap resulted in slight cell shrinkage. Furthermore, as the Bibimbap dose increased to 10 mg/mL, these characteristics were more evident, and HT-29 cells exhibited partial detachment by staining with the DNA-binding dye Hoechst 33342. Flow cytometric analysis by Annexin V and PI double staining showed that Bibimbap increased the levels of apoptosis.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these events showed that Bibimbap-treated cells exhibited a mitochondria-dependent apoptotic pathway through the modulation of caspase-3, caspase-8, caspase-9, and poly-ADP ribose polymerase, as well as Bax and Bcl-2 expression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Consequently, Bibimbap exerts a significant antiproliferative effect on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