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Geography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6초

평지붕 건물 축소모형의 지붕색에 대한 표면 온도의 비교평가: 쿨루프 성능평가 차원에서 (Comparative Evaluation of Surface Temperature among Rooftop Colors of Flat Roof Building Models : Towards Performance Evaluation of Cool Roof)

  • 류택형;엄정섭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83-91
    • /
    • 2013
  • Cool roofs are currently being emerged as one of important mechanism to save energy in relation to the building. It is specifically proposed that the changing trends of rooftop surface temperature in the flat roof building model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n indicator to reduced cooling load reduced by cool roof since it can present stable temperature record, that is not influenced according to the nearby physical as well as human variables. The temperature of cool roof in summer was lower around $20^{\circ}C$, compared to the general roofs. Such a seasonal or daily comparative study for rooftop temperature in the building model will highlight that the cool roof efficiency could be calculated in much area-wide context according to rooftop color distribution in urban residential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in identifying energy saving by cool roof since an objective monitoring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e rooftop temperature in the building model, fully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rmal infrared image.

물류산업의 공간연구를 위한 개념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Frame for Spatial Study of Logistics Industry)

  • 성신제;강상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1-99
    • /
    • 2011
  • 본 연구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물류산업의 공간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체계화 하고자 함이다. 물류산업은 물류기능별 독립적 최적화, 전문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재관리와 물적유통, 로지스틱스, 정보통신 기술과 경영이 포함된 공급사슬관리 단계로 발전하면서 복잡한 공간조직을 형성한다. 물류산업의 복잡한 공간조직은 지리공간과 가상공간, 분업과 통합, 매개화와 탈매개화로 체계화된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영역이 공간상에서 혼재하는 역동적 특성을 보인다. 이 역동적 특성은 정보통신 기술과 경제활동의 공간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4

전자상거래에 대한 과세부과의 논의와 우리의 추진과제 (A Study on the Discussion and Responsive Priorities about Taxation and Customs on the Electronic Commerce)

  • 권오;한상현
    • 정보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125-14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자상거래의 현황과 미국, OECD,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논의 동향을 고찰하고 전자상거래에 대한 과세부과의 측면을 내국세와 관세로 세분하여 최근 논의된 국제회의 내용과 국내의 현상을 토대로 분석하면서 전자상거래 부문에 과세를 부과하는데 따르는 본질적인 문제를 기초로 내국세와 관세 부과의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우리의 정책적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전자무역지원을 위한 개정 대외무역법회 내용과 문제점 (The Evaluation and Some Problems for System-Transformation of Foreign Trade Law in Korea)

  • 한상현
    • 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37-154
    • /
    • 2001
  • 본 연구는 정부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산업자원부가 추진하여 2000년 6월 17일 입법 공고되어 2001년 3월부터 시행된 대외무역법의 디지털제품(온라인거래)의 수출이입실적 인정 및 전자무역중개기관도입 관련조항 등의 개정내용을 중심으로 전자무역지원법령으로의 대외무역법이 개정되는 의미를 평가하고, 개정 내용의 조문에 나타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함으로써 실무자들로 하여금 적용상의 유의점들을 제시하고 향후 입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일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전라남도 4칸 홑집의 마루배치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ypology of Maru's Placement in Korean Traditional Single Houses of Four Kan in Chonnam Province)

  • 장동국;정성균;신웅주;은철영;김수인;박강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36
    • /
    • 2007
  • Many researches on the typology of 'Maru' (Wooden deck)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high-class hous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ey were mainly concerned on defining Maru's typology by social status of the owner, based on the researches regarding its physical and spatial properties. Maru in the high-class traditional houses has been served as an essential architectural feature showing the social status of owners as well as adapting in the region of humid and hot summ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typology of Maru's placement in traditional single houses of four Kan in Chonnam province, which shows many differences in its placement according to the region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typology of Maru's placement and openness is different with the location of houses within the region. This difference affects on the circulation of movement, which eventually affects on the pattern of space use. The difference is also very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of geography and climate of the region.

  • PDF

공동주택 난방방식별 전력에너지 소비량 추정모델 작성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model of the Amount of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partment Heating Type)

  • 이강희;양재혁;유우상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57-64
    • /
    • 2010
  • Electric energy is indispensible of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and living sector. Among the energy sectors, the building area shares 20% of the produced electric power in Korea. As we plan to supply the apartment, we need to forecast the required amount of the electric energy and supply the infrastructure to apartment for the lighting, cooling. Nonetheless, it is not easy to forecast the required amount of the electric energy, considering the management aspect, building physical aspect and social-geographic aspect. In this paper, it studied the estimation model of the electric energy, reflecting the affecting variables such as total area, number of household, geography and so on. The estimation model is proposed in 3-types which explained in central heating, individual heating and district heating, and each type have two estimation model, reflecting the affecting variable and corelation between variables to eliminate the muticolinearity. The unit of electric energy consumption per area and year is similar in three heating typ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entral heating is $34.446kWh/yr{\cdot}m^2$, individual type is $35.756446kWh/yr{\cdot}m^2$ and district heating is $34.285446kWh/yr{\cdot}m^2$.

Google Earth를 활용한 포항 송도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 감시(2003-2010) (Monitoring Shoreline Changes at the Songdo Beach, Pohang, during 2003-2010, using Google Earth)

  • 최진호;엄정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257-267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shoreline boundary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Songdo Beach of South Korea. Quickbird Images of 2003, 2005, 2007, and 2010 extracted from Google Earth were used to identify changing trends of shoreline boundary.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area where groins were extensively established, inducing the sand beach much narrower than before in almost 75% of the area($15070.72m^2$ in 2003 to $3877.46m^2$ in 2010). The Google Earth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shoreline change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artificial structur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Groin heights, lengths and profiles can be modified during maintenance operations if the Google Earth monitoring indicates that the initial layout is not operating properly as a physical barrier to control sediment transpor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confirm the outputs from past field researches for coastal processes to respond to storms in more visual and quantitative manner.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SURR Model in Imjin River Basin

  • Linh, Trinh Ha;Bae, Deg-H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9-439
    • /
    • 2015
  •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 of the weather elements such as rainfall and temperature is closely linked to the streamflow simulation, especially, to the flood forecasting problems. For the study area, Imjin river basin, which h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geography with river cross 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the northern area is totally deficiency, lead to the inaccuracy of streamflow estimation. In the paper, this problem is solved by using the combination of global (such as soil moisture content, land use) and local hydrologic components data such as weather data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humidity, etc.) for the model-driven runoff (surface flow, lateral flow and groundwater flow) data in each subbasin. To compute the streamflow in Imjin river basin, this study is applied the hydrologic model SURR (Sejong Univ. Rainfall-Runoff) which is the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used physical foundations, originally based on Storage Function Model (SFM) to simulate the intercourse of the soil properties, weather factors and flow value. The result indicates the spatial variation in the runoff response of the different subbasins influenced by the input data. The dependancy of runoff simulation accuracy depending on the qualities of input data and model parameters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outhern region with the dense of gauges and the adequate data shows the good results of the simulated discharge. Eventually, the application of SURR model in Imjin riverbasin gives the accurate consequence in simulation, and become the subsequent runoff for prediction in the future process.

  • PDF

남강 하류 범람원의 토지이용과 농업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The Historical Geography of Land-Use and Agriculture Along the Lower Nam-River Floodplains)

  • 이전;손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7
    • /
    • 1998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남강 하류 범람원의 토지이용 변화와 작물재배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남강 하류 범람원 지역의 지역성을 구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 하류 범람원 상에 발달한 큰들, 구해들, 장지들, 백산들, 하기들, 장포들 등 비교적 큰 평야들을 중점적인 조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대규모 제방이 축조되기 이전에 남강 하류 범람원의 대부분은 습지(새밭)로 방치되어 있었고, 자연제방과 구릉성 산지의 말단부만이 농경지로 이용되었다. 대규모의 경지정리와 더불어 남강 하류 범람원이 비옥한 농경지로 바뀌게 되는 것은 남강댐과 남강방수로가 각각 1969년과 1970년에 완공된 이후의 일이었다. 남강 하류 범람원 상에 조성된 농경지에서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주로 벼농사를 하고 있고, 가을걷이가 끝난 이후인 늦가을부터 초여름까지는 주로 시설채소농업을 하고 있다. 근래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채소농업의 비중이 증대되었는데, 1980년대부터는 시설채소농업으로 수박 재배가 가장 중요시되었다. 그리하여 오늘날 남강 하류 범람원에서 벼농사는 오히려 부수적인 농업 활동이 되었다.

  • PDF

교가(校歌)에 나타난 대구의 지형관 - 대구 초·중등학교를 사례로 - (View of Landform revealed in School Songs: Based o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3-96
    • /
    • 2012
  • 대구지역 초 중등학교(328개교) 교가에 등장하는 자연지명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설립년도가 오래 된 학교 교가에 많이 등장하는 자연지명은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등 대구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자연지명과 달구벌, 태백산, 서라벌 등과 같은 대구의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이다. 2. 교가 노랫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자연지명은 초등학교의 경우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순이었고, 중등학교의 경우는 팔공산, 낙동강, 금호강, 비슬산 순이다. 3. 서라벌, 태백산 지명이 비교적 많아 대구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풍수적 관점에서의 팔공산과 태백산 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 4. 신개발지인 수성구, 달서구 일대에 분포하는 학교 교가에서는 전통적인 자연지명(대구지역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 포함) 외에도 주변 자연지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5. 달성군 내 학교의 교가에는 대구 대표적인 자연지명인 팔공산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달성군 지역민들은 팔공산 보다는 비슬산을 중심 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6. 대구 중심하천에 해당하는 신천의 경우 교가 노랫말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어 특이하다. 7. 본 연구에서 파악된 자연지명은 대구지역의 중심생태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뿐더러 각종 개발계획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생태공간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