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rus Excretio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6초

Responses of Dairy Cows to Supplemental Highly Digestible Rumen Undegradable Protein and Rumen-protected Forms of Methionine

  • Sun, T.;Yu, X.;Li, S.L.;Dong, Y.X.;Zhang, H.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59-666
    • /
    • 2009
  • Metabolizable protein (MP) supply and amino acid balance in the intestine were manipulated through selection of highly digestible rumen-undegradable protein (RUP) sources and protected methionine (Met) supplementation. Four ruminallycannulated, multiparous Holstein cows averaging 193${\pm}$13 days in milk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assess N utilization and milk production responses to changes in RUP level, post-ruminal RUP digestibility and protected Met supplementation. Treatments were A) 14.0% crude protein (CP), 8.0% rumen degradable protein (RDP) and 6.0% RUP of low intestinal digestibility (HiRUP-LoDRUP); B) 14.1% CP, 8.1% RDP and 6.0%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HiRUP-HiDRUP); C) 13.1% CP, 7.9% RDP and 5.2%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LoRUP-HiDRUP), and D) 13.1% CP, 7.9% RDP and 5.2%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plus rumen escape sources of Met (LoRUP-HiDRUP+Met).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have similar concentrations of RDP, net energy of lactation ($NE_L$),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alcium, phosphorus and ether extract using the NRC model (2001). Results showed that dry matter intake (DMI), production of milk fat and protein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Milk production was similar for diet HiRUP-LoDRUP, HiRUP-HiDRUP and LoRUP-HiDRUP+Met,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et LoRUP-HiDRUP. Milk fat and protein percentage were higher for cows receiving HiDRUP treatments, with the greatest increases in the diet LoRUP-HiDRUP+Me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ruminal pH, $NH_3g-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among all treatments.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P, NDF and ADF and estimated bacterial CP synthesis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s. Nitrogen intakes, blood and milk urea-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ows receiving HiRUP diets. Urine volume and total urinary N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LoRUP diets. Lowering dietary RUP level while supplementing the highly digestible RUP source with rumen escape sources of Met resulted in similar milk production, maximal milk fat and protein concentration and maximum N efficiency, indicating that post-ruminal digestibility of RUP and amino acid balance in the small intestine can be more important than total RUP supplementation.

가와사끼병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에서 고용량 정주용 면역글로불린의 신독성 유무 (Renal Toxicity of High-dose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Children with Kawasaki Disease and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정지아;김혜순;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133-137
    • /
    • 1998
  • 목 적 : 1987년 정주용 면역글로불린(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에 의한 급성신부전의 첫 증례가 보고된 이후 성인에서는 고용량의 IVIG와 관련된 신손상의 보고들이 다수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IVIG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가와사끼병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에서 IVIG의 신독성 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에서 8월까지 이대 부속 목동 병원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23례)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7례)으로 고용량의 정주용 면역글로불린(2 g/kg)을 투여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IVIG투여후 1일, 3일에 요량, BUN, 혈청 creatinine, Ccr, FENa, TRP, 24 시간뇨 ${\beta}_2$-microglobulin/cr 비 및 microalbumin/cr 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통계는 repeated measurement ANOVA test와 t-test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결 과 : 고용량의 IVIG 투여후에 요량, BUN, 혈청 creatinine, Ccr, TRP, 24 시간뇨 ${\beta}_2$-microglobulin/cr 비 및 microalbumin/cr비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IVIG투여후 1일에 일시적으로 증가한 FENa만이 유의한 변화였다. 결 론 : 소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고용량 IVIG는 정상 신기능 상태에서는 유의한 신손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 PDF

Mineral Metabolism in Singleton and Twin-pregnant Dairy Goats

  • Harter, C.J.;Castagnino, D.S.;Rivera, A.R.;Lima, L.D.;Silva, H.G.O.;Mendonca, A.N.;Bonfim, G.F.;Liesegang, A.;St-Pierre, N.;Teixeira, I.A.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37-49
    • /
    • 2015
  • During pregnancy, the maternal body undergoes significant physiological chan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changes on calcium (Ca), phosphorus (P), magnesium (Mg), sodium (Na) and potassium (K) metabolism in singleton and twin-pregnant dairy goats. The 42 goats used ($49.5kg{\pm}7.6$ body weight [BW]) were assigned at random to treatments that were factorially arranged to account for 2 breeds (Oberhasli and Saanen), 2 pregnancy types (singleton and twin) and 3 gestation periods (80, 110, and 140 days). Digestibility trials were performed at 80, 110, and 140 days of gestation. Mineral retention during pregnancy was determined in the maternal body, femur, uterus, mammary gland, fetus and fetal fluid. Blood samples were taken during pregnancy before and after a meal, and Ca, P, Mg, Na, K ion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determined in serum. Bone mineral density was determined in the right femu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MIXED procedure. Dry matter intake decreased linearly up to 140 days of gestation. Maternal BW gain, and Ca, P, and Mg retention (g/kg) decreased linearly with the advance of gestation days. Macromineral retention in maternal body (g/kg) was greater in Oberhasli than Saanen goats, and their fetuses had higher Ca, P, and Mg deposition (mg/g). Mineral retention (mg/g) increased in fetuses according to pregnancy development, with no differences between singleton and twin pregnancy. In the mammary gland, the retention of all minerals (g) increased with the days of pregnancy. In conclusion, related to Ca, P, and Mg metabolism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Up to 80 days of gesta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preparation of the maternal body reserves for future mineral demands. From 80 days of gestation onward, was characterized by the transfer of maternal body reserves for fetal development and colostrum production. Na and K supply was provided by adjustments in endogenous excretion and an increase in intestinal absorption. Finally, mineral metabolism was specific to each genotype and, except for Na, was not affected by the number of fetuses.

Partial or complete replacement of fishmeal with fermented soybean meal on growth performance, fe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 Premathilaka, Kumudu Thakshila;Nawarathne, Shan Randima;Nambapana, Maleeka Nadeemale;Macelline, Shemil Priyan;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Ang, Li;Jayasena, Dinesh Darshaka;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6호
    • /
    • pp.824-839
    • /
    • 2020
  •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al or complete replacement of fishmeal (FM) with fermented soybean meal (FSBM) on growth performance, fe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A total number of 240 one-day-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six replications and ten birds per one pen. Dietary treatments were followed as; 1) Diet incorporated with 4% FM without FSBM (Control), 2) Diet incorporated with 3% FM and 2% FSBM (FSBM2), 3) Diet incorporated with 2% FM and 3% FSBM (FSBM3) and 4) Diet incorporated with 4% FSBM without FM (FSBM4). Body weight and feed intake were recorded weekly for 35 days of the experimental period. Moreover,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to evaluate moisture, ash, nitrogen,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 on day 21 post-hatch. On day 35, two birds were sacrificed from each pen to measure meat quality parameters and visceral organ weights. Results revealed that, no dietary treatment effect (p > 0.05) was observed either in both body weight or average daily gain of broilers within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while broilers fed FSBM2 increased (p < 0.05) average daily feed intake by 10.07% whereas FSBM4 improved (p < 0.05) feed efficiency ratio by 8.45% compared to birds fed other dietary treatments on day 7 post-hatch. Besides, birds fed FSBM3 obtained the improved (p < 0.05) feed conversion ratio over the birds fed control diet by 7.51% from hatch to day 35 post-hatch (1.60 vs. 1.73). Nevertheless, no difference (p > 0.05) was detected on visceral organ weight, 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at while broilers offered FSBM4 obtained the lowest (p < 0.05) calcium and phosphorous in faces (2.27% and 1.21% respectively) over those offered control feed and other FSBM treatments. In conclusion, FSBM would be a better replacement for ousting FM partially or completely in broiler diet as it did not impair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while reducing the calcium and phosphorous excretion in broilers for 35 days post-hatch.

깔개물질의 종류에 따른 한우-경종 결합 농가의 양분순환 구조 분석 (Analysis of Nutrient Cycling Structure of a Korean Beef Cattle Farm Combined with Cropping as Affected by Bedding Material Types)

  • 임상선;곽진협;박현정;이선일;이동석;김용순;윤봉기;김선우;최우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4-3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깔개물질에 의한 양분 유입 및 축사 내 분뇨 방치 및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양분손실이 양분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남 지역 한우 농가(사육두수 100두, 경지 면적 2.5 ha)를 대상으로 사료$\rightarrow$ 가축 $\rightarrow$ 분뇨 $\rightarrow$ 퇴비 $\rightarrow$ 토양 $\rightarrow$ 사료의 양분순환구조를 분석하였다. 분뇨에 의해 발생한 질소와 인산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톱밥을 깔개물질로 사용할 경우 질소 1.6%, 인산 3.1%, 왕겨의 경우 질소의 14.2%와 인산 27.4%가 추가로 공급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분수지 또는 양분순 환구조 분석에서 깔개물질의 종류와 사용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양분순환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우사내 분뇨의 야적기간(21일)과 퇴비화 기간(90일) 동안에 발생하는 물질과 양분의 손실이었다. 톱밥퇴비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질소의 78.4%, 인산의 9.5%가 손실되었으며, 왕겨퇴비의 경우 각각의 손실률은 81.6%와 10.3%였다. 톱밥 퇴비의 물질 및 양분 손실률이 낮은 것은 톱밥의 C/N 비와 난분해성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서 유기물 분해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양분수지 연구는 대부분 분뇨 발생 시점의 양분함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분뇨 발생 이후부터 농 경지 시용 이전까지 발생하는 양분손실과 이에 영향 을 미치는 깔개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야만 정확한 양분수지 구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Organic or Inorganic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hite Blood Cell Counts in Weanling Pigs

  • Kil, D.Y.;Piao, L.G.;Long, H.F.;Lim, J.S.;Yun, M.S.;Kong, C.S.;Ju, W.S.;Lee, H.B.;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52-261
    • /
    • 2006
  •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or inorgan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easurement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of weanling pigs. In growth trial (Exp I), a total of 100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eaned at $23{\pm}2$ days of age and $7.25{\pm}0.10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by body weight and sex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hree different organic acids (fumaric [FUA], formic [FOA] or lactic acid [LAA]) and one inorganic acid (hydrochloric acid [SHA]) were supplemented to each treatment diet.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During 0-3 wk,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G/F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pigs fed LAA or SHA diet showed improved ADG by 15 or 13% respectively and 12% greater ADFI in both treatments compared to CON diets. Moreover, compared to organic acid treatments, better ADG (p = 0.07) and ADFI (p = 0.09) were observed in SHA diet compared to pigs that were fed the diet containing organic acids (FUA, FOA or LAA). However, during 4-5 wk, no differences in ADG, ADFI and G/F ratio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Overall, ADG, ADFI and G/F ratio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Although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igs fed LAA or SHA diets showed numerically higher ADG and ADFI than pigs fed other treatments. In metabolic trial (Exp II), 15 pig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cidifier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calcium (Ca) and phosphorus (P) was not improv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Although the amount of fecal-N excre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at of urinary-N excretion was reduced in acidsupplemented treatments compared to CON group (p = 0.12). Subsequently, N retention was improved in acid-supplemented groups (p = 0.17). In anatomical trial (Exp III), the pH and $Cl^-$ concentrations of digesta in gastrointestinal (GI) tracts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No detrimental effect of intestinal and lingual (taste bud) morphology was observ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particularly in inorganic acid treatment. In white blood cell assay (Exp IV), 45 pigs were used for measuring white blood cell (WBC) counts. In all pigs after LPS injection, WBC counts had slightly declined at 2 h and kept elevating at 8 h, then returned to baseline by 24 h after inje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However, overall WBC counts were not affected by acidifier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rganic and inorganic acidifier supplementation in weanling pigs' diet, however inorganic acidifier migh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N utilization with lower supplementation levels. Furthermore, inorganic acidifier had no negative effect on intestinal measurements and white blood cell counts in weanling pig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organic acidifier might be a good alternative to organic acidifiers in weanling pigs.

Aminophosphonic Acids 화합물의 생물학적 기능연구 (Study of Synthesis and Biological Function on Aminophosphonic Acids)

  • 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권4호
    • /
    • pp.39-46
    • /
    • 1971
  • Iso-butyl bromide의 합성을 시작으로 D.L-1-amino-3-methylbutylphosphonic acid의 합성을, Diethyl phophite의 합성을 시작으로 D.L-1-amino-2-phenyl ethylphosphonic acid의 합성을 하였다. 합성되어진 필수 아미노산인 Isoleucine analogue phosphonic acid는 각각 0.2%, 0.4%를 식이에 첨가했고 Phenylalanine analogue phosphonic acid는 0.35%와 0.7%를 각각 첨가하였으며 Standard-1과 Standard-2군과 비교군인 Isoleucine 0.2%와 0.4% Phenylalanine 0.35%와 0.7%군으로써 총 100마리의 숫쥐로 각 7주씩 14주의 사육 실험을 하였다. 동물 사육 기간내의 뇨채취와 사육후의 각 장기의 채취로써 총 질소와 P, glycogen측정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실험결과 (1) D.L-1-amino-3-methylbuthylphosphonic acid나D.L-1-amino-2-phenylethylphosphonic acid의 유기 합성에 있어서는 다 수율이 낮고 상당히 높은 융점을 보였으며 ${\alpha}-NH_2$기가 Ninhydrin 반응에 예민했다. (2) Aminophosphonic acid의 첨가군(D.L-1-amino-3-methylbutyl phosphonic acid, D.L-1-amino-2-Phenylethylphosphonic acid)에서나 Amino acid(Isoleucine, Phenylalanine)첨가군에 있어서 모든 장기의 무게, 총체내질소 보유율, 간장내 총단백질량과 인의양, 및 뇨를 통한 인의 배설량에 각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 보아서 Phenylalanine Aminophosphonic acid나 Isoleucine aminophosphonic acid가 다 보통 아미노산인 Isoleucine이나 Phenylalanine에 못지않게 체내에서 이용됨이 밝혀졌다. (3) 그러나 Phenylalanine aminophosphonic acid 첨가군이 간의 glycogen 함량에 있어서 Phenylalanine 첨가군과 Standard군과 비교해 보았을때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0.05) 이는 Phenylalanine Aminophosphonic Acid가 active state로써 간내에서 쉽게 이용되어서 Tricarboxylic cycle의 intermediate로 incorporate되는 경향으로 생각 할 수 있다.

  • PDF

쑥분말 급여가 이유자돈의 생산성과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ing Performance and Fecal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

  • 김영민;김재황;김삼철;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51-558
    • /
    • 2003
  • 본 시험은 쑥(Artemisia montana Pampan) 분말을 이유자돈 사료에 0%, 0.5%, 1.0% 및 2.0% 수준으로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영양소 소화율 및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 첨가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4처리, 4반복, 반복당 7두로서 총 112두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0${\sim}$14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15${\sim}$28일령 동안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가 증가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2.0% 첨가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냈다. 한편, 전 기간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사료섭취량은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사료요구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와 2.0% 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조단백질 소화율은 쑥분말 1.0% 첨가구에서 증가(P<0.05), 인 소화율은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증가(P<0.05)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와 인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쑥분말 2.0%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P〈0.05) 쑥분말 0.5% 첨가구와 1.0% 첨가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만을 나타냈다. 분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있어서 $NH_3$ 발생량은 48시간 발효시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고(P<0.05) $H_2S$ 발생량은 전반적으로 쑥분말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유자돈 사료에 쑥분말을 1.0${\sim}$2.0%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생산성 향상과 유해가스 발생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침처리가 밀기울의 피틴태 인 함량과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drothermal Treatment of Wheat Bran on Phytate-P Content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김병한;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29-240
    • /
    • 2003
  • 밀기울의 수침처리가 밀기울 내 phytase에 의한 피틴태 인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고, 육계사료에 밀기울을 첨가 하였을 때 밀기울에 들어 있는 phytase가 육계 생산성 및 P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침처리는 배양온도 55$^{\circ}C$와pH 5.5 완충용액에서 배양액과 밀기울의 비율 및 배양 시간을 달리하고, 배양 후 55, 65와 75$^{\circ}C$에서 건조 시켰다. 피틴태 인 함량 감소(phytic acid 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로 밀기울:완충용액 비율이 증가할수록 곡선적(quadratic)으로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 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배양시간은 10분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건조온도(55$^{\circ}C$, 65$^{\circ}C$와 75$^{\circ}C$)와 완충용액의 pH(5.5 및 7.0)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양 실험은 갓 부화한 240수의 병아리(Ross®)를 24 cage에 10수씩 공시하여 4처리 6반복(처리별 암수 각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처리구 들은 대조구; 정상수준의 nonphytate-P(NPP)구, LP구; 저 NPP구로 대조구보다 0.1% 낮음, LPWB구; 저 NPP구(LP)에+밀기울로 475IU phytase 공급, LPHWB구; LP+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을 LPWB와 동량 공급한 구 등이었다. 실험 결과 증체량에 있어서 전기(1~21일)의 경우 타 처리구들에 비해 LP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육성기(22-5일)와 전 기간에 있어서는 LP구의 웅추만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전 기간동안 LPWB구와 LPHWB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전 기간동안 사료 섭취량은 LPWB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LP구는 LPHWB보다 그리고 LPHWB구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요구률은 LPHWB와 LP구가 대조구와 LPWB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폐사율은 LPHWB구에서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LP구가 조지방, 조회분과 Ca 이용률이 타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Fe이용률 만은 가장 높았다. P, Mg 및 Zn의 이용률은 LPWB 및 LPHWB구가 대조구나 LP구 보다 높았다. P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저 NPP구들이 낮았으나 저 NPP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Ca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고 P 함량은 LP구가 가장 낮았다. 경골 내 조회분 함량은 밀기울 처리들에서 높았지만 Ca 함량은 대조와 LP구가 높았다. P 함량에선 LP가 LPWB보다 낮았다. Fe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의 피틴태 인 감소에 수침처리 조건으로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밀기울에 대한 완충용액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저 NPP사료에 밀기울을 phytase 공급원으로 사용 시 육계의 생산성 감소를 방지하고 P의 배설량을 줄일 수 있다. 밀기울의 수침처리는 광물질 이용률 향상에 다소 도움이 되나 생산성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육계의 인 이용율 향상을 위한 식물성 Phytase의 이용 (Utilization of Plant Phytase to Improve Phosphorous Availability for Broiler)

  • 김병한;남궁환;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07-418
    • /
    • 2002
  • Phytase 공급원으로 밀과 밀기울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P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5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갓 부화한 1,000수의 병아리(Ross$^{(R)}$)를 20pen에 50수씩(암수 각 25수) 공시하여 5처리 4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T1은 대조구로 정상수준의 nonphytate-P(NPP)를 함유하였고, T2는 T1 -0.1% NPP의 低 NPP구, T3는 T2 + 사료 kg당 600IU microbial phytase(NOVO$^{(R)}$)구, T4는 T2 + 밀과 밀기울로 사료 kg당 600IU plant phytase 공급구, T5는 T2 + 밀과 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로 사료 kg당 600IU plant phytase 공급구 였다. NPP 수준을 0.1% 감소시킨(T2) 처리에서 생산성과 사료효율이 감소되었고 식물성 phytase 처리시(T4와 T5)에서는 생산성이 회복되었다. 식물성 phytase 처리구들(T4와 T5)이 microbial phytase 처리구(T3)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정상 밀기울구(T4)와 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구(T5)와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폐사율은 低  NPP(T2)에서 가장 높았다. 육성 사료에서 조지방과 조회분 이용률에 일반 밀기울 처리구(T4)가 가장 높았다. Ca과 P의 이용률 또한 T4가 가장 높고 T3와 T5가 다음으로 높았다. Phytase 처리구 (T3, T4와 T5) 들은 Mg, Fe와 Zn의 이용률을 크게 증가시켰다. Ca, P, Mg, Fe와 Zn의 배설량은 microbial phytase가 가장 적었다. 혈청내 Ca과 Mg의 함량은 低 NPP에서 가장 높았고, 경골내 조회분 함량은 T2와 T3가 T1, T4와 T5보다 낮았다. 그러나 경골내 Ca 함량은 T1과 T2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았다. 경골내 P과 Mg의 함량은 T1구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을 통한 식물성 phytase의 공급은 P 이용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수침 후 건조처리하는 것은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