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3.053

Face of the Other and Practice of Love: on the Movie  

Kim, Mi Hy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 칼리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contemporary philosophy, the thinking subject became the dis-constructed subject and there was not left any one center in thinking. On the contrary of this trend, the philosopher Levinas stresses 'an ethics of Otherness' that requires the subject to be responsible for the Other. For Levinas, the Other is not knowable and cannot be made into an object of the self. For Levinas, the irreducible relation, the epiphany, of the face-to-face, the encounter with another, is a privileged phenomenon in which the other person's proximity and distance are both strongly felt. The face of the Other comes toward me with its infinite moral demands while emerging out of the trace. In the movie , when Sachie encounters them, she greets them. She provides them with food and shelter to protect from the dangers of elements. With the help of Sachia, the restaurant becomes a peaceful communal place for her and the Other.
Keywords
Levinas; The Other; Jouissance; Face; Exist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Bloechl, Jeffrey (ed.), The Face of the Other & the Trace of God: Essays on the Philosophy of Emmanuel Levinas, Fordham University Press, 2000.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058&cid=42219&categoryId=42228
3 자네티, 루이스, 영화의 이해: 이론과 실제, 김진해 옮김, 현암사, 2000.
4 윤효녕, 윤평중, 윤혜준, 정문영,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5 이다운, "윤리적 주체와 외재적 타자의 상관성," 문예시학, 제24집, pp.217-233, 2011.
6 정정호, "사르트르, 부버, 레비나스의 타자론: 주변부 타자 문학론을 위한 시론,"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8-16, 2001.
7 김진옥, "레비나스의 시간과 죽음의 타자성: 등대로의 릴리," 영미어문학, 제112호, pp.83-98, 2014.
8 김소영,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으로 바라본 <인 어 베러 월드>," 영화연구, 제69호, pp.5-33, 2016.
9 오몽, 자크, 영화 속의 얼굴, 김호영 옮김, 마음산책, 2006.
10 띠냐노프, 유리, 에이헨바움, 보리스, 야꼽슨, 로만, 로뜨만, 유리, 영화의 형식과 기호, 오종우 옮김, 열린책들, 2001.
11 레비나스, 엠마누엘, 시간과 타자, 강영안 옮김, 문예출판사, 1996.
12 데이비스, 콜린, 엠마누엘 레비나스-타자를 향한 욕망, 김성호 옮김, 다산글방, 2001.
13 레스쿠제, 마리 안느, 레비나스 평전, 변광배, 김모세 옮김, 살림, 2006.
14 강영안, "향유와 거주: 레비나스의 존재 경제론," 문학과 사회, 제8권, 제4호, pp.1522-1548, 1995.
15 윤대선, "레비나스의 얼굴개념과 타자철학," 철학과 현실, 통권61호, pp.112-123, 2004.
16 터너, 그래엄, 대중 영화의 이해, 임재철 외 옮김, 한나래, 2000.