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paramete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N-치환 phenyl 5-chloro-1,3-dimethylpyrazole-4-carboxamide의 정량적구조활성상관관계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N-substituted phenyl 5-chloro-1,3-dimethylpyrazol-4-carboxamides)

  • 김용환;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82-388
    • /
    • 1992
  • N-치환 phenyl-5-chloro-1,3-dimethylpyrazole-4-carboxamide 45종을 합성,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50% 균사생육저해율$(EC_{50})$을 검정한 후 구조활성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화합물의 소수성 파라메타인 log k', 치환기의 소수성 파라메타 ${\pi}$, 전자적 파라메타인 Hammett 치환상수 ${\sigma}$ 및 입체적 파라메타인 STERIMOL 상수 L을 사용하여 다중회귀식을 도출하였다(식(8)). 이 식에 의해 83%의 생리활성변화가 유의성있게 해석되었으며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화합물의 체내흡수 및 작용점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log k'으로 밝혀졌고 그 밖에 phenyl고리의 2번위치와 3번위치 치환기의 장축을 표현하는 입체적 파라메타인 $L_3$$L_4$등도 활성을 지배하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 PDF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Australian Wheat Flours Used to Make Korean Salted Noodles

  • Kim, In-Sook;Binns, Colin;Yun, Hon;Quail, Ken;Lee, Chi-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75-280
    • /
    • 2007
  • The effect of using Korean wheat flour versus Australian wheat flour on noodle quality as a result of differing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lour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provided appropriate technical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wheat varieties to produce high quality Korean salted noodles. Noodle quality was quantified based on measurement of the appearance and texture of noodles. When consumer preference tests were conducted, a firmer and more elastic texture was preferred for Korean white salted noodles, however, when appearance was included in the consumer tests, noodles made with Australian wheat were favored over Korean wheats. Korean flour was found to produce firmer and more elastic noodles, whereas Australian flour produced brighter, creamier colored noodles. In flour quality tests, Korean flou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setback viscosity and lower swelling power than Australian flour. Additionally, Korean flours had higher water absorption values. Protein content of flour was an important parameter affecting the firmness of Korean noodles, whereas setback viscosity and swelling power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f elasticity. Overall, the important parameters for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Korean salted noodles were high setback viscosity, low swelling power, and high protein content.

제조 방법이 다른 팽화미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and Gelatinization Popped Rice Flour)

  • 이정은;김유진;조문경;박신영;김은미;조용식;최윤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50-854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food materials for the promotion of rice consumption.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ER) and gelatinization popped rice flour (GPR) by the extrusion process and by the popped method with milled rice and brown rice. The extrusion process used a couple of screw extruders. The extrusion parameter was kept constant at a feed moisture content of 25%, barrel temperature of $120^{\circ}C$ and screw speed of 400 rpm. GPR was prepared by batch popping machine after gelatinization of rice.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R and GPR, as well as the gelatinization rate, water soluble index (WSI), water adsorption index (WAI),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 the color value was carried out. The gelatinization rate was similar to 71.1~73.8%. Further, the results of WSI and WAI were increased at ER and GPR compared to the raw materials; ER was also higher than GP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reduce after extrution and popping. As a result of the color value, the L value of ER decreased more than the raw materials, whereas GPR increased at a and b values.

광양만 해양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Fluctuations of Marine Viral Abundance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Gwangyang Bay)

  • 최은석;이건섭;김동균;오정균;박종범;정영재;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615-5622
    • /
    • 2012
  • 광양만의 3개의 다른 지역에서 바이러스 개체수와 물리화학적 요인의 계절적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형태적 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해양바이러스는 박테리오파지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었으나, 일부는 진핵 미세조류 바이러스인 Ectocarpus siliculosus virus (EsV)와 유사하였다. 그룹 1 (폐쇄된 부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는 그룹 2 (폐쇄된 빈영양 지역) 및 그룹 3 (개방된 빈영양 지역)에서의 바이러스 개체수보다 높았다. 그룹 1 바이러스의 계절적 개체수는 크게 변화하였다. 바이러스 개체수는 8월에 가장 높은 $7.33{\times}10^8ml^{-1}$에서 12월에 가장 낮은 $0.3{\times}10^8ml^{-1}$로 변화하였고, 봄과 가을에는 중간값을 유지하였다. 질소원 및 인산원의 농도는 바이러스 개체수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용존산소의 계절적 변화는 바이러스 개체수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해양바이러스 개체수가 물리화학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경상북도지역 학교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of Several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김숙찬;배헌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75-580
    • /
    • 2011
  • This study characterized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used for drinking water in 30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3% of groundwater and 45% of purified water were not suitable for drinking. Among them, microbial contaminations were the most serious problem. In raw groundwater, the exceeding rates of total colony counts was the highest in August (53.6%). Purified water samples showed high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ony counts while showing lower rate of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 for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in March and August. Overall, proper managements for microbial contaminations are required for both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Furthermore, special attention should toward students not to drink water when groundwater or purified water exceeds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potential diesel oxygenate using SPME technique combinded with GC-FID

  • 이규현;이시진;장순웅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54-357
    • /
    • 2004
  • The addition of oxygenates to diesel fuel can significantly reduce particulate emissions. Dibutyl maleate (DBM) and tr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TGME) have been identified as possible additives based on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in engine test. However, their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are unknown. therefore, practical considerations in the selection of an oxygenate additives should include cost, availability, compatibility with engines and fuel, and, particularly, its overall environmental imp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optimal condition for the analysis of potential diesel oxygenates using SPME technique with GC-FID. Four fibers were compared and CAR/PDMS fiber was found to be the most sensitive when used direct-sampling. An absorption time of 30min and a desorption time of 5min provided to be the most sensitivity. The effects of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the addition of salts, agitation, absorption time, compositon on the analysis were investigated. Analytical parameter such as linearity was also evaluated.

  • PDF

Synthe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chiff Base Macrocyclic Ligands and Their Transition Metal Chelates

  • Rafat, Fouzia;Siddiqi, K.S.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12-918
    • /
    • 2011
  • Tetraaza Schiff base macrocyclic ligands, $L^1$,$L^2$ and their transition metal chelates have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es, IR, electronic, EPR and $^1H$ NMR spectra, TGA and magnetic measurements. The molar conductance of one milli-molar solution of the complexes measured in DMF indicates that the divalent metal complexes are nonelectrolyte while those of trivalent metal ion, are 1:1 electrolytic in the same solvent. The reduction of Racah parameter from the free ion value confirms the presence of considerable covalence of metal ligand sigma bond in the Co(II) and Mn(II) complexes. The EPR spectra of Cu(II) complexes at room temperature shows axial symmetry indicating a $d_x{^2}_{-y}{^2}$ ground state with significant covalent character. The thermal analysis suggests that the complexes do not contain water molecules because only the metal is left as residue.

제분조건에 따른 흑미쌀가루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Rice Flours (BRFs) Affected by Milling Conditions)

  • 최봉규;금준석;이현유;박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51-75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분기, 건조방법별 등 다양한 조건별로 흑미쌀가루를 제조하여 각 쌀가루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건조조건에 다른 roll mill로 제분한 흑미쌀가루의 수분함량은 열풍건조 10.3% 마이크로파 건조 14.4%로 측정되었다. 대조구인 백미쌀가루의 수분함량은 10.0%였다. Jet mill 분쇄 후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7.5-7.9%로 roll mill 분쇄 후 수분함량 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WAI는 0.32-0.45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WSI는 입자크기가 작은 jet mill로 분쇄한 흑미쌀가루가 7.3-16.3%로 높았고, 입자크기가 큰 roll mill 분쇄한 대조구와 흑미쌀가루가 각각 0.7, 3.7, 4.1%로 낮은 값을 나타내어 입자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L값은 증가하였고, a값은 감소하였다. Jet mill로 분쇄한 모든 흑미쌀가루의 평균입도는 건조조건, 침지조건에 상관없이 39.1-41.5 ${\mu}m$로 유사한 입도분포를 나타내었으나 초미세 흑미쌀가루의 평균입도는 9.4 ${\mu}m$로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조구인 백미가 6.3 mg/100 g으로 가장 낮고, 흑미쌀가루는 91.4-115.8 mg/100 g으로 유사한 값을 보였다. 제분방법에 따른 흑미쌀가루 총 아미노산 함량은 74.9-96.4 mg/100 g으로 측정되어 백미 쌀가루 총아미노산 30.5 mg/100 g 보다 약 3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가공제품으로 흑미쌀가루 이용시 건조방법 보다는 제분방법 즉 입도분포가 흑미쌀가루에 품질특성 변화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점도 측정법을 이용한 기장(Panicum miliaceum)의 저장 중 감마선 조사 검지 가능성 (Potential Detection of γ-Irradiated Panicum miliaceum by Viscosity Measurement during Storage)

  • 최맑음;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1-538
    • /
    • 2003
  • 감마선 조사한 국산 및 중국산 기장의 저장 중 감마선 조사여부 획인 가능성과 품질 변화를 확인하였다 점도 측정법을 이용한 검지가능성 시험에서 시료의 점도는 조사선량에 따라 감소하였고, $0^{\circ}C$$20^{\circ}C$에서 9개월간 저장중에도 비조사구와 조사구 간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Specific parameter를 설정한 결과, 조사처리에 따라 그 값이 감소하여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조사선량과 specific parameter 간의 상관성은 저장 중 $r^2$가 0.92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조사 여부의 검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TBA값은 감마선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Hunter color a 및 b 값은 저장기간에 상관없이 조사선량과 유의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specific parameter를 이용한 점도 측정법은 방사선 조사 후 저장 중에도 조사 여부의 screening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TBA값의 측정은 판정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보조수단으로 기대되었다.

금감 가공식품(加工食品)의 제조(製造)와 품질특성(品質特性) (Manufacture of Processed Food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from Kumquats, a Citrus Variety Produced in Cheju)

  • 고정삼;김찬식;고명수;양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38
    • /
    • 1993
  • 제주산 금감을 소재로 원료특성, 냉동금감의 기호성, 금감잼 등의 가공식품의 제조와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시설재배한 영파금감은 과실의 청경이 29.5 mm, 과중이 16.10g, 껍질의 두께가 4.63 mm, 단산비가 20으로서 생식용 및 가공용 금감으로서 우수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58.27%, malic acid 32.49%, tartaric acid 9.14%, maleic acid 0.08%로서 malic acid 함량이 높아 온주밀감쥬스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18^{\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한 냉동금감에 대한 기호성에서 외관, 맛, 물성 모두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냉동금감의 비타민 C 함량은 74.94 mg/100g으로 법동기간 중에 초기에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오렌지쥬스만으로 제조한 잼의 경도는 1,294 g-force이며, 금감쥬스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경도는 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다른 texture parameter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금감쥬스를 $40{\sim}60%$, 함유한 금감잼은 오렌지쥬스 만으로 제조한 잼에 비하여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