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ilosophy of Mind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조선후기 문풍의 변화와 이용휴의 글쓰기 (Changes in Literary Trend During the Late Joseon and Lee Yong-hyu's Writing)

  • 이은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91-116
    • /
    • 2012
  • 글쓰기란 틀에 박힌 형식이 아닌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문풍은 그렇지 못했다. '문필진한(文必秦漢), 시필성당(詩必盛唐)'이라는 복고주의 문장론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문장의 법도를 무시한 채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는 것은 사실상 금기시되었다. 하지만 도그마에 빠져 변화하는 세상을 바라보지 못하는 성리학과 내용은 없이 껍데기만을 모의하는 의고적 글쓰기에 지친 문장가들은 익숙함과 전범에서 벗어나고자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의 가운데에 있던 이용휴는 당시 수입된 최신의 중국 서적들을 통해 명말청초의 사조들을 익히며 자신만의 개성적인 글쓰기를 만들었다. 그는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거부하고 인간성 본래의 측면에 관심을 가지며 주체 회복을 강조하였으며, 반의고적 글쓰기를 통해 허위에 찬 당시의 풍토를 비판했다. 그리고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 순수한 마음[천리(天理)]를 회복하고, 이를 위해서는 마음[심(心)]을 바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주장은 '심즉리(心卽理)'를 내세우는 양명학과 비슷했다. 양명학은 마음[심(心)]을 윤리의 준칙[이(理)]으로 삼고 있어서, '이(理)는 외재적이고 초월적이며, 이것은 성인에 의해 언어화되고, 경전으로 문자화 되어 있다.'는 성리학과는 확연히 갈라졌다. 그는 이들처럼 이(理)의 외재성을 부정하고 내재성을 강조하면서 성리학의 경전 중심주의를 해체했다. 그가 내세운 전범의 부정과 주체 회복의 글쓰기는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때문에 그를 양명학자로 단정 짓거나, 그를 비롯한 반의고적 태도를 갖는 문인들의 사상적 근거를 양명학이라 확정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문학을 주자학이든 양명학이든 단정 짓는 순간 그것이 또 전범이 되어 주체는 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일체의 전범을 부정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를 바랐고, 그것을 글로 남겼다. 우리가 2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의 글을 읽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일 것이다.

니체철학의 실존적-실천적 관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tial-Practical Perspective of Nietzsche's Philosophie)

  • 이상범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277-321
    • /
    • 2016
  • 니체의 철학은 실존철학과 철학적 인간학의 특징을 포괄하고 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인간을 "마지막 인간"과 "위버멘쉬"의 경계에 서있는 내재적 변화가능성의 존재로 설정함으로써, 니체는 인간의 실존적 건강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그의 철학에서 문제시되는 인간학적 증상들은 실존의 문제를 유발하며, 실존의 치유는 인간학적 증상의 치유를 전제로 한다. 이때 위버멘쉬는 당시 유럽에 만연했던 데카당스적 인간 유형으로 대변되는 마지막 인간에 대한 치유의 시도 속에서 도출된 건강한 실존을 가진 실천적 인간유형으로 제시된다. 니체는 유럽의 허무주의적 병의 근원을 철학과 종교(형이상학과 그리스도교)로 규정하며, 이에 대한 계보학적 탐구를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단하나의 진리로 다양한 실존의 양식을 획일화해 온 철학과 철학자의 문제가 드러난다. 니체에게 있어 형이상학적-그리스도교적-도덕적 진리만을 탐구해 온 철학과 철학자는 참된 실존의 토대를 간과함으로써 나약한 정신과 의지의 인간을 산출했다는 측면에서 강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니체는 대지로 명명된 인간 실존의 현실적 조건 위에서 그의 삶의 상승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철학, 다시 말해 인간과 삶의 실존적 변화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는 철학의 실천적 역할을 강조한다. 이때 철학자들의 과제는 모든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변화의 가능성과 이를 위한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철학의 이러한 실존적-실천적 토대 위에서 비로소 건강한 인간유형으로서의 위버멘쉬는 니체의 바람처럼 "최고의 현실"이 될 수 있다.

신입사원 채용시 사회봉사실적 반영방안 (The Method of Voluntary Record Reflection for New Employment)

  • 이성철;이은승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3-313
    • /
    • 2010
  • As more and more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the companies try to improve industrial structure. The role of enterprise changed direction from position power to communication power. Social contributed activity - representative of social responsible activities in companies - is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and new marketing strateg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uccessful social contributed activity is member's volunteering minds. Volunteer mind based on practical behavioral philosophy. This is right people for company. In this paper, we discussed company social responsibility and suggested standard guide line for voluntary record reflection when the company hire new employees.

대순사상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연구 (A Study o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Daesoon Thought)

  • 박병만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139-172
    • /
    • 2023
  • 이 논문은 대순사상에서 인심·도심 개념과 그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심·도심 개념은 송대에 들어서 정이천·소식·주자 등에 의해 인간 보편의 마음으로 이해되며 수양의 문제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인심·도심에 대한 논의는 주자에 이르러 이론적으로 체계화되며 이후 다양한 논설이 전개되었다. 인심도심론은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가 중요한 논제 가운데 하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양상을 보였다. 인심·도심을 각각 악과 선(정이천과 주자초설), 가치중립과 선(주자와 퇴계·율곡), 예비 악과 예비 선(다산)이 그것이다. 인심·도심은 인간 보편의 문제로 볼 수 있으므로 유학 전통의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검토는 대순사상의 인심·도심에 대한 이해에도 이론적 기반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인심·도심을 각각 사와 공이라고 규정할 뿐 개념에 대한 설명은 없다.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가치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추론해 보면, 인심은 의식색(衣食色) 등 인간의 생명 활동과 종족 보존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라고 할 수 있다. 도심은 도덕 실천과 더불어 보국안민·광제창생·인류화평 등과 같은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인심·도심과 가치론적으로 연관된 양심·사심에 대해서는 이를 각각 선과 악으로 규정하고 그 개념과 발생 근원 등을 논술하며 비교적 체계적인 면모를 보였다. 양심·사심에 대한 논설이 인심·도심보다 체계화된 것은 양심·사심의 문제가 교리적으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심재(心齋) 조언유(趙彦儒)의 학문론(學問論) (On Simjae Cho Eon-yu's Theory of Learning)

  • 조훈영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331-362
    • /
    • 2010
  • 심재(心齋)의 학문론(學問論)은 경학(經學)과 심학(心學)으로 대별된다. 심재는 경학(經學)(의이학(義理學))과 심학(心學)(치심지학(治心之學))을 '상수상자(相須相資)'의 관계로 규정했다. 그런데 의리(義理)(좋음의 도리)를 밝히는 것은 '지(知)'에 속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행(行)'에 속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학(經學)(의리학(義理學))과 치심지학(治心之學)'은 결국 '지(知)와 행(行)'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이다. 심재의 지행로(知行論)을 경학(經學)(의리학(義理學))과 심학(心學)(치심지학(治心之學))의 관계에 적용시키면, 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심재의 '지(知)가 행(行)보다 앞선다'는 주장은 '좋음의 도리를 탐구하는 경학(經學)이 마음을 다스리는 심학(心學)보다 우선한다'는 뜻이다. 심재는 대(大)·소(小)의 관점에서는 행(行)에 중요성을 부여하였거니와, 이는 도리를 탐구하는 경학(經學)과 마음을 다스리는 심학(心學)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심학(心學)'이라는 뜻이다. 심재 학문론을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먼저 경학(經學)을 통해 좋음의 도리(道理)를 탐구하고, 이를 통해 반드시 우리의 마음을 바루자'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실제로 심재의 삶의 노선이기도 했다. 심재는 용학변의(庸學辨疑)를 통해서는 경전(經典)에 담긴 '좋음의 도리(道理)'를 밝혔고, 이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바룸으로써 '수졸(守拙)의 삶'에 자족할 수 있었던 것이다.

TEACHING ASTRONOMY - USING HYBRID TEXTBOOKS TO COMBAT ACADEMIC E-CHEATING

  • MONTGOMERY, M.M.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737-739
    • /
    • 2015
  • To accommodate today's higher education student, fewer textbooks are printed and more are becoming digital. Keeping with the modern era, hybrid versions of textbooks have all end-of-chapter assessment content moved to digital learning systems such as MindTap$^{TM}$ by Cengage $Learning^{(R)}$. In this work, we introduce new pedagogical strategies to combat academic e-cheating, specifically cheating on assessments given in online astronomy courses. The strategies we present in this work are employed in Horizons: Exploring the Universe, Hybrid, 13th Edition, and Universe, Hybrid, 8th Edition, by Seeds, Backman, and Montgomery.

인간교육으로서의 수학교육 (Mathematics Education as a Humanity Education)

  • 우정호;한대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63-277
    • /
    • 2000
  • mathematics holds a key position among the subject-matters of school education. Nevertheless, beyond Its Instrumental one, humanity-educational value of mathematics for the general public has been under estimated. For the past fifty years, in the our country there has not been enough systematic and profound examination and discussion concerning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Thus, in this thesis we argue how mathematics education could contribute to the humanity education. For this, we examine how western educational theorists have emphasized the value of mathematics as humanity education and how their theories have been reflected in the goals of the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First of all, we discuss Platonism as a philosophical basis of the traditional mathematics teaching mainly with Euclid's "Elements" since the ancient Gree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education and humanity education in the light of this traditional thought. Next, we examine the thoughts of Pestalozzi, Harbert, Froebel who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ublic education since 19th century, and discuss the value of mathematics teaching in their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s. Also we examine the humanistic valu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criticized the traditional western ethics and epistemology, and established instrumen talism. Further, we analyze how such a philosophy of mathematics teaching is reflected mathematics education of 20th century, and confirm that the formation of Dewey's rational intelligence is one of the central aims of mathematics education of late 20th century. Finally, we discuss the ideals of humanistic mathematics education ; develop ment of the rational intelligence via 'doing knowledge'and change of mind via 'looking knowledge'. In this paper identify the humanistic valu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e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e could find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study for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which Korean mathematics educational society confronts, that is establishing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 PDF

CNKI에서 중국의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 철학 연구 현황과 특징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hilosophy Research in China through CNKI)

  • 배영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s been understood in China. Methods I searched for topics in Chinese such as Sasang medicine (四象醫學), Sasang constitution (四象體質), Chao medicine (朝醫), philosophy (哲學), principles (原理), the school of Confucianism (儒家), Confucianism (儒學) and ideology (思想) in CNKI database on January 15, 2019. The selected studies were summarized as three sections; the basic principl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fluences of Confucianism and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s. Results In China, the principl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explained using the concepts such as Heaven-Human-Nature-Order, the Great Ultimate (Taiji), Two Modes (Liang-Yi), Sasang, heart, sorrow-anger-joy-pleasure, nature-emotions (Xingqing), and viscera-bowels (Zang-Fu).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considered to has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e form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as affected by the Book of Changes (Zhouyi), and the contents were impacted by the Great Learning (Daxue), the Doctrine of the Mean (Zhongyong), the Mencius (Mengzi) and the Analects (Lunyu).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s, such as inherent determinations of constitution, organs difference by constitution the actions of nature, emotions and desire, recognition of humans as social beings, and the signification of heart as a presiding center. Conclusion In China, the philosoph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s been studied with basis of four-element structure; activity, mind, body and matter. Also, it has been researched in medical aspects of human trying to control the nature and emotions to be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healthy.

노인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의 가치신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zing Value and Belief of Health with aged)

  • 신동순;홍춘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8-51
    • /
    • 1996
  • There is a increasingly growing emphasis on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and optimum functioning for peaple including the chronically ill and disabled. According as the purpose of the nursing is the promotion of health, the value and belief of heal th within the nursing paradigm need to be defined in every culture. The paradigm components must be explored for meaning given by the aged in their traditional thought and philosophy, The problem addressed by this qualitative study was how the aged recognize value and belief of health, whic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nursing theory.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tudy was from Leininger's cultural care theory and Korean philosophy and traditional oriented thought. Literature review refers to literature on the aged, health of the aged, and definition and meaning of general health concept. Grounded theory methodology guied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sis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The informants were 119 from a variety of social levels and family patterns; traditionally the aged are responsible for the health. The concentrated interviewing period was from may to june, 1995 ; the interviews were done by the researcher with two supporter and most were recorded on audio tape. Result from analysis of base datas follows; The value and belief of health that emerged from the categories and properties were the physical stability, the stability of mind, the stability of mind and body, the smoothness (harmony) of body function, the family concord, and the perfection of self. These values and beliefs of health are affected by the cosmic dual forces thought is based on the Great Absolute, family principle of confucian scholar, and Buddism. Among the values and beliefs of health, family concord is found out Korean culture peculiarities. These values and beliefs are all integrated into the idea of health.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nursing theory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change and development.

  • PDF

전일적 디자인사고와 디자인방법에 대한 연구 (A Monistic Design Thought and Method)

  • 이순종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79-486
    • /
    • 2004
  • 20세기에는 물질과 분석적 디자인의 중시로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었다. 이제 21세기를 맞아 의미와 전체와의 조화의 개념이 중시되는 전일적 디자인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의 전일적 사고에 바탕한 21세기의 새로운 디자인패러다임과 디자인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으로는 '유ㆍ불ㆍ도교 등의 동양사상에서 나타나는 전일적 개념이 파악되고(4장)', '통일성, 조화성, 변화성을 중심으로 한 전일적사고의 주요가치들이 분석되었으며(5장)',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방법의 대안으로서 '첫째-대상관찰, 둘째-대상평가, 셋째-대상개선의 3단계로 구성된 전일적인 디자인프로세스가 제시되었다(6장)' 그리고 결론으로서 각 단계의 중심적 디자인가치가 아래와 같이 규명되었다. 대상관찰 단계-대상을 바라봄에 있어 분리보다는 '전일적 관점'을 중시한다. 대상평가-가치를 판단함에 있어 차별과 대립보다는 '화합과 조화를 중시' 한다. 대상개선-창조의 개념은 변증법적 발전(creation)보다는 '순환과 변용과정의 개선적 변화(process of transformation)'를 중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