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chemical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38초

피막이풀의 DPPH 라디칼과 hydroxyl radicals (OH) 항산화 활성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s (OH) Activity of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arck)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2-1026
    • /
    • 2016
  • 피막이(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는 산형과(Araliaceae)의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생약명은 천호유, 예초, 계장초, 변지금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식물의 잎과 줄기로부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환원력,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은 거대분자, 탄수화물, 핵산, 지질, 단백질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데 피막이의 잎 추출물은 8.0 mg/ml 농도일 때 78.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인체 내 항산화에 잘 알려진 라디칼로 피막이풀의 하이드록시 라디칼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86.0%였다. 다중불포화지방산 대사 효소에 관여하는 Lipoxygenases (LOXs)의 활성 저해는 8.0 mg/ml농도일 때 55.5%였다. 50%저해를 나타내는 농도(IC50)를 산출할 때 OH 활성, DPPH 활성, LOX 저해에 대해 각각 5.23 mg/ml, 6.44 mg/ml, 3.71 mg/ml이였다. 피막이 잎과 줄기 추출물은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런 피막이의 항산화 및 환원력 활성, LOX의 높은 저해율, 강환 환원력은 약리학적 소재로 좋은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in Pepper (Capsicum annuum L.) Breeding Lines)

  • 정미리;황영;김혜영;조명철;황인국;유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2-6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 및 활성 평가를 함으로써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apsaicinoid의 함량은 0.1에서 204.2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279.1에서 1695.5 mg/100 g으로 넓은 분포 범위를 보였다. Polyphenol 함량은 2.6에서 10.2 mg/g 수준으로, flavonoid 함량은 1.4에서 5.7 mg/g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육성계통 고추 breeding line No. 2500은 다른 계통에 비해 가장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및 환원력이 다른 육성계통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암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01이 암세포 증식 저해율 84.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32가 75.2%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우수 품종 개량을 위한 성분 및 활성 database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백단향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ntalum album Extracts by Extracting Methods)

  • 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6-4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백단향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미백 효과 및 세포 독성을 평가 하였다.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n-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양성대조군인 L-ascorbic acid ($IC_{50}$, $28.7\;{\mu}g/mL$)보다 강하거나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도 70% acetone추출물에는 강한 라디칼 소거능($IC_{50}$, $18.6\;{\mu}g/mL$)을 나타내었다. 또한 LDL 산화억제 실험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었고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70% acetone 추출물에 가장 강한 활성($IC_{50}$, $58.3\;{\mu}g/mL$)이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MeOH, EtOH, Hot water, n-Hexane추출물 순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arbutin ($IC_{50}$, $13.7\;{\mu}g/mL$) 및 kojic acid ($IC_{50}$, $8.3\;{\mu}g/mL$)보다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0% Acetone을 이용하여 백단향을 추출할 경우 미백 활성이 가장 강한 결과를 얻었다. 백단향의 열수 추출물은 마우스멜라노마세포(B16F10)에 대해서 1.0 mg/mL의 농도에서 24.7%의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CF-7 유방암 세포에서 mTOR-COX-2 신호경로를 통한 resveratrol의 apoptosis 효과 (Apoptotic Effects of Resveratrol via mTOR and COX-2 Signal Pathways in MCF-7 Breast Cancer Cells)

  • 이솔화;이혜연;박송이;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88-1294
    • /
    • 2011
  • 식물에서 추출한 파이토케미컬은 암세포의 여러 신호전달 기작에 관여함으로써 apoptosis를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토케미컬의 한 종류인 레스베라트롤을 MCF-7 세포에 처리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효과가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mTOR와 COX-2의 발현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MCF-7 세포에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했을 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세포의 생존률이 감소하였고, Hoechst 33342를 이용한 chromatin 염색과 Annexin V-propodium iodide staning을 통하여 암세포의 세포증식 효과가 apoptosis에 의해 유도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MCF-7 세포에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했을 때 mTOR 및 COX-2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mTOR 및 COX-2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MCF-7 유방암 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apoptosis 유도가 mTOR 신호경로 저해를 통한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Assessment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ersimmon Leaf Extract on Prediabetic Subjects

  • Khan, Mohd M.;Tran, Bao Quoc;Jang, Yoon-Jin;Park, Soo-Hyun;Fondrie, William E.;Chowdhury, Khadiza;Yoon, Sung Hwan;Goodlett, David R.;Chae, Soo-Wan;Chae, Han-Jung;Seo, Seung-Young;Goo, Young Ah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7호
    • /
    • pp.466-475
    • /
    • 2017
  • Dietary supplements have exhibited myriads of positive health effects on human health conditions and with the advent of new technological advances, including in the fields of proteomics, genomics, and metabolomics,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being evaluated for their ameliorative effects in human ailments. Recent interests in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the molecular targets of phytochemical-gene-protein-metabolite dynamics resulted in discovery of a few protein signature candidates that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on human health. Persimmon (Diospyros kaki) is a folk medicine, commonly used as dietary supplement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owing to its different beneficial health effects including anti-diabetic implications. However, neither mechanism of action nor molecular biomarkers have been discovered that could either validate or be used to evaluate effects of persimmon on human health. In present study, Mass Spectrometry (MS)-based proteomic studies were accomplished to discover proteomic molecular signatures that c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persimmon leaf extract (PLE) in diabetes amelioration. Saliva, serum, and urine samples were analyzed and we propose that salivary proteins can be used for evaluating treatment effectiveness and in improving patient compliance. The present discovery proteomics study demonstrates that salivary proteomic profile changes were found as a result of PLE treatment in prediabetic subjects that could specifically be used as potential protein signature candidates.

저산소증 상태에서 B16F10 피부암 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때의 apoptosis 효과 (EGCG induces Apoptosis under Hypoxic State in B16F10 Melanoma Cancer Cells)

  • 김윤이;김인섭;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1-256
    • /
    • 2011
  • 파이토케미컬의 일종인 EGCG는 녹차의 카테킨 성분으로, 세포 내 신호 경로 조절을 통하여 항산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poxia 상태인 B16F10 피부암 세포에서 HIF-$1{\alpha}$를 포함한 AMPK의 신호경로를 통하여 EGCG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규명하였다. AMPK는 hypoxia, 영양분 결핍, 운동, heat shock 등, 세포 내 ATP의 결핍에 의해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한다. 세포에서 중요한 에너지 센서로서 작용하는 AMPK가 hypoxia 상태의 암세포 내에서는 HIF-$1{\alpha}$의 전사 활성을 유도하는데, HIF-$1{\alpha}$는 hypoxia 상태에서 산소 결핍에 반응하는 첫 번째 전사 조절인자로서 암세포의 생존을 위한 세포내 산소공급과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한다. Hypoxia 상태가 아닌 B16F10 세포에서와 hypoxia 상태에서의 B16F10 세포에서 EGCG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hypoxia 상태에서 EGCG는 더 강한 apoptosis를 유도하며,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HIF-$1{\alpha}$의 전사 활성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EGCG가 hypoxia 상태의 피부암 세포에서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식품에 첨가된 파이토케미컬을 이용하여 암을 예방하는 연구에서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블루베리·복분자와 오디 그리고 이들 부산물 주정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und for Ethanol Extract of Blueberry, Bokbunja and Mulberry and their Pomaces)

  • 강다래;정이형;심관섭;신대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5-547
    • /
    • 2015
  • 본 연구는 베리와 그 부산물들의 영양학적 가치와 더불어 이들의 식품 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생산 베리 중 대표적 베리인 블루베리, 오디 그리고 복분자와 그들 부산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페놀화합물 함량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통 베리 시료가 그들 부산물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복분자와 그 부산물의 수분함량은 차이가 가장 컸다. pH는 오디와 오디 부산물에서 각각 4.03,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블루베리 부산물에서 24.81와 24.1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부산물에서 53.27 ug/g으로 가장 높았다. Cyanin chloride는 오디와 복분자 과일에서만 측정되었으며,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과 isorhamnetin은 블루베리에서만 측정되었다. Catechin (hydrate)과 epicatechin의 경우에는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과일과 부산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gallic acid는 오디에서, quercetin 3-D-galactoside는 블루베리에서 통 과일과 부산물간 유의적인 차이가 조사되었다. Apigenin, luteolin은 오디류에서만 측정되었으며 특히 부산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Naringenin은 각각의 베리 부산물에서 함량이 높았으나, rutin (trihydrate)과 quercetin은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베리에서 부산물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Kaempferol 함량은 통 오디에서 15 ng/g으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에 이용된 베리들은 성숙도 및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날 수도 있겠으나, 본 연구결과는 각각의 통 베리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것 뿐 아니라 그들의 부산물까지도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나타낸 연구라 할 수 있다.

발아일수에 따른 해바라기 싹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unflower Sprout According to Germination Day)

  • 노경래;고성희;김철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4
    • /
    • 2012
  • It is well known that sunflower (SF) sprout has more beneficial effects than SF seed due to increased levels of phytochemic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total phenolics, and isoflavones during germin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F seed during both germination and cultivation. In a proximate analysis, the water content of SF groat was 9.17% and then increased to 15.32% on the 11th day after seeding. On a dry weight basis, crude fat content decreased while the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creased. As cultivation proceeded, the contents of minerals were in decreasing order of K, Mg, Ca, Na, Zn, Fe, Mn, and Cu, in which SF sprout cultivated for 9 or 11 days contained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Though vitamin C was not detected on SF groat, the content of vitamin C continuously increased up to the 5th day of cultiv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Vitamin E content in SF groat was higher than that in SF sprout. It was also found that the vitamin E content in SF sprout was the highest on the 5th day of cultivation. Daidzin was not detected in SF groat, but its concentration reached a maximum on the 5th day of cultivation in SF sprouts. Furthermore, higher amounts of daidzein were observed on the 3rd, 5th, and 9th days of cultivation.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observed on either the 3rd or 5th day of cultivation.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henolics was observed on the 5th of cultivation. When DPPH radical and pe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F sprout were measured in order to measure antioxidant efficacy, it was found that 5 day-cultivated SF sprout ha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In conclusion, SF sprout cultivated for 9 or 11 days was found to be a good source of minerals. Furthermore, the fifth-day after seeding was the optimal time for the production of SF sprout with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activity and high amounts of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total phenolics, and isoflavones.

전곡류 및 채소, 과일 섭취의 증가가 청소년의 체내 항산화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 김소현;조상운;황성수;안미정;이덕희;강승완;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5호
    • /
    • pp.452-461
    • /
    • 2012
  •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etary factors in plant-based diets ar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specially, phytonutrients in fruits and vegetables have been recognized as major contributors for the decreased level of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witching the dietary habit to high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evaluated on the parameters of serum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high school students. Forty one studen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n = 18) or the intervention group (n = 23). The intervention group was provided for 8 weeks with the main food source being whole grain and vegetabl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arameters and dietary intak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study. After 8 weeks, weight and BM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p = 0.000). The serum diacron reactive oxygen metabolites (d-ROMs)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 only in the intervention group (p < 0.05) after 8 weeks, but serum biological antioxidant potential (BA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 < 0.001). Intake of energy, tot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p < 0.05). Also, th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vitamin and phytonutrient intakes of all-trans-${\beta}$-carotene, ${\alpha}$-carotene, ${\alpha}$-tocophero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s (p < 0.05).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s supplementation showed improvement of the adolescent health.

아마란스(Amaranthus ssp.) 유전자원의 어린잎 생육과 엽 적색도 평가 (Evaluation of Baby-leaf Growth and Leaf Red Color Intensity for Amaranthus Germplasm)

  • 이준구;장윤아;엄영철;이상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59-65
    • /
    • 2012
  • 본 연구는 기능성 곡물로 이용되고 있는 아마란스(Amaranthus ssp.)를 어린잎채소 용도로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에 보유되어 있는 유전자원에 대한 어린잎 생육특성, 엽 적색도 발현 정도 및 기능성 물질의 함량 변이를 평가함으로써 어린잎채소로서 이용 가능한 유망 아마란스 자원 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에 수집 보존되어 있는 아마란스 유전자원 262 종에 대하여 색도색차계로 측정한 엽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전체 자원의 상위 15%에 해당하는 39종을 1차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유전자원에 대하여 고온기 및 저온기의 재배를 통하여 어린잎 생육과 유전자원 별 적색소 발현을 검증 평가하여 안정적인 적색 강도를 보이는 고색도 자원을 최종 선발하였다. 아마란스의 엽 적색도는 모든 1차 선발 계통들에 있어서 고온기에 비해 저온기 재배 시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였으며 2회의 재배를 통한 평균 적색도 발현 정도를 기준으로 IT199970 등 11종의 자원을 선발하였다. 이들 선발된 유전자원들에 대한 어린잎 생체중 및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들 선발 종들은 5개의 아마란스 종에 속하였으며 엽 적색도 발현이 우수하여, 향후 적색 풍미를 더하는 어린잎 샐러드 채소의 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