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e accumulation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8초

복숭아 '장호원황도' 과실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및 관련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Free Sugar Content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on Different Parts of 'Changhowon Hwangdo' Peach Fruit)

  • 김성종;박혜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87-393
    • /
    • 2010
  • 복숭아 과실 부위별 유리당 축적와 효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2006년 8월에서 9월까지 '장호원황도' 복숭아의 과경부, 과정부, 과피부, 핵주위의 유리당 함량과 당 관련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당도는 만개 후 150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과정부에서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으며, 모든 부위에서 총 유리당 함량은 당도 변화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교적 전분의 함량이 높았던 만개 후 120일에 과정부에서 높은 전분 함량을 보였으나 만개 후 150일에는 부위별로 함량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부위별 유리당 조성의 변화는 시기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자당 함량은 만개 후 150일까지 점차 증가하였으나 솔비톨은 만개 후 130일 이후에 점차 감소하였다. 만개 후 150일까지 모든 부위에서 자당은 증가하고 반대로 포도당, 과당, 솔비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실 발육 동안 자당 함량의 증가는 sucrose phosphate synthase(SPS) 활성보다는 sucrose synthase(SS)활성에 의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S효소활성은 만개 후 120일에는 낮게 나타났으나 acid invertase(AI) 활성은 높았으며, 만개 후 150일에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유리당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에 따라서 복숭아 과실 생육시기별 축적되는 유리당 함량이 영향을 받았으나, 과실의 각 부위에 따라서 모든 유리당 함량을 관련 효소활성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려웠다.

3T3-L1세포에서 흑효모 SM-2001 추출물(Polycan®)의 항비만 효과 (The Anti-obesity Effe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Extract (Polycan®) on 3T3-L1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 김영숙;임종민;구본화;문승배;조형래;이선민;권정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35-843
    • /
    • 2020
  • 비만은 이제 선진국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대사성 질환이다. 최근 치료보다는 예방에 중점을 두는 예방의학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비만과 당뇨병 등의 대사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천연물들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베타글루칸은 면역계와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에 이로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β-1,3/1,6-glucan의 함량이 전체 글루칸 함량의 90% 이상 되는 자체 개발 흑효모 균주 SM-2001 추출물(폴리칸)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칸은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축적과 GPDH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칸이 세포 내에서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하향조절과 세포 내 에너지 센서 역할을 하는 AMPK 효소의 인산화를 유도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폴리칸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비만과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의약 소재로써 그 활용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복분자 비가림 하우스 토양 중 염류집적 요인과 물리적 제염효과 (Salt Accumulation and Desalinization of Rainfall Interception Culture Soils of Rubus sp. in Gochang-gun, Jeollabuk-do)

  • 정병엽;이강수;김명곤;최영희;김무기;조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0-317
    • /
    • 2008
  • 포화추출액중 전기전도도는 $1.0\sim28.4dS\;m^{-1}$의 범위로 평균 $4.8dS\;m^{-1}$를 나타내어 매우 높은 농도로 염류가 집적되고 있었다. 전기전도도 $4dS\;m^{-1}$ (포화추출액 조건으로 환산)를 초과한 경우가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있었다. 복분자 비가림하우스 재배토양 중 전기전도도와 각각의 무기이온과의 단순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와 염소 ($r=0.85^{**}$), 질산 ($r=0.94^{**}$), 인산 ($r=0.88^{**}$), 황산 ($r=0.84^{**}$) 이온과 같은 음이온과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마그네슘 ($r=0.41^*$), 칼슘 ($r=0.38^*$), 칼리 ($r=0.47^*$) 이온과 같은 양이온과는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가림 하우스형 복분자 재배토양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류집적 유발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 작업의 편이성, 농업용수의 절감 및 처리시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용탈법보다 수세법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 시설재배 토양환경 실태조사 (Soil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Plastic Film House in Chonnam Area)

  • 김희권;박인진;김정근;김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6
    • /
    • 2000
  •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성, 미생물상 및 경종방법을 조사분석하여 시비관리 개선 및 연작장해의 사전 방지책 마련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고추, 오이, 참외 재배지 60농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 오이, 참외 재배농가의 시비량은 표준보다 인산은 2~2.5배, 칼리 2배였으며, 퇴비는 오이재배 농가에서 3배정도 많이 시용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토양중 무기성분 함량이 대부분 적정치 이상이라 할지라도 고추, 오이, 참외 토양의 염기포화도가 40:18:12, 55:16:14, 40:27:11로 적정치의 60:15:5에 미치지 못하였을 뿐만아니라 양분 불균형으로 작물의 흡수 장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시설 하우스 토양의 미생물 B/F 값은 고추 91.2, 오이 80.4, 참외 18.8로 연작 년수가 긴 것으로 조사된 참외 재배토양의 미생물상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pH가 증가할수록 곰팡이와 Fusarium의 밀도는 감소 하고 방선균은 증가 하였으며, 토양 유기물 함양이 증가 할수록 모든 미생물의 밀도가 증가 하였으며 세균은 유의성이 안정 되었다. 세균, 곰팡이, 및 Fusarium의 밀도는 EC가 증과 할수록 감소 하였다. 따라서 시설하우스 재배시는 토양분석후 시비처방에 의해 인산과 칼리를 감비하고 염기포화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poE(-/-) Mice에서 배추김치 활성 성분인 3-(4'-hydroxyl-3',5'-dimethoxylphenyl)Propionic Acid의 장기 지질저하 효과 (Inhibition Effect of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in Kimchi with Anti-Atherogenic Activity on the Accumulation of Lipids in the Organs of ApoE(-/-) Mice)

  • 김혜연;노정숙;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15-1421
    • /
    • 2008
  • 본 연구는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김치 활성성분인 HDMPPA가 동맥경화 식이를 섭취한 $apoE^{(-/-)}$ mice의 주요 장기(동맥제외)에서 지질 축적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ApoE^{(-/-)}$ mice는 1% 콜레스테롤과 10% 라드를 함유한 합성식이를 8주간 섭취하면서 HDMPPA(1 mg/BW/day)를 복강 주사하였고 대조군은 동일양의 PBS를 주사하였다. 간, 신장, 비장, 폐, 고환 그리고 뇌 조직에서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TBARS, 총 GSH 농도 및 GSH-peroxid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폐, 비장 그리고 뇌에서 높았으며 간이 가장 낮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HDMPPA군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으나 축적된 콜레스테롤 농도는 낮았다. HDMPPA의 콜레스테롤 축적 억제 효과는 간(22.65%, p<0.01), 비장(11.73%, p<0.05), 그리고 뇌(15.34%, p<0.05)에서 유의적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반해 중성지질의 농도는 간, 신장 그리고 고환에서 높아 총콜레스테롤 축적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apo $E^{(-/-)}$ 마우스의 간이 중성지질을 함유한 지단백질을 받아들이는데는 문제가 없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HDMPPA군의 간(14.7%, p<0.05), 신장(22.83%, p<0.001) 그리고 비장(35.87%, p<0.05)의 중성지질 농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지질과산화물 농도(TBARS)는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뇌와 peroxisome이 발달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이 높은 비장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고환이 가장 낮았다. HDMPPA군의 비장의 TBARS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21.47%(p<0.01) 유의적으로 낮았다. GSH 농도는 고환, 간, 그리고 신장에서 높아 TBARS 결과와 반대였다. GSH-px 활성이 높은 장기의 GSH 농도는 낮은 편이었으나 간과 비장은 예외였다. HDMPPA군의 GSH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장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알려져 있는 HDMPPA의 항산화작용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의 활성 성분인 HDMPPA는 동맥경화유발 식이를 섭취한 $apoE^{(-/-)}$ mice의 주요 장기에서 지질축적을 억제하며 체내 항산화 작용을 돕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Zinc-chelated Vitamin C Stimulates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Ghosh, Chiranjit;Yang, Seung Hak;Kim, Jong Geun;Jeon, Tae-Il;Yoon, Byung Hyun;Lee, Jai Young;Lee, Eun Young;Choi, Seok Geun;Hwang, Seo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89-1196
    • /
    • 2013
  •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d functio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lipid metabolism, and the pathophysiology of metabolic syndromes. Although the effect of zinc ascorbate supplementation in diabetes or glycemic control is known in humans, the underlying mechanism is not well described.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zinc-chelated vitamin C (ZnC) compound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reatment with ZnC for 8 d significantly promoted adipogenesis, which was characterized by increase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Meanwhile, ZnC induced a pronounced up-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type 4 (GLUT4) and the adipocyte-specific gene adipocyte protein 2 (aP2). Analysis of mRNA and protein levels further showed that ZnC increased the sequential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the key transcription factors of adip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nC could promote adipogenesis through $PPAR{\gamma}$ and C/$EBP{\alpha}$, which act synergistically for the expression of aP2 and GLUT4, leading to the generation of insulin-responsive adipocytes and can thereby be useful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태음인(太陰人)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이 3T3-L1 지방전구세포(脂肪前驅細胞)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Yeoldahanso-tang, a Sasang Constitutional Herbal Prescription for Taeeumin,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 유새롬;정수진;신현규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83
    • /
    • 2012
  • Objectives : Although Yeoldahanso-tang (YDHST) has been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obesity and its 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insulinemia and hypertension for Taeeumin, no scientific evidence has reported yet to support its ability to work against these metabolic disorders. Our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YDHST extract on the cellular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Methods : 3T3-L1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by adding insulin, dexamethasone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for 8 day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YDHST extract. Anti-obesity effects of YDHST extract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triglyceride contents, and leptin production. Results : YDHST extract remarkably prevented lipid accumulation with no cytotoxicity in the differentiated 3T3-L1 cells. In addition, YDHST extract decreased contents of triglyceride 3T3-L1 adipocytes. Consistently, YDHST extract caused a significant inhibition of GPDH activity and leptin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Sasang constitutional herbal formula YDHST for Tae-eumin has anti-obesity activity by regulation of the adipogenesis process in vitro. Additional study will be required to further confirm the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using in vivo animal model.

Potential involvement of Drosophila flightless-1 in carbohydrate metabolism

  • Park, Jung-Eun;Jang, Jinho;Lee, Eun Ji;Kim, Su Jung;Yoo, Hyun Ju;Lee, Semin;Kang, Min-Ji
    • BMB Reports
    • /
    • 제51권9호
    • /
    • pp.462-467
    • /
    • 2018
  • A previous study of ours indicated that Drosophila flightless-1 controls lipid metabolism, and that there is an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flightless-1 (fliI)-mutant flies, where this mutation triggers metabolic stress and an obesity phenotype. Here, with the aim of characterizing the function of FliI in metabolism, we analyzed the levels of gene expression and metabolites in fliI-mutant flies. The levels of enzymes related to glycolysis, lipogenesis, and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increased in fliI mutant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levels of metabolites corresponding to a metabolic pathway. Moreover, high-throughput RNA sequencing revealed that Drosophila FliI reg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chromosome organization, carbohydrate metabolism, and immune reac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Drosophila FliI regulates the expression of metabolic genes, and that dysregulation of the transcription controlled by FliI gives rise to metabolic stress and problems in the development and physiology of Drosophila.

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to the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lipolysis of adipocyte, localized fat accumulation)

  • 김민기;이시형;신조영;김강산;조남근;임태진;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19
    • /
    • 200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to the primary cultured preadipocyte, adipocytes, and localized fat tissue. Methods Decreased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decreased lipogenesis are mechanisms to reduce obesity. So,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were performed on cell cultures using Sprague-Dawley Rats and treated with 0.01-1mg/ml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And porcine skin including fat tissue after treated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according to the dosage dependent variation are investigated the histologic changes after injection of these Pharmacopuncture. Resul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lipolysis of adipocyte and histologic investigation of fat tissue. 1.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showed the effect of decreased preadipocyte proliferation depend on concentration. 2.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showed the effect of decreased the activity of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GPDH) significantly. 3. Bee Venom was not showed the effect of lipolysis, but Sweet Bee Venom was increased in low dosage and decreased in high dosage. 4. Investigated the histologic changes in porcine fat tissue after treated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we knew that these Pharmacopuncture was activated nonspecific lysis of cell membranes depend on concent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e Venom and Sweet Bee Venom efficiently induces decreased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 and lipolysis in adipose tissue.

Proteome Analysis of Paenibacillus polymyxa E681 Affected by Barley

  • Seul, Keyung-Jo;Park, Seung-Hwan;Ryu, Choong-Min;Lee, Yong-Hyun;Ghim, Sa-Yo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934-944
    • /
    • 2007
  • Paenibacillus polymyxa E681 is known to be able to suppress plant diseases by producing antimicrobial compounds and to promote plant growth by producing phytohormones, and secreting diverse degrading enzymes. In spite of these capabilities,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flow of information from the bacterial strain to the barley root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flow of information from the bacterial strain to barley roots, the strain was grown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barley, and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2D-PAGE) and MALDI-TOF mass spectrometry were used. 2D-PAGE detected approximately 1,000 spots in the cell and 1,100 spots in the supernatant at a pH 4-10 gradient. Interestingly, about 80 spots from each sample showed quantitative variations. Fifty-three spots from these were analyzed by MALDI-TOF mass spectrometry and 28 proteins were identified. Most of the cytosolic proteins expressed at higher levels were found in P. polymyxa E681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barley rather than in the absence of barley. Proteins detected at a lower level in the surpernatant of P. polymyxa E68l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barley were lipoprotein, glucose-6-phosphate 1-dehydrogenase, heat-shock protein HtpG, spermidine synthase, OrfZ, ribonuclease PH, and coenzyme PQQ synthesis protein, and flagellar hook-associated protein 2 whereas proteins detected at a higher level in the surpernatant of P. polymyxa E681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barley included D-alanyl-D-alanine ligase A, isopentenyl-diphosphate delta-isomerase, ABC transporter ATP-binding protein Uup, lipase. Many of the proteins belonging to plant-induced stimulons are associated with biosynthetic metabolism and metabolites of proteins and transport. Some of these proteins would be expected to be induced by environment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accumulation of plant-secreted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