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liota spp.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초

비늘버섯류(Pholiota spp.)의 Phytosterol 조성 함량 (Content of Phytosterol composition of Pholiota spp.)

  • 조수묵;서건식;김민경;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5-197
    • /
    • 2009
  • To elucidate the composition of phytosterols in the fruit body of Pholiota spp. 6 species(P. adiposa, P. aurivella, P. highlandensis, P. nameko, P. squarrosa and Pholiota sp.) were analyzed with Gas chromatography(GC). Pholiota spp. were contained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as the major phytosterols.

비늘버섯류의 추출수율 및 영양 약리학적 특성 (Extraction yield and nutraceuticals of mushroom Pholiota species)

  • 조수목;박홍주;서건식;이종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늘버섯을 이용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건강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 분말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이들의 수율을 조사하였고 여러 가지 영양학적, 생리기능적 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추출 수율을 측정한 결과 Pholiota adiposa ASI 24027의 물 추출물이 58.7%로 가장 높았다. 비늘버섯 자실체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체로 0.2%-25.0% 이었고 이중 Pholiota adiposa ASI 24015가 가장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물 중에는 K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철과 인은 Pholiota sp. ASI 24024의 자실체에서 각각 100g 건조 자실체량 19.6 mg, 859.1 mg 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beta}$-glucan은 Pholiota adiposa ASI 24005에서 약 0.66%로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나 비타민과 아미노산 및 지방산 등은 비늘버섯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Analysi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ic Relationships of Collected Strains of Pholiota species

  • Cho, Yong-Hyun;Kong, Won-Sik;Kim, Gyu-Hyun;Jhune, Chang-Sung;You, Chang-Hyun;Yoo, Young-Bok;Kim, Kwang-Ho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00-204
    • /
    • 2003
  •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ic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among collected strains in Pholiota spp. which contain P. adiposa, P. squarrosa, P. nameko etc. They were tested on the four different media(PDA, MCM, YM, MEA) and sawdust(Alder, Oak, Pine, Popular) substrates. There was a litt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media and sawdust substrates, although PDA and popular sawdust substrate seemed to be better. Most strains showed white colonies, but some strains were brown. Mycelial growth length differed according to the strains. To classify species,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ITS) of the ribosomal DNA(rDNA) repeats from Pholiota spp. were amplifi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then sequenc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S sequences, they were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Their spacer regions were $644{\sim}700$ nucleotides in length. The reciprocal homologies of each ITS region among these strains were ranged from $49.6{\sim}99.9%$. The phylogenic analysis might give a criterion to classify species in the collected strains.

PCR 다형성 분석에 의한 비늘버섯 속 계통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different strains of Pholiota species based on PCR polymorphism)

  • 권운혁;박혁;백민재;조우진;최우정;안치범;신도빈;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76
    • /
    • 2013
  •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비늘버섯속 18 균주와 개암비늘버섯 2 균주를 대상으로 rDNA의 ITS region 염기서열과 genomic DNA의 RAPD-PCR을 수행하였다. ITS1과 ITS2영역의 염기의 수는 각각 233~271, 158~233 그리고 174~219 염기쌍으로 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는데 ITS2영역의 염기서열이 ITS1의 영역보다 변이가 높았고 5.8S지역의염기의수는 비교적 변이가 적었다. 각각의 균주 간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ITS영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작성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8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종의 버섯은 동일한 클러스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비늘버섯속 버섯을 대상으로 RAPD-PCR을 수행한 결과 15개의 primer가 효과적으로 염색체 DNA를 증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폭의 양상은 primer의 종류와 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계통수는 ITS 영역의 PCR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실험에 사용한 비늘버섯속 버섯의 종과 계통 간의 유연관계는 높았으며, rDNA ITS 영역의 염기서열분석 결과를 이용해 공시된 각각의 비늘버섯 종을 분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였다.

각종 버섯류로부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의 탐색 (Screening of Mushrooms Having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 이대형;김재호;정종천;공원식;유영복;박정식;유창현;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8-154
    • /
    • 2003
  • 항고혈압 효능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고혈압 예방 제품을 개발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에서 분양 받은 52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추출 수율, 그리고 ACE 저해활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우수한 버섯을 선정한 다음 ACE 저해물질의 추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시료 버섯은 $7.1{\sim}56.5%$의 조단백질과 $0.2{\sim}4.4%$의 조지방 및 $30.3{\sim}86.6%$의 탄수화물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으며 비늘버섯 ASI 24027 자실체의 물 추출물 수율이 68%로 제일 높았다. 그러나 ACE 저해활성은 비늘 버섯 ASI 24012 균주의 자실체를 물 추출로부터 얻은 추출물($IC_{50}$: 0.45 mg)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 버섯의 ACE 저해물질 최적추출조건은 자실체 분말을 물로 $30^{\circ}C$에서 1시간 추출했을때 가장 많이 용출 되었으며 이때 ACE 저해활성도도 67.6%($IC_{50}$: 0.20 mg)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