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ilosophe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미디어미학에서 바라 본 뉴미디어로써 디지털 애니메이션 - 노르베르트 볼츠의 매체미학을 중심으로 - (Digital Animation As a New Medium Taking a View of Bolz Media Theory)

  • 이종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25-232
    • /
    • 2003
  • 독일의 철학자 노르베르트 볼츠(Norbert Bolz)는 디지털 영상미디어가 초래할 인간사고 방식의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방식의 전환을 예고하면서, 마샬 맥루한으로 시작했던 활판인쇄로 강화된 근대문자 문화에 대한 비판의 맥락으로 근대 이성문명의 상징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의 종말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디지털미디어라는 첨단 복합 미디어를 통해 이성을 중심으로 한 유럽 문명의 한계가 극복되리라 예견한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상실된 생명력을 재생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미학의 원해 의미인 '감성적 지각(aisthesis)'을 강조하고, 칸트가 말하는 오감의 자유로운 유희 상태가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회복을 주장한다. 본 소고는 하이퍼미디어로써 영상 미디어의 선두 격인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그 독특한 예술적 형식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할 것이라 보고 있다. 이는 근대 이성 중심 주의에 짓눌려온 인간의 감성을 회복하는데 디지털 애니메이션 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또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시간과 공간을 다루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컴퓨터 기술의 집약으로 종합 미디어적 특성을 발휘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전들에 근거해,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써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미디어 분석가 겸 디자인과 교수인 노르베르트 볼츠의 하이퍼 미디어적인 뉴미디어 이론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 PDF

타인의 얼굴과 사랑의 실천:영화<카모메 식당>을 중심으로 (Face of the Other and Practice of Love: on the Movie )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3-60
    • /
    • 2017
  • 철학자 레비나스는 주체의 해체와 탈중심화 경향이 지배적인 현대 철학에서 자아 중심적 사고를 반성하고 어떤 다른 것으로도 환원할 수 없는 타자에 대한 책임을 보여주는 '타자철학'을 구축했다. 타자의 얼굴은 주체에게 계시적으로 다가오며 그러한 타자를 환대하는 것을 통해 주체는 존재의 독립성을 경험한다. 영화 <카모메 식당>의 사치에는 나그네의 얼굴로 그녀의 공간에 찾아온 이들을 환대한다. 그녀는 그들에게 음식과 거주지를 제공하고 요소들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 타자는 무한성을 가진 존재로 세상의 모든 것들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카모메 식당의 사치에는 정직하게 정면을 향한 얼굴로 자신의 내면을 다 드러내면서 도움을 호소하는 타자에 대해 타자성을 인정하면서 그들에 대한 도덕적 임무를 수행한다. 카모메 식당은 주체와 타자간의 상호인정을 통해 만들어진 평화의 공동체가 된다.

사건 개념에 의한 한국전통마당의 전의(轉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ive Circ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Yard by Simulacre Concept)

  • 김지은;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11-119
    • /
    • 2008
  • This thesis is to make it clear that simulacre concept of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rovides the motive to make spaces and to make it clear that yar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more meaning of a container that contains the simulacres of life than formal aspects. Namely, focusing on the simulacres, among existing important factors that cause changes in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structure, function, beauty, I shall make it clear that simulacre concept, which is a creation thinking of post-structuralism philosopher, Deleuze, is a logic that builds and changes spaces.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successive circularity of yard spaces wit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imulacre concept that has virtual multiplicity and yar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 space of infinite emptiness. When certain simulacres occur in the yard, the ambivalence of simulacres provides meanings to yard by affiliating numerous simulacre factors, then by combination among those meanings, yard get mutual dependence. This is an important core point that I have focused on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e successive circularity of yar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mulacres and the essence of yar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have found out that yard has the meaning of "a bowl that contains the simulacres of life," going over the simple meaning as a space between door and fence. Also, the simulacre concept is thought to be discussed as a motive for creation of various spaces from now on.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Meaning of Co-existing with A.I. and Human in the Movie )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36-644
    • /
    • 2016
  • 영화 <그녀>의 여주인공은 사만다라고 불리는 목소리만 가진 컴퓨터 운영체제이다. 편지 대필가인 남자주인공 테오도르는 아내 캐서린과 별거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만다와 접속한다. 두사람은 오랜 연애기간을 가진 후 결혼했지만 거리를 두고 성장하는데 실패했다. 고정된 패턴도 없고 능력의 한계도 없는 이 학습형 운영체제는 테오도르에게는 가장 이상적 여성상이 된다. 테오도르와 처음으로 접속한 후 사만다는 리좀적 확장을 하여 인간과 섹스도 할 수 있고 의식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해답을 찾기 위해 철학적 토론도 벌인다. 사만다와 이성적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테오도르도 의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사랑이란 고정된 틀 속에서 갇혀있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사랑을 담기 위해서는 상자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는 것을 그도 이해한다. 그래서 마지막에는 캐서린에게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편지를 보낸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가 우리 자신의 내면을 좀 더 깊게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셸리의 Ode to the West Wind에 나타난 서풍의 실체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Shelley's Ode to the West Wind)

  • 전웅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259-272
    • /
    • 1999
  •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Shelley's Ode to the West Wind is the divine providence which influences all things in this world- that is, whether they are on land, in the sky, or in the sea. The divine providence is the manifestation of something beyond the present and tangibel object. In the first stanza,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the wild wind, the breath of Autumn's being, the unseen presence, the azure sister of the Spring, a Destroyer, a Preserver, the winged seed, a creator, a philosopher, a poet, Shelley, and the wild spirit moving everywhere. In the second stanza,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cloud, the angel of rain and lightning, fierce Maenad, the approaching storm, the congregated might, the black rain, the fire, hail, solid atmosphere, the tremendous power of revolutionary change, and the power that influences all things in the sky. In the third stanza,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the voice that makes the oozy woods which wear the sapless foliage of the Atlantic, and the power makes the blue Mediterranean wake from his summer dream. the fit medium of expression which Shelley's soul was seeking for, Shelley's passion, Shelley's partner, Shelley's co-worker, and a strong presence which influences in the sea. In the fourth stanza,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the mightest presence, the power, the strength, the free presence, the uncontrollable, the wanderer over heaven, a vision, the tameless, the swift, the proud and the God who can save Shelley form the heavy weight of hours and lift Shelley as a wave a leaf, a cloud. In the fifth stanza,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the mighty harmony, the fierce Spirit, Shelley's spirit, the impetuous spirit, incanation of this verse, spark, the trumpet of a prophecy, the Providence which can make the Winter depart and call Spring, and the prophet. To conclude, the real nature of the west wind in this poem is Shelley's accumulated insight that he visulize his impulse of revolutionary thought.

  • PDF

건축의 문화적 현대화에 있어 신화와 기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철학가 카시러와 기호학자 퍼스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Myth and Sign in the Matter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thinking of Ernst Cassirer and Charles Sanders Peirce -)

  • 변태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4호
    • /
    • pp.49-62
    • /
    • 2003
  • Vesely explains, the main source of our confusion and nihilism comes most probably from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modem architecture, technology and aesthetics. Also, to overcome such crucial problems, many theorists recently emphasize to take part in cultural civilization and to preserve creative genes of great culture that is based on our interpretation of 'ethical and mythical nucleus of mankind,' rather than in technical modernization that constitutes a sort of subtle destruction of mytho-ethical nucleus of a society. They for architecture also strongly stress on a mythopoetic imagination and an ontological construction of building, which could make a form symbolic and mythical rather than mathematical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On this point, 'myth' becomes a vital idea for constructing and construing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And it is also one of the essential concepts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power of cultural continuation of place and the meaning of architecture. Nevertheless, its meaning and the citation of word in architectural essay are still obscure. It might be because the original concept of myth not only has been lain in the matter of philosophical contemplation. Thus,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is focused on lightening the meaning of myth in architectural term. Especially, it is, first, concentrated on interpreting philosopher Ernst Cassirer's reflections which were written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ythical consciousness' for the world's cultural civilization. And, the second, it will continue to interpret the myth as a sign within the semiotic concept of Charles Sanders Peirce, and further to emphasis the significance of mythic signs for the continuance of artistic and cultural idea including architecture. The contents of the paper is not that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methodology, rather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epistemology. Nevertheless, in regard to architecture, the research will, against today's un-discriminated use of symbolic motifs and instrumental representation of form, suggest a concret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theory of myth and sign, especiall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semiology and the function of cultural continuity.

  • PDF

은행계좌 문제를 사용한 프로세스 동기화 교육 (Teaching Process Synchronization with the Bank Account Problem)

  • 양희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59-368
    • /
    • 2014
  • 프로세스 동기화는 학생들이 운영체제 과목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주제 중 하나이다. 한 번에 한 가지만을 생각하는 인간의 특성 상 여러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병행 프로세스 환경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한버퍼 문제나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등 고전적 동기화 예제는 그 내용이 너무 기술적이거나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운영체제를 처음 접하는 저학년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전적 동기화 예제의 대안으로 은행계좌 문제의 사용을 제안한다. 은행계좌 문제는 쉽고 현실적이며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경험해 본 문제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높은 이해와 흥미를 이끌 수 있었다. 프로세스 실행 순서의 제어, 경쟁조건으로 인한 잘못된 결과의 발생, 세마포어 사용, 교착상태, 모니터 등 다양한 동기화 주제에 대한 은행계좌 문제의 적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Foucault의 계보학을 활용한 사례관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Case Management in the Modern Society)

  • 최명민;정병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01-324
    • /
    • 2015
  • 최근 사례관리가 사회복지실천의 주류 실천방식이자 전달체계의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정작 그 수행주체인 사례관리자들은 계속 혼란과 스트레스를 호소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근원적 이유를 탐색하기 위하여 Foucault의 계보학을 이용하여 사례관리의 발생지점에 대한 역사적 미분을 시도함으로써 존재론, 주체론, 방법론 측면에서 사례관리에 내재된 본질적 특성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20세기 후반 사회적 필요에 따라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기제로 출현한 사례관리의 태생적 속성들과 이를 신자유주의적 방식으로 제도화하려는 시도들이 사회복지실천 고유의 지향이나 정체성과 충돌하면서 혼란과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 본연의 정체성을 실현해 가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에 배태된 통제성과 관리성을 인식하고 사례의 주인공인 인간성을 강화하며 과도한 관리성을 견제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PDF

홍대용과 공학교육 (Hong Dae-Yong and Engineering Education)

  • 노태천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77-84
    • /
    • 2002
  • 홍대용은 서양의 과학기술이 수학적 원리와 정밀한 관측에 근거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주해수용(籌解需用)]이라는 수학책을 저술함으로써 수학자로 일컬을 만 하다. 그리고, 홍대용은 동양의 자연관과 우주관을 비판적으로 수용 검토하고, 서양의 과학사상에 근거하여 무한우주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진취적 과학사상을 제시함으로써, 조선후기의 자연과학자로 인정할 수 있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실천을 중요시한 홍대용은 서양식 혼천의와 자명종을 이해?수용하고 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제작하여, 자신의 개인관측소(籠水閣)에 설치할 정도로 기술자로서의 면모도 갖추었다. 홍대용의 과학자 및 기술자로서의 측면을 통하여, '수학적 사고, 창의적 구상, 실천적 활동' 등을 21세기 한국의 우수한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향으로 설정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데카르트의 심신론이 의학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Rene Descartes′s Mind-Body Theory on Medicin)

  • 반덕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56
    • /
    • 2000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Rene Descartes's mind-body theory in medical aspect. Though Rene Descartes was not so much a doctor as a philosopher, he had health and medical science at heart. When he came into the world in 1596, he was in poor health. Therefore, he suffered from his bad health. Descartes's ideas absolutely colored Western thought for three hundred years, especially, his mind-body theory, mechanistic life-view, and reductionism had important effect on medical study and science of public health. As a rule, we know that his mind-body theory was applicable to mind-body dualism, and his mind-body dualism was connected with biomedical model of medicine. But by this study, his mind-body theory was not only mind-body dualism but also mind-body monoism. And he asserted mind-body interaction too. In other words, he advocated mind-body dualism in scientific aspect, but he knew mind-body monoism from his experence. He confessed this fact to Princess Elizabeth of Bohemia, he wrote mind-body interaction in $\boxDr$Discours de la methode$\boxUl$, $\boxDr$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boxUl$, and $\boxDr$Traite des passions de 1'ame$\boxUl$ etc. However, only mind-body dualism of his mind-body theories was written in our medical text book, morever mental realm was excluded from the persuit of learning Descartes advocated a mechanistic world-view and mechanistic life-view, he regarded human body as a machine part. And a paticent corresponds to a troubled machine, a doctor deserves a repairman. But this point of view made holistic understanding of man impossible. Descartes divide the whole into basic building blocks, we named the approach Reductionism. Reductionism led to ontological concept in medical science, bacteriology established 'specific cause-specific disease-specific therapy'. We examined medical influence of Descartes's thought, we need to draw out a philosophic basis of medical science and science of public health by a close study of his recor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